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용인
수락
접수
수납
수령
승인
시인
스페셜
"
수용
"(으)로 총 790건 검색되었습니다.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술후 합병증 해결 '무균처리법'의 발견
2024.03.03
위해 나름대로의 처리법을 제시했다. 19세기 산모 사망률 낮춘 의학자, 정신병원에
수용
된 사연(https://www.dongascience.com/news.php?idx=59139)에 소개한 것처럼 헝가리의 제멜바이스(lgnaz Philipp Semmelweis, 1818~1865)가 관찰과 통계를 통해 산모를 대할 때 손을 씻고 소독을 하면 출산 후에 발생하는 합병증인 ... ...
[표지로 읽는 과학] 흡연, 생각보다 오래 면역력에 영향 준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24
면역조절제로서 자가분비형 신호전달, 측분비 신호전달, 내분비 신호전달 과정에서 특정
수용
체와 결합하여 면역반응에 관여한다. 연구진은 면역 작용제 11가지에 22시간 동안 노출된 다음 질병 관련 사이토카인 13가지 농도가 어떻게 변하는지 측정하고 이를 면역 작용제에 노출되지 않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개에게 건포도를 주면 안 되는 이유
2023.12.27
kahweol)이라는 분자가 문제였다. 이 둘은 구조가 호르몬과 비슷해 소장 세포의 호르몬
수용
체에 달라붙어 간에게 저밀도지질단백질(LDL) 콜레스테롤을 만들라는 신호를 보낸다. 놀랍게도 필터 없이 추출한 커피에는 필터를 쓴 커피에 비해 두 분자가 30배나 들어 있다. 건강검진에서 필자의 LDL 수치가 ... ...
[과기원NOW] UNIST, NK세포 표적으로 암세포 전달하는 나노드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12.21
100nm 이하)의 입자 형태 물질인 AaLS 표면에 NK세포를 인지하는 단백질과 표피 성장 인자
수용
체를 인지하는 단백질을 융합시켜 나노드론을 개발했다. 난소암과 유방암 세포가 주입된 동물실험을 통해 효과를 확인했다. 특히 난소암 세포가 이식된 쥐 모델에서 NK세포와 인간의 면역세포를 함께 투여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빛을 향하는 식물 '굴광성'의 비밀
2023.12.13
것이다. 1997년 마침내 쌍떡잎식물인 애기장대에서 파란빛을 감지해 굴광성을 유도하는 빛
수용
체 포토트로핀을 찾았다. 외떡잎식물에는 자엽초 윗부분에 쌍떡잎식물은 하배축이라고 부르는 어린 줄기(콩나물의 몸통에 해당)의 상단부에 포토트로핀이 집중적으로 분포한다. 포토트로핀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겨울철 당기는 피부도 촉각일까
2023.11.15
가운데 일상적 의미의 촉각을 담당하는 게 메르켈세포(원반)이고 여기에 존재하는 촉각
수용
체 분자가 바로 Piezo2다. 피부에 뭔가가 닿아 살짝 눌리면 표피와 진피 경계면에 존재하는 메르켈세포의 막 곡률이 바뀌면서 막에 박혀있는 단백질인 Piezo2의 분자구조가 바뀌어 신호가 발생한다. 미국 ... ...
[과기원NOW] KAIST, 미생물 세포 공장 구축에 활용되는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11.09
복잡한 AI 모델의 의사결정을 탑승객이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해준다. 자율주행차의 기술
수용
도를 높이기 위한 차내 정보 시스템, 헤드업 디스플레이 등 첨단 전장(자동차 전기·전자 장비) 설계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 결과는 지난달 12일 국제학술대회 '유비콤프(ACM) 2023'에서 ... ...
[일상 속 뇌과학] 보잘것 없는 생물도 배우고 기억할까
2023.10.27
탐색해보았다. 그 결과 감각모가 건드려진 횟수와 무관하게 감각모를 통해 발생한
수용
체전위가 여러 개의 활성전위를 유발하는 경우에만 덫 구조가 닫힐 수 있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파리지옥의 덫 구조가 닫히기 위해 필요한 활성 신호의 조건 식물도 동물과 형태는 다른 방식으로 외부 자극을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노벨상도 혁신이 필요하다
2023.10.11
화학상의 수상 업적에 ‘DNA‧ATP‧리보좀‧생물고분자‧세포막‧단백질‧진핵전사‧
수용
체’는 물론 ‘준결정‧현미경’까지 등장하기 시작했다. 2000년대에 들어서서는 오히려 전통적인 ‘화학적 업적’은 오히려 찾아보기 어려워졌다. 결국 2020년에는 에마뉘엘 샤르팡티에와 제니퍼 A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암소와 백신의 탄생…감염병 원인 찾는 여정(2)
2023.09.09
자신의 주장이 무시당하자 성격도 변해 갔다. 친구들은 1865년에 그를 정신병 환자
수용
소로 보냈고 불과 2주일만에 손가락 상처에 의한 봉와직염이 패혈증으로 발전하는 바람에 사망하고 말았다. 한편 1960년부터 글래스고대 외과교수로 일한 영국의 리스터(Joseph Lister 1827~1912)는 미생물이 감염병의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