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d라이브러리
"
발견
"(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단언컨대 사람도 겨울잠 잘 수 있다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분비되는 화학물질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발견
한 뒤 지금까지 6가지 유도물질 후보가
발견
됐다. 이 중에서 현재 튜폰 교수팀이 연구하는 아데노신과 최인호 연세대 교수팀이 연구하고 있는 T1AM이라는 물질이 가장 유력한 후보다. 과연 이 연구가 성공해 사람이 다시 겨울잠을 자는 날이 오게 될까. ... ...
고압송전탑 밑에 살면 정말 암에 걸릴까?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그러나 반대 측에서는 황당하다는 입장이다. 최 소장은 “이 정도로 뚜렷한 상관관계를
발견
하면 다양한 분석방법을 동원해 어떻게든 원인을 찾아내는 것이 합리적”이라며 “연구진이 섣불리 가능성을 차단했다”고 비판했다. 더구나 최 소장은 “이번 연구는 154kV와 345kV 고압송전선만 조사해 ... ...
2014 말의 해 멸종 대신 사람을 선택한 말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1호
말에는 천마와 페가수스가 있어. 천마는 경주 신라 고분에서 ‘천마도’라는 그림으로
발견
됐지. ‘박혁거세’ 신화에서 흰말이 알에 절하고 있다가 사람이 오자 하늘로 올라가고 알에서 박혁거세가 태어났다지. 너희 조상들도 천마를 으뜸으로 생각했던 것 같아.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페가수스는 ... ...
[Life & Tech] 중요한 결정은 오전에 하자!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상관없는 단어를 비교적 더 많이 떠올렸다. 추가 실험에서도 연구자들은 같은 현상을
발견
했고 도덕성은 오후보다 오전에 더 낫다는 결론을 내렸다.의지력도 쓰면 없어진다왜 이런 현상이 나타날까? 학자들은 우리가 정신을 단단히 붙들어 매고 유혹을 뿌리치는 일련의 행위(자기통제)에 에너지가 ... ...
아리스토텔레스의 시간여행 0을 찾아서!
수학동아
l
2014년 01호
0과 무한에 대한 우여곡절 역사에 대해 살펴봤다. 그렇다면 많은 수학자들의 노력을 거쳐
발견
된 0과 무한은 오늘날 어떤 활약을 하고 있을까? 우주부터 실생활까지 다양하게 활약하고 있는 대표적인 사례를 살펴보자1. 우리는 컴퓨터가 없는 세상을 상상하기 어렵다. 그런데 0이 없었다면 0과 1로 ... ...
[퍼즐 해결사] 퍼즐 해결사가 되기 위한 첫 관문
수학동아
l
2014년 01호
있는 호랑이 인형을 찾기 시작했다.바로 그때, 소마는 어묵을 먹고 있는 한 호랑이를
발견
했다. 그 호랑이의 등에는 소마가 찾은 숫자가 적혀 있었다! 소마는 호랑이에게 다가가 말을 걸었다.“바로 당신이죠? 아까 기차에서 나에게 문제를 준 사람!”호랑이 인형은 인형 탈을 벗고 소마에게 말했다. ... ...
Intro. 미스터리 입자 헌터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새로운 시작이다. 그리고 이 현장에 한국 물리학자도 함께 한다.1파트는 힉스 입자
발견
으로 촉발된 새로운 물리학 연구를 소개한다.2파트는 한국 과학자가 제안하고 세계가 찾는 대표 입자 세 가지를 소개하며,3파트는 한국 핵물리학 연구의 새 장을 열중이온가속기 제작 현장을 담았다 ... ...
BRIDGE 입자물리학 119년의 역사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입자물리학이 성립하고 발전한 119년의 역사를 정리해 봤다. 검은색은 입자 자체를
발견
한 역사다. 파란색은 관련한 이론의 발전사다.붉은색은 주요한 실험장비, 특히 입자물리학의 가장 강력한 무기인 가속기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미스터리 입자 헌터Part 1. 힉스에서 새로운 ... ...
Part 2 한국인이 제안한 미스터 입자3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혹은 둘 다일지는 아무도 모른다”며 “다만 우리가 찾는 영역에 있다면 반드시
발견
할 것”이라고 말했다.“짚더미에서 바늘 찾기 같다는 걸 압니다. 하지만 그 짚더미가 어디에 있는지 안다면 얘기는 달라지지요.”세메르치디스 단장이 인자하던 눈을 반짝, 크게 떴다.▼관련기사를 계속 ... ...
그 많던 공룡 배설물은 누가 다 치웠나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나온 것으로 추측했다. 장 속에 소화되지 않은 탄소질 찌꺼기가 있는 바퀴벌레 화석이
발견
된 적은 있지만, 나무 성분이 나온 것은 처음이다. 브란스키 교수는 “바퀴벌레는 중생대를 지배한 곤충 가운데 하나였다”며 “초식공룡이 멸종하면서 블라툴리다에도 먹이를 잃었지만, 지금도 일부 ... ...
이전
396
397
398
399
400
401
402
403
4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