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카메라"(으)로 총 446건 검색되었습니다.
- 제임스웹우주망원경이 포착한 목성 극지 오로라동아사이언스 l2022.08.23
- 사진과 색이 다르다. 적색과 황록색, 청색 3개의 특수 적외선 필터를 가진 JWST의 근적외선카메라(NIRCam)로 촬영한 것을 가시광 영역에 맞게 파장이 긴 것은 적색, 짧은 것은 청색으로 보이게 손봤다. 목성만 포착한 이미지에서 목성 남 북극 상층 대기까지 뻗은 오로라가 붉게 표시됐다. 오로라는 ...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우주개발, 순위 경쟁으로 변질시키지 않아야2022.08.17
- 확인하기 위해서 탑재해놓은 NASA와 애리조나주립대가 공동으로 개발한 영구음영지역 카메라인 섀도캠도 주목을 끌고 있다. 달 표면에서 영구적으로 햇빛이 들지 않는 그림자 지역의 반사율을 측정하는 장비다. 달 표면에서 액체의 흔적이 발견된다면 우주에서의 생명에 대한 우리의 관심이 크게 ... ...
- 제임스웹 과학자 "최고의 우주이미지 위해 30명이 6주간 매일 회의했다"동아사이언스 l2022.08.06
- 만들었다. 폰토피단 박사는 "예를 들어 SMACS 0723 은하단(galaxy cluster) 사진의 경우 근적외선 카메라 6종류, 중적외선 장비 4종류의 필터로 촬영한 이미지를 합성한 결과물"이라고 설명했다. 제임스웹우주망원경 임무에 참여한 클라우스 폰토피단 우주망원경과학연구소 박사가 3일 국제천문연맹(IAU) ... ...
- [한국 첫 달궤도선] “모두가 흥분하고 있다” 외신도 주목하는 ‘다누리’동아사이언스 l2022.08.05
- 달 영구음영지역 관측카메라 ‘섀도캠’이 달 탐사에 쓰이게 된다. 특히 편광카메라를 통해 달의 생성 과정과 지질 구조를 상세히 관측할 것으로 기대된다. 클리마 교수는 “달이 생성된 이후 혜성들에서 전달된 물과 같은 휘발성 물체들이 영구음영지대에 냉각돼 있을 것으로 ... ...
- [한국 첫 달궤도선] 다누리가 156만km까지 돌아 가는 이유동아사이언스 l2022.08.05
- 4m 높이 2.19m로 소형차 크기에, 무게 678kg이다. 고해상도 카메라(항우연 개발)와 광시야편광카메라(한국천문연구원 개발), 자기장측정기(경희대 개발), 감마선분광기(한국지질자원연구원 개발), 우주인터넷탑재체(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개발), 섀도캠(미국항공주국 개발) 등 임무를 위한 총 6개의 ... ...
- [한국 첫 달궤도선]다누리 5일 오전 8시 8분 우주로...4일 기립2022.08.04
- 장비와 우주인터넷 등 국산 탑재체 5종과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제공한 달 극지방 촬영 카메라를 싣고 있다. 당초 계획은 3일 발사였으나 스페이스X 사정으로 한 차례 발사가 연기됐다. 김대관 항우연 달탐사사업단장은 "팔콘-9 1단은 재사용하는 부분이어서 정기 점검에서 이상 발생은 항상 ... ...
- 한국 최초 달 궤도선 다누리 5일 오전 8시 8분 발사 확정동아사이언스 l2022.08.04
- 장비와 우주인터넷 등 국산 탑재체 5종과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제공한 달 극지방 촬영 카메라를 싣고 있다. 다누리는 발사 후 135일간 565만6000km에 걸친 여행 끝에 올 12월 달 궤도에 도착한다. 그 뒤 준비기간을 거쳐 내년 2월부터 12월까지 달의 100km 상공을 돌며 달 착륙 후보지 탐색, 자기장과 ... ...
- 한국 우주탐사선 '다누리' 내달 5일 135일간 달까지 긴 여행길 오른다동아사이언스 l2022.07.29
- 예정인 한국형 달 착륙선의 착륙 후보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항우연이 개발한 고해상도 카메라 ‘루티’가 착륙 후보지 49곳의 약 90%에 다하는 44곳을 실제로 촬영해 착륙 가능성을 평가한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섀도캠’은 달 극지역의 충돌구 등 음영지역을 촬영한다. 한국천문연구원이 ... ...
- 한국 첫 달 탐사선 다누리 발사 내달 5일로 연기…"팰컨9 추가작업 필요"동아사이언스 l2022.07.28
- 장비와 우주인터넷 등 국산 탑재체 5종과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제공한 달 극지방 촬영 카메라를 싣고 있다. 다누리는 발사 후 135일간 565만6000km에 걸친 여행 끝에 올 12월 달 궤도에 도착한다. 그뒤 준비기간을 거쳐 내년 2월부터 12월까지 달의 100km 상공을 돌며 달 착륙 후보지 탐색, 자기장과 ... ...
- 화성 표면서 스파게티 닮은 '의문의 물체' 포착연합뉴스 l2022.07.21
- 추정되는 알루미늄 포일 조각이 돌 틈 사이에 쓰레기처럼 끼어있는 의외의 장면이 카메라에 찍혀 공개됐다. 이 사진이 공개되자 인간이 아직 발도 못 디뎠지만 인간이 만든 쓰레기가 이미 행성을 오염을 시키고 있다는 경각심을 주는 상징적 장면이라는 촌평이 나왔다.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