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d라이브러리
"
크기
"(으)로 총 7,957건 검색되었습니다.
달 정착촌 후보지 찾아 나서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충격을 일으킨다. 여러 전자 장비에 손상을 주게 되는 것이다.게다가 이러한 먼지는
크기
가 매우 작고 정전기에 의해 붙어 있기 때문에 떼어내기가 어렵다. 따라서 현재로서는 달에 기지를 설치할 때 가능한 한 먼지에 의한 문제가 가장 적은 지역을 찾아보는 수밖에 없다. LRO에 장착된 ‘달 궤도 ... ...
꽃가루 화석에서 피어난 한반도 과거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뿌린다. 바로 수정이다. 씨방은 자라 열매가 되고 씨방에 있는 밑씨는 자라 씨앗이 된다.
크기
가 100㎛(마이크로미터, 1㎛=10-6m) 이하인 꽃가루가 꽃밥 속에 수천 개씩 들어 있지만 모두 수분에 성공하는 것은 아니다. 나머지는 토양 입자인 실트(지름 2∼20㎛)나 점토(지름 4㎛ 이하)와 함께 바람이나 물을 ... ...
별똥에서 소리가 났다는 기록이 있다고요?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국보 228호다.한국천문연구원 고천문연구그룹 안영숙 박사는 “별자리에 표시된 별의
크기
를 등급마다 다르게 만든 상당히 정교한 성도(星圖)”라고 말했다. 천체관측기기에 대한 상세한 설명도 남아 있어 이를 토대로 복원하는 작업도 가능하다. 천체의 위치를 측정하는 관측기구인 간의나 ... ...
고체 거품 삶의 질 높인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미세한
크기
라 피부나 털에 잘 달라붙는다. 계면활성제의 종류와 양을 달리해 거품
크기
를 조절한다.머리를 감을 때도 거품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샴푸 역시 계면활성제가 들어 있는데, 젖은 머리에 샴푸액을 바르고 손가락을 몇 번 움직이기만 해도 머리 전체에서 쉽게 거품이 인다.“만일 거품이 ... ...
점점 작아지는 베텔게우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베텔게우스는 생애의 마지막에 가까워지고 있는 초거성으로 알려져 있다. 초거성은 원래
크기
의 100배까지 부풀었다가 폭발을 일으키거나 붕괴해 블랙홀이 되는 것으로 천문학계에서는 추측하고 있다.흥미로운 건 비록 작아지긴 했지만 밝기가 크게 줄어들지는 않았다는 점. 연구팀은 ISI를 비롯한 ... ...
제3세대 컴퓨터입력장치 '펜앤마우스 블루'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사용자 편의를 위한 다양한 기능도 눈에 띈다. 펜 오른쪽에 있는 버튼으로 문서의 글자
크기
를 손쉽게 바꿀 수 있으며, 같은 버튼으로 마우스 포인터의 움직임 속도도 바로 조절할 수 있다. 제어판에서 포인터의 움직임 속도 설정을 바꿔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앤 것이다.윈보드와 같은 ... ...
나노 세계 들여다보는 차세대 X선현미경 개발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서로 끌어당겨 표면을 작게 하려는 힘이다. 물은 다른 물질보다 표면장력이 매우
크기
때문에 컵에 흘러넘칠 듯 가득 채우더라도 잘 넘치지 않는다. 그동안 과학자들은 세제와 같은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으면 물의 표면장력을 줄일 수 없다고 여겨 왔다.하지만 연구단은 이런 고정관념을 ... ...
식품 속 거품의 핵심은 계면활성제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만든 거품은 부피가 작고 거품 벽이 단단하다. 카스테라가 베이글보다 부드럽고 같은
크기
라도 더 가벼운 이유는 바로 이 때문이다.술떡, 계란찜, 아이스크림도 모두 빵과 같은 고체 거품이다. 쌀을 발효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한 이산화탄소가 쌀의 단백질에 붙어 거품이 들어간 술떡, 계란을 휘젓는 ... ...
[핫이슈] 7월 22일 태양이 빛을 잃는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않는다.만약 달이 평소보다 지구에서 더 멀리 떨어진 위치에 있으면 달이 보이는
크기
가 태양보다 작다. 이때 일식이 일어나면 달이 태양을 완전히 가리지 못하고 반지처럼 보이게 된다. 이것이 바로 금환식이다. 또 1년 동안 일식은 2~5회, 월식은 3회 일어날 수 있다.전 지구적으로 보면 일식이 ... ...
난쟁이 인류 '호빗(호모 플로레시엔시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동굴에 모여 살았을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말했다. 그렇다면 인류의 지적 능력이 뇌의
크기
와 꼭 비례하는 건 아니란 의미일까.실제로 리앙 부아 동굴에서 함께 출토된 피그미 코끼리 정도의 포유류를 사냥하려면 호빗이 여럿 협동해야 하기 때문에 정교한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또 이들은 불을 ... ...
이전
398
399
400
401
402
403
404
405
4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