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항력
능란
면역질
특권
적응
스페셜
"
면역
"(으)로 총 1,895건 검색되었습니다.
[의학사로 보는 세상] 최초 항생제 페니실린 발견은 우연일까
2023.12.17
침입한 미생물을 퇴치할 수 있도록
면역
체계를 가지고 있지만 단세포생물인 곰팡이는
면역
반응을 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곰팡이에게 더 작은 미생물이 침입하는 경우 이를 퇴치할 수 있도록 곰팡이는 세균을 사멸할 수 있는 물질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있다. 이를 항생제라 하며 지금까지 수많은 ... ...
[과기원NOW] KAIST, 국제백신연구소(IVI)와 백신연구 업무협약 체결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11.23
백신, 아데노바이러스 백신 등 국제백신연구소가 개발하고 있는 다양한 백신
면역
반응 분석을 공동으로 수행해 백신 개발을 앞당길 계획이다. KAIST 관계자는 "현재 설립 중인 케냐과기원과 KAIST 오송메디컬 캠퍼스를 활용해 향후 다양한 전략적 연구협력도 추진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병주고 약주는' Y염색체의 두 얼굴
2023.11.01
된다. 그 결과 종양에서 암세포가 쉽게 떨어져 나가 전이가 일어날 위험성이 커지고
면역
세포가 암세포를 제대로 공략하지 못한다. 앞으로 KDM5D를 공략하는 약물을 개발하면 남성 대장암 환자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반면 방광암의 경우 Y염색체 소실이 오히려 증상을 악화시킨다는 사실이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최초의 '에이즈' 치료제는 폐기처분된 항암제
2023.10.22
indexCatalogue=genericsearchindex1&searchQuery=remdesivir&wordsMode=AnyWord 3. 질병관리청 웹싸이트. 후천성
면역
결핍증 관리. https://www.kdca.go.kr/contents.es?mid=a20301070604 4. 수전 손택. 은유로서의 질병. 이재원 역. 이후 예병일 연세대원주의대 교수 ※필자소개 예병일 연세대학교 의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 ...
[표지로 읽는 과학] 갈수록 더워지는 지구, 인간의 한계는
동아사이언스
l
2023.10.01
번식지의 생태계에 변화가 생길 경우, 기존 이동 시기에 맞춰 번식지에 도착한 철새들은
면역
이 없는 새로운 바이러스에 그대로 노출되는 등 위험에 봉착할 수 있다. 새 바이러스는 인간 사회에도 위협적이다. 전세계적인 고온 현상이 지속될 경우 몇몇 조류 종은 이동에 드는 에너지와 위험성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감염병 피해, 크게 줄어들고 있다
2023.09.24
걸리게 되었다. 의학지식이 감염병해결에 큰 도움이 된 것은 사실이지만 청결한 위생과
면역
력 증가를 가져올 수 있는 인류의 생활방식의 변화가 감염병 해결에 무엇보다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는 것이 인류가 세상을 대하는 자세를 다시 한 번 생각해 보게 한다. ※ 참고문헌 1.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암소와 백신의 탄생…감염병 원인 찾는 여정(2)
2023.09.09
일이었다. 제너가 두창(천연두)을 해결할 수 있었던 것은 두창과 유사하여 두창에 대한
면역
력을 키울 수 있으면서도 증상이 약한 우두라고 하는 감염병이 존재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런 경우는 그 후로 발견되지 않을 만큼 특이한 경우였으므로 파스퇴르가 백신을 개발하고자 할 때 좋은 방법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육류 알레르기가 드문 이유
2023.08.23
한 건 분명해 보인다. 식품첨가물을 비롯해 다양한 인공 화합물이 옛날 같으면
면역
계가 그냥 넘어갔을 음식물의 단백질을 알레르겐으로 인식할 수 있게 자극하는 독소 역할을 하는 건 아닐까. 무더위가 물러서면 사찰을 찾아 며칠 머물며 천연 식재료로 만든 음식을 먹으며 심신을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감염병과 위생의 중요성
2023.08.22
않던 미생물이 감염병을 일으키는 일도 수시로 발생하기 시작했다. 때로는 사람의
면역
으로 버틸 수 없는 강력한 감염병이 유행하면서 집단으로 큰 피해를 입는 경우도 있었다. 지금은 그 원인을 어렵지 않게 찾아낼 수 있지만 속절없이 당하기만 했던 시절에는 원인과 치료법을 모른 채 경험적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착한 바이러스의 사악한 전략
2023.08.09
데렐은 겸손함과 담을 싼 사람으로 자신의 발견에 우쭐해 당시 파스퇴르연구소의 저명한
면역
학자들을 무시했고 그 결과 왕따를 자초했다. 그가 무려 28번이나 노벨상 후보로 거론되고도 결국 받지 못한 배경이다. 한편 조지아(그루지아)의 미생물학자 조지 엘리아바는 1918년부터 3년 동안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