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
귀절
절
말마디
글귀
문구
프레이즈
스페셜
"
구절
"(으)로 총 46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초 족도리풀, 알고 보니 독초?
2017.11.07
나와 천연이 좋다고 줄기차게 ‘그릇된’ 넛지를 하고 있다. 다음은 이번 논문의 마지막
구절
로 보건당국이 ‘유익한’ 넛지를 구상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AA를 함유한 식물을 쉽게 구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일차적인 예방을 위해서는 교육과 대중의 자각이 시급하다. 아울러 전통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게놈편집으로 흰 나팔꽃 만들었다!
2017.09.12
촬영)을 해야 하는데 게으른 필자는 그것도 미루다가 잊어버리곤 한다. 그래서 막상 이런
구절
을 인용하면 딱 좋은 글감을 찾은 뒤에야 그때 적어두지 못한 걸 아쉬워한다. 바로 지금처럼. 지난 봄 한 소설가(아니면 시인?)가 쓴 글을 읽다가 ‘벚꽃이 피었을 때에야 우리는 주변에 벚나무가 있는 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그 많은 양전자(반물질)는 다 어디서 왔을까
2017.06.27
접할 때마다 독일 철학자 임마누엘 칸트의 묘비에 새겨져 있다는 ‘실천이성비판’의 한
구절
이 떠오르곤 한다. “그에 대해서 자주 그리고 계속해서 숙고하면 할수록, 점점 더 새롭고 점점 더 큰 경탄과 외경으로 마음을 채우는 두 가지 것이 있다. 그것은 내 위의 별이 빛나는 하늘과 내 안의 도덕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일란성쌍둥이는 얼굴도 똑같이 생겼을까?
2017.04.25
이 책을 읽을 때 이 부분에서 깊은 인상을 받은 필자는 누군가와 닮은 사람을 볼 마다 이
구절
이 생각났는데 이날도 그랬던 것이다. 아무튼 그 뒤 종종 이 드라마를 보곤 하는데 어느 날 문득 ‘도대체 이 배우가 누구지?’(주인공임에도 이 드라마에서 처음 본 배우라 이름을 몰랐다)라는 궁금증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산소발생 광합성 역사 불과 25억 년?
2017.04.04
38억 년 전에서 가깝게는 23억5000만 년 전까지로 무려 15억 년 가까이 차이가 난다는
구절
이 나온다. 지구의 나이가 45억 년이므로 거의 3분의 1만큼이 오차인 셈이다. 닉 레인의 책도 그렇고 필자도 38억 년 쪽(또는 37억 년, 35억 년)으로 알고 있었는데 어느새 훨씬 짧게 추정하는 가설이 꽤 입지를 ... ...
표범의 추억
2016.11.08
써야 한다는 얘기다. 논문을 읽다가 우리나라의 ‘wild leopard cat’의 게놈도 해독했다는
구절
을 읽고 순간 우리나라에서 표범을 발견한 건가 해서 깜짝 놀랐다. 그런데 뒤에 ‘cat’이 눈에 들어오면서 혹시 leopard cat이 살쾡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사전을 보니 역시 살쾡이였다. ※ ... ...
요거트의 상징 메치니코프 타계 100주기: 선천면역에서 프로바이오틱스까지
2016.07.12
하루키 ‘이윽고 슬픈 외국어’라는 제목의 무라카미 하루키의 에세이집을 읽다가 위의
구절
을 발견하고 무릎을 쳤다. 십 수 년 전부터 필자가 느껴왔던 생각이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소설가가 이런 소리를 하니 용감한 걸까? 아무튼 필자는 언제부터인가 소설은 가끔 단편을 읽을 뿐 대신 전기를 ... ...
1300년 전 당나라 사람들은 오로라 봤다!
2016.06.27
그런데 문헌에서 뽑은 열한 곳 가운데 세 곳에서 때를 언급하고 있는데 다 밤이다. 아래
구절
들이다. “882년 10월 밤 서쪽 하늘에서 백홍이 관측됐다.” (‘구당서’) “757년 2월 20일 난양(북위 33도) 밤하늘에 100장(丈, 거리 단위로 정확히 어느 정도를 뜻하는지는 모름)이 넘는 범위에서 백홍 네 개가 ... ...
다윈의 나방 유전자 마침내 규명
2016.06.06
있어서 그런지 ‘네이처’는 사설로도 이 연구를 소개하고 있는데 읽다보니 흥미로운
구절
이 나왔다. 즉 1950년대 케틀웰의 실험에 설계상 문제가 좀 있었고 결국 진화론을 부정하는 창조론자들에게 이용되는 지경에 이르자 몇몇 생물학 교재에서 아예 얼룩나방 이야기를 빼는 지경에 이르렀다는 ... ...
호기심의 두 얼굴: 호기심은 인간을 이롭게 만들까, 아니면 해롭게 만들까?
2016.04.19
부를 수도 있기 때문이다. ‘숫타니파타’ 같은 불교 경전을 보면 호기심을 억제하라는
구절
이 여러 곳에서 나온다. 호기심은 많은 문학작품에서 모티브가 되기도 하는데, 십 수 년 전 ‘중국현대단편선’인가 하는 책에서 본 단편이 특히 기억에 남는다. 시대 배경은 1940년대 초 제국주의 일본과 ... ...
이전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