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용인
수락
접수
수납
수령
승인
시인
스페셜
"
수용
"(으)로 총 78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은 지금] KAIST, 말기 고형암 표적 2세대 면역치료제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4.21
수 있는 2세대 TCR-T 세포 치료제를 제작했다.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편집 기술을 이용해
수용
체 신호 전달의 핵심인 'CD247' 유전자에 추가 신호 전달체인 '트레프2-결합 도메인'이 포함되도록 개량했다. 유전자 편집을 통한 개량은 TCR-T 세포의 증식·지속성을 향상했다. 생쥐를 이용한 악성 흑색종 ... ...
[표지로 읽는 과학] 고도의 감각 지닌 문어 다리
동아사이언스
l
2023.04.15
논문 한편도 네이처에 발표했다. 극저온전자현미경은 ‘극저온’이라는 이름 그대로
수용
액에 담긴 생화학 분자를 영하 200도 이하의 극저온 상태로 급속히 냉각시켜 분자의 움직임을 잠깐 멈추게 한 뒤 정밀하게 관찰하는 전자현미경이다. 바이러스, 단백질 같은 생체 분자를 원자 수준에 가깝게 ... ...
[표지로 읽는 과학] 오메가3와 생리 반응의 연결고리
동아사이언스
l
2023.04.09
다른 신호로 변환해 전달하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연구결과는 G단백질 연결
수용
체를 표적으로 삼는 대사 및 면역 질환을 치료하는 약물 개발에 유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코로나19 긴 터널의 끝자락...초라한 K방역
2023.04.04
없는 날 선 독설도 볼썽사납다. 전문가들이 백신‧치료제도 개발하지 못했다는 지적은
수용
하기 어렵다. 우리가 초라한 최종 성적표에 절망해야 하는 것은 절대 아니다. 특히 정부의 방역 정책에 충실하고 성실하게 참여했던 국민의 입장에서는 더욱 그렇다. 오히려 개인적으로 감당하기 어려운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19세기 산모 사망률 낮춘 의학자, 정신병원에
수용
된 사연
2023.03.28
무시당하기를 반복한 제멜바이스는 1865년 친구들에 의해 정신병 환자
수용
소에 강제
수용
되었다. 그리고 2주일이 지난 1865년 8월 13일에 손가락 상처에 의한 봉와직염이 패혈증으로 발전하면서 세상을 떠나고 말았다. 같은 해에 영국에서 무균처리법을 주장한 리스터의 주장도 쉽게 받아들여지지 ... ...
[일상 속 뇌과학] 나쁜 기억은 왜 쉽게 잊혀지지 않을까
2023.03.24
시냅스 저하(long-term depression; LTD)를 매개하는 기능을 갖고 있으며, 다른 연구들에서도 AMPA
수용
체 세포내이입화 오류 및 기타 분자적 변화에 의해 문제가 생겨 장기 시냅스 저하에 문제가 생길 경우 이미 형성된 기억을 대체하는 새로운 기억 형성에 문제가 생긴다고 보고한 바 있다. 따라서 PTSD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마침내 밝혀진 냄새
수용
체 구조
2023.03.22
구조 연구를 통해 냄새분자가 어떻게 특정 냄새
수용
체에서는 활성화를 촉진하고 다른
수용
체에서는 억제하는가를 알아내야 후각에 대한 진정한 이해에 도달할 것이다. 앞으로도 갈 길이 멀다는 얘기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타인의 시선에서 생각하기 능력의 중요성
2023.03.11
동기 수준에 따라 달라진다. 예컨대 남성들도 여성들만큼 (금전 같은 보상을 걸면) 조망
수용
을 잘 해 내지만 사회적으로 돌봄이나 친절, 따스함 같은 미덕은 여성에게서 훨씬 크게 강조되기 때문에 굳이 “그럴 필요가 없어서” 타인의 입장에서 생각하는 훈련을 덜 하는 편이라는 연구 결과들이 ... ...
[기후위기와 산림] 염분 많은 간척지에서도 나무가 자란다
2023.02.23
대응하는 다양한 기회를 제공한다. 이미 해외에서는 생명공학기술을 적극적으로
수용
하고 산림에 적용해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한 전략 수단으로 삼고 있는 반면, 국내의 상황은 녹록치 않다. 유전자변형 식물에 대한 규제가 강하기 때문에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유전자변형 식물 상용화 승인이 단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칼륨 섭취 많을수록 건강...생물체에서 나트륨은 '조연'
2023.01.25
그 결과 나트륨 이온의 정보인 짠맛을 느끼는 능력이 진화한 게 아닐까. 실제 짠맛
수용
체는 혀 미뢰의 세포에 분포하는 나트륨 통로인 ENaC로 밝혀졌다. 야생동물이 짠맛이 나는 광물을 핥는 장면을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인류 역시 마찬가지였겠지만 약 1만 년 전 농업을 발명하면서 상황이 바뀌기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