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d라이브러리
"
발견
"(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어린이 과학자가 밝혀낸 회암사지 ‘ㅌ’자 구들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9호
굴뚝 방향으로 흐르면서 온돌을 따뜻하게 데우는 구조랍니다. 그런데 회암사지터에서
발견
한 ‘순환식’ 구들은 아궁이 두 개에서 나온 열이 굴뚝으로 한 번에 빠져나가지 않고 내부를 빙글빙글 돌면서 온돌을 데워요. 두 친구가 직접 모형을 만들어 실험해 보았더니 순환식 구들의 온도가 더 높고 ... ...
숨어있던 115번이 나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9호
원소로 바뀌는 과정을 관찰하고 양성자 수가 115개인 원소를 다시 찾아냈답니다. 만약 이
발견
을 IUPAC이 공식적으로 인정하면 무거운 원소들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에게 큰 도움이 될 거예요 ... ...
3억 5000살 먹은 전갈 등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8호
연구팀은 남아프리카공화국 이스텐케이프 지역에서 3억 5000만 년 전 데본기 전갈 화석을
발견
했어요. 당시 남아프리카공화국은 곤드와나 대륙에 속해 있었기 때문에, 연구팀은 이 화석에 ‘곤드와나 전갈’이라는 이름을 붙였답니다. 곤드와나 전갈은 곤드와나 대륙에 살았던 가장 오래된 육상생물 ... ...
조상님도 뵙고 까마득한 후손도 만나고 한가위 타임머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8호
방글라데시 사람들의 DNA를 비교했다. 그 결과 콜레라균에 저항하는 돌연변이 유전자를
발견
했다. 턱이 뾰족한 사람이 많아졌다‘사이즈 코리아 2007’에서 발표한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한국인의 얼굴형은 과거에는 둥글넓적했지만 지금은 턱이 갸름한 사람이 많다. 남성은 ... ...
지렁이가 지구온난화 주범?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7호
서버 박사팀은 심해에 사는 큰 사슴갯지렁이가 바다 속의 메탄농도를 올린다는 사실을
발견
했어요. 메탄은 이산화탄소보다 온실효과를 23배나 많이 일으키지만, 대부분 해양지각 속에 있어 지진이나 화산 같은 큰 사건이 일어나지 않는다면 바다나 대기로 한꺼번에 나올 일이 없어요.그런데 ... ...
메뚜기 VS 여치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7호
헷갈려요~!사촌언니랑 TV를 보는데 메뚜기가 나와 자신 있게 “메뚜기네!”라고 했어요. 그런데 곧 ‘먹이를 찾고 있는 여치’라는 해설이 나와 민망했어요. 도대체 여치와 ... 눈치가 빨라서 사람 기척을 느끼면 오랫동안 꼼짝 않고, 덤불 깊숙이 숨어서 울기 때문에
발견
하기 어려워요 ... ...
탐나는 멋진 점퍼, 북극곰 뇌에는 ‘극약’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6호
아니라 북극과 남극에서도 여러 형태로
발견
되고 있답니다.북극곰의 간에서 PFOS가
발견
된 적은 있지만 뇌에서 찾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에요. 동물의 뇌혈관에는 해로운 물질을 걸러내는 장벽이 있는데, PFOS는 이 장벽까지 통과해 뇌조직에 고스란히 쌓여 있었지요.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는 ... ...
‘태양’ 앞을 지나가는 ‘별’을 잡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6호
일식을 일으킬 수 있지요.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최초로 태양계 밖 행성의 일식 현상을
발견
했다고 발표했어요. 일식의 주인공은 지구에서 63광년 떨어진 곳에 있는 항성 HD189733이에요. 이 항성에 딸린 행성 HD189733b는 2.2일에 한 번씩 HD189733 주위를 돌고 있지요. NASA는 찬드라 위성과 XMN 뉴턴 위성이 ... ...
빙하기 한반도는 너구리 천국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6호
이렇게 극단적이야!갑자기 내려간 기온에 온몸을 웅크린 채 헤매다가 갈색의 털뭉치들을
발견
했어요! 가까이 다가가서 보니 순하게 생긴 작은 동물들이 오글오글 모여 있는 거 아니겠어요? 저 녀석들을 잘 꼬드겨서 담요 역할 좀 해달라고 해야겠어요.얘들아~. 잠깐 날 둘러싸 주지 않을래? 갑자기 ... ...
썰렁홈즈의 희한한 얼음 여행 앗! 세상에 이런 얼음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6호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가 처음 이 현상을 기록했을 정도로 오래 전에
발견
된 자연적인 현상이다. 뜨거운 물이 증발되면 양이 줄기 때문에 차가운 물보다 빨리 언다는 설명이 있다.또 뜨거운 물이 차가운 공기와 만나면 표면과 안쪽 물의 온도차가 커지고 대류현상이 활발해져 ... ...
이전
399
400
401
402
403
404
405
406
4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