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d라이브러리
"
크기
"(으)로 총 7,957건 검색되었습니다.
디지털 원전의 시간을 돌려라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1기를 짓는데 보통 4~5년이 걸리고, 비용은 2조 원이 넘게 든다. 하지만 실제 원전과
크기
만 다를 뿐 다른 조건은 모두 같게 만든 3차원 영상은 공간과 시간의 한계가 없다. 비용이 크게 줄어드는 것은 물론이다.시설물을 만들고 나면 서 교수의 마법은 본격적으로 펼쳐진다. 그는 3차원 ... ...
육종기술이 바꾼 풍성한 우리 식탁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집중호우 같은 악조건에서도 안정적인 품질을 유지하도록 육종됐다. 유명보다 무르고
크기
가 작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인류 농업사 이끈 일석팔조 기술대한민국 육종학의 아버지 우장춘을 만나다육종기술이 바꾼 풍성한 우리 식탁입맛과 에너지 잡는 견인차 '분자육종 ... ...
멀티모델앙상블로 날씨 변덕 잡는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수평파와 수직파로 동시에 보낸다. 물방울의 수직축과 수평축 길이를 알아내 입자의
크기
와 모양을 유추할 수 있기 때문에 더 정확하게 강수량을 산출해 게릴라성 호우와 일반 강수 형태를 구분할 수 있다. 이런 위상차는 레이더의 오차나 기타 잡음 같은 외부 요인에 영향을 받지 않아 더 정확히 ... ...
바이러스 껍질, 캡시드의 기하학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이뤄진 DNA단일가닥 유전체를 단백질 2700개가 감싸고 있다. 역시 단백질의 개수는 염기
크기
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실제로 M13 박테리오파지의 유전체 대신 불과 221개의 염기로 이뤄진 DNA단일가닥 고리를 넣어주면 단백질이 95개만 참여하는 미니 바이러스가 만들어진다. 이 경우 ... ...
LED, 21세기 밝힐 경제적 친환경 빛 뜬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발표했다.박 교수팀은 광결정의 빛 방출 특성에 주목했다. 광결정은 굴절률이 다른 나노
크기
의 두 물질이 주기적으로 배열된 구조로, 그 주기성에 따라 특정한 빛깔을 낸다. 특정 파장의 빛만 방출시킨다는 뜻이다. 대표적인 광결정 구조로 몰포나비 날개가 있다. 이 나비의 날개는 색소가 들어 있지 ... ...
원자로 냉각의 한계를 넘어서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시간이 지나서야 실제 원자로 중대사고 시 발생하는 열속(약 1.5MW/m2)에 다다랐다(A4용지의
크기
만한 용기에서 나오는 1.5MW/m2의 열속은 동네 목욕탕의 18° 냉탕을 1초 만에 100°C로 끓일 수 있다). 이를 냉각시킨다면 세계 최초로 3차원 실험을 성공함과 동시에 중대사고에도 안전하게 원자로가 보존될 ... ...
음료수 속에 숨은 과학 제2탄!!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만든 모자!알루미늄은 철보다 이온화 경향성이 크다. 이온화 경향이 큰 금속은 반응성이
크기
때문에 공기 중의 산소와 잘 반응한다. 하지만 실제로는 알루미늄이 철보다 잘 산화되지는 않는다. 이는 산화알루미늄피막 때문이다.알루미늄은 공기와 접촉하면 아주 급속히 산화하면서 산화알루미늄이 ... ...
빛과 전자가 만나 광정보통신 세계 연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하지만 광섬유의
크기
가 문제였다. 광섬유는 트랜지스터와 같은 반도체소자보다도
크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소자 하나는 지름이 50~80nm인데, 광섬유의 지름은 약250μm(마이크로미터, 1μm=10˗6m)로 5000배이상 굵다.“이를 해결할 대안이 바로 플라즈몬파를 이용한 광도파로입니다. ... ...
봉황의 오색 울음소리 생황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나무통으로 만들거나 금속으로 만드는 경우도 많다. 통의 위쪽에는 구멍을 뚫고 각각
크기
가 다른 대나무 관을 돌려 가며 꽂는다. 관에는 검은 대나무인 오죽을 쓰며 관이 길수록 단위시간당 진동수가 낮아져 낮은음이 나고 관이 짧을수록 진동수가 높아져 높은음이 난다.숭실대 소리공학연구소 ... ...
과학고 입시 예상문제 완전분석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그대로 가리킨다. 반면에 등가속도로 상승하는 경우, 체중계와 주고받는 수직항력의
크기
는 중력보다 크므로 측정되는 무게는 본인이 알고 있던 몸무게보다 크다. 등가속도로 하강하는 경우에는 체중계에 표시되는 무게가 실제 몸무게보다 작다. 또한 관성의 법칙에 의해 정지 관성이나 운동 관성이 ... ...
이전
396
397
398
399
400
401
402
403
4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