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d라이브러리
"
발견
"(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의 비밀을 푸는 열쇠, 수학
수학동아
l
2013년 12호
뢰머는 지구가 목성에 가장 가까울 때와 멀 때 목성의 월식이 22분 차이가 난다는 사실을
발견
했다. 지구 공전궤도의 지름만큼 빛이 더 달려오느라고 22분이나 늦게 일어난 것이다.따라서 뢰머는 지구 공전궤도의 지름을 22분으로 나누어 광속을 구할 수 있었다. 그 속도는 약 21만 4000km. 현재 알려진 ... ...
[Knowledge] 독수리 먹이는 몇 종류일까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수재들도 쩔쩔 매는 수학 문제 4개를 복도에 게시한다. 청소를 하던 윌은 우연히 이것을
발견
하고 어렵지 않게 풀고 는 답을 남긴다. 놀란 램보 교수는 마침내 윌을 찾아내고 그를 수학의 세계로 안내하고자 한다. 여기서 램보 교수가 복도에 게시했던 문제가 바로 행렬 문제다. 4개의 문제 가운데 첫 ... ...
Part ∥. 우리는 왜 입으로 딴짓을 할까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우리는 솔로 생활을 멀리하고 애인을 만들어 키스를 하는 게 낫다.◀ 폼페이에서
발견
한 로마 벽화. 한 남성이 여성의 성기를 입으로 애무하는 모습이다.키스에서 더 멀리 나가면 입을 성기와 직접 접촉하는 오럴섹스가 있다. 10월 중순 개봉한 영화 ‘러브레이스’는 1970년대 미국에서 개봉해 큰 ... ...
박쥐의 ‘나뭇잎 보청기’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그 결과 집 안쪽에서 잴 때 바깥의 소리가 최고 10dB(데시벨)만큼 크게 들린다는 사실을
발견
했다. 소리가 거의 10배 증폭된다는 뜻이다. 반대 경우는 약 1.3배 정도 크게 들리는 데 그쳤다. 연구팀은 이 집이 박쥐가 먼 곳의 동료와 대화할 때 쓰인다고 추측했다.이 연구 결과는 ‘영국왕립학회보B’ 1 ... ...
[과학뉴스] 토성, 타이탄에서 플라스틱 재료
발견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훨씬 크고 빠른 소용돌이가 육각형을 이루며 회전하고 있다. 1980년에 보이저 1호가
발견
한 이후 33년 만에 소용돌이의 전체 모습을 온전히 촬영한 것이다 ... ...
나이들면 심장박동 느려지는 이유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붙여놓았던 센서로 들어오는 전기 신호 주기가 늙은 쥐일수록 느리다는 것을 우연히
발견
했다. 이에 연구진은 규칙적인 전기신호를 내는 동방결절을 쥐의 심장에서 분리했다. 심장이 규칙적으로 뛸 수 있는 건 동방결절에서 나오는 전기신호 때문이다.연구팀은 늙은 쥐의 심장에서 분리한 ... ...
소수를 쪼개면 우주가 열린다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데 필요한 복소수 영역까지 수 체계를 확장하다보면 소수도 다시 쪼개지는 것을
발견
할 수 있어요.”김 교수는 “소수가 지닌 매력의 상당 부분은 그 구조의 이해하기 어려운 본질에 있다”며 완전히 이해하고 나면 오히려 그 매력이 사라지지 않을까 걱정했다.하지만 말과는 다르게 공상이 ... ...
Part|. 입은 어떻게 진화했나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초기의 여과섭식 척추동물로는 캄브리아기 중기에 해당하는 캐나다 지층에서 화석이
발견
된 피카이아를 들 수 있다. 이 동물은 몸을 따라 반복되는 근절(근육 섬유를 이루는 근원 섬유에 있는 마디)과 꼬리부터 몸 앞 3분의 1까지 오는 척삭(척수 아래로 뻗어 있는 구조)이 있어서 창고기와 비슷하다. ... ...
PART 3. 실험하지 않고도 화학반응 예측한다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이야기한다.“노벨상 발표를 처음 들었을 때 정말 흥분되고 기뻤죠. 하지만 제가 새로운
발견
을 했을 때만큼은 아니었어요.”노벨상 수상자와 일반인 사이에 단 하나 큰 차이가 있다면 자신의 연구를 온전히 즐겼다는 것뿐이다.세계적인 석학들과 함께하는 토크콘서트로버츠 박사와 요나트 박사를 ... ...
[life & Tech] 동물은 어떻게 커플이 되었나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몸길이 22cm에 갈색 깃털을 가진 새다. 우리나라에서 아주 드물게
발견
되는데, 수컷한 마리가 여러 암컷을 거느리는 일부다처 새다. 독일 막스플랑크 조류학연구소의 바트 켐페네어스 박사팀이 이새를 7년간 관찰한 결과, 잠을 덜 자는 수컷일수록 짝짓기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잠을 덜 자면서 ... ...
이전
403
404
405
406
407
408
409
410
4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