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
귀절
절
말마디
글귀
문구
프레이즈
스페셜
"
구절
"(으)로 총 46건 검색되었습니다.
['고리 1호기' 특집 (1)] 한수원 김현준 안전점검 차장 “고리 1호기에 바친 땀과 열정"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10.23
길을 찾고 있다. 그는 자신의 좌우명으로 파울로 코엘료의 『연금술사』에 나오는
구절
을 소개했다.“어떤 일을 아주 간절히 원하면 온 우주는 소망이 실현되도록 도와준다.”그렇다. 가장 어두운 시간은 바로 해뜨기 직전이다. 지금 고리 1호기는 ‘오래된 미래’의 시간을 맞고 있고 그곳에서 ... ...
암은 여전히 은유로서의 질병인가
2015.02.16
요인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다는 뜻이다. - 사이언스 제공 논문을 읽다보니 흥미로운
구절
이 보였다. 즉 사람에서는 대장암이 소장암보다 훨씬 흔하지만 생쥐에서는 그 반대라는 것. 그런데 사람은 대장에서 줄기세포분열 횟수가 훨씬 많지만 생쥐에서는 어떤 이유에서인지 소장에서 더 많다고 ... ...
[Tech & Design] 놀라운 인공물질들
KOITA
l
2015.02.09
5절인 ‘여호와께서 가라사대 너희는 열국을 보고 또 보고 놀라고 또 놀랄지어다.’라는
구절
을 인용한 것. 한 마디로 다들 놀라 자빠질 항공모함을 만들겠다는 포부였다.하버쿡의 사양은 정말로 놀랄만했다. 전장 610m에 전폭 90m, 배수량은 자그마치 220만 톤이었다. 현재 최대의 항공모함인 ... ...
뇌전증의 과학
2014.07.28
신경과학자 라젠드라 케일이 1997년 학술지 ‘영국의학저널’에 쓴 사설에 나오는 유명한
구절
로, 지난 100년 동안 간질(앞으로는 뇌전증으로 쓰겠다)에 대한 연구가 꽤 진행됐음에도 여전히 환자들은 ‘미신과 오명’ 속에 남겨져 있는 현실을 표현하고 있다. 학술지 ‘네이처’ 7월 10일자는 1 ... ...
우리 몸에 없어서는 안 될 28가지 원소는?
2014.06.09
것 같다. 그리고 수년 전 비소박테리아 논문이 나왔을 때 비소(As)도 극미량 필요하다는
구절
을 읽었다(물론 인을 대신해 핵산 골격에 쓰이는 건 아니고). 셀레늄(Se)도 드물게 아미노산에서 황을 대신해 들어가는 일이 있다. 필자가 지금 짜낼 수 있는 건 여기까지로 문헌을 통해 찾은 나머지 8종은 ... ...
암흑물질의 실체는 ‘불임 뉴트리노’?
2014.06.04
에 들어갔지만 어떤 신호도 감지하지 못했다고. 그러다보니 이 글 앞에 인용한 비관적인
구절
을 쓰기도 했다. 우주에서 오는 암흑물질을 검출하는 LUX실험이 지난해 시작됐으나 성과가 없었고 올해 말 재개할 예정이다. 통 안에 들어있는 370kg의 액체 제논과 암흑물질의 상호작용으로 나오는 ... ...
젖가슴에 대한 과학적 고찰
2014.05.13
필자가 찾는 답은 없었다. 대신 앞에 인용한 것처럼 저자 역시 이런 현상을 언급하는
구절
을 찾았을 뿐이다. 젖가슴은 기본적을 젖을 만들어내는 기관이다. 임신을 하면 호르몬의 작용으로 유관(duct) 끝에서 꽈리세포가 포도송이처럼 뭉친 엽(lobe)이 형성된다. 꽈리세포에서 만들어진 젖은 유관을 ... ...
기억과 망각의 철학과 생명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14.03.24
것이다. 고물가게는 사물들이 널려 있을 뿐이고 기억도 망각도 하지 못한다. 이
구절
을 읽다가 문득 예전에 책인가 논문인가에서 본 한 여성의 이야기가 떠올랐다. 이 사람은 망각을 하지 못하는 ‘병’을 앓고 있다. 즉 20년 전 아무 날을 대도 그날 저녁에 뭘 먹었는지도 기억한다는 것. 이런 ... ...
악몽과 개꿈의 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14.02.04
자주 꾸는 편인 필자로서는 기분이 안 좋은 정보였다. 그 뒤로 악몽을 꾸다가 깨면 그
구절
이 생각나 ‘이러다 큰 일 나는 거 아닌가’하는 걱정에 누워도 좀처럼 다시 잠들지 못하곤 했다. 필자의 지인인 한 한의사의 말에 따르면 악몽을 자주 꾸는 건 몸이 허해졌기 때문으로 몸을 보해줘야 한다. ... ...
[이달의 역사]적군도 친구도 예외 없는 도청의 세계 ①
KISTI
l
2013.12.13
저술해 전쟁에서 승리하는 갖가지 비결을 남겼다. 그중에서도 특히 유명한
구절
은 ‘지피지기 백전불태’다. ‘상대를 알고 나를 알면 백 번 싸워도 위태롭지 않다’는 뜻이다. 자신을 제대로 알려면 객관적인 기준을 통해 스스로를 성찰하고 반성하면 된다. 그러나 상대를 제대로 알기 위해서는 또 ... ...
이전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