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d라이브러리
"
크기
"(으)로 총 7,957건 검색되었습니다.
아날로그에 디지털 입혀 증강현실 창조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어떤 사물이 있는지 위치가 정확히 파악되면 거기에 맞게 디지털 콘텐츠의 위치, 각도,
크기
를 바꿔 공간에 자연스럽게 어울리게 할 수 있다.실제로 연구팀은 광주과학기술원 캠퍼스를 축소한 3차원 입체모형에 로봇이 춤을 추는 이미지를 합성해냈다. 가로 세로 높이가 1m정도 되는 캠퍼스 공간의 ... ...
공룡 화석 발굴 키트 한반도의 공룡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울음소리를 내면서 걷기 시작한다.트리케라톱스코북 | 1만 8000원 → 1만 6200원실제 공룡
크기
를 1/150로 정교하게 축소했다. 종이로 만드는 공룡이지만 만드는 동안 가위나 풀 없이도 끼워 만들 수 있다. 트리케라톱스에 대한 자세한 설명서가 들어 있어 학습 효과도 높다. 티라노사우루스 모형도 있다 ... ...
DNA와 탄소나노튜브로 인공근육에 한걸음 다가간다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받는 방법을 찾는 일은 더욱 어렵다. 인공근육이 생체근육과 마찬가지로 적절한
크기
와 방향의 힘을 내려면 무엇보다도 대뇌의 명령을 해석하는 일이 중요하다.대뇌의 명령을 해석해 근육을 움직인다는 말은 대뇌에서 전달된 전기 신호를 움직일 수 있는 에너지로 바꾼다는 말이다. 연구단은 ... ...
아기별은 어떻게 태어나나요?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아기별 IRS7과 IRS5에서 대규모 자기장을 발견해 올해 1월 ApJ에 발표했다.사실 태양은 그
크기
로 볼 때 지구나 목성에 비해 자기장이 굉장히 약해 지구에 생명체가 살 수 있다. 자기장이 강했다면 고에너지 입자나 전자기파 때문에 생명체가 살기 힘들기 때문이다. 외계생명체를 수색하는 과학자들이 ... ...
나노광학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광통신은 빛이 다른 신호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무간섭성과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의
크기
가 같다는 선형성을 기반으로 발전했다. 하지만 나노광학은 극한 영역에서 나타나는 빛의 특이 현상과 비선형에 중점을 둔다. 예를 들어 폭이 수십 나노미터(1nm=10-9m)에 불과한 금속 구멍이 있다면 빛은 이를 ... ...
멤스 우주망원경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동일한 논리에 의해서 θ는 θz로 입사광과 동일하며 θT>θz이다. 두 광선이 동일한
크기
의 광센서에 도착하여 상을 형성하는 경우는 아래 그림과 같다. 광센서부 전체를 모두 이용하기 위해서는 센서부와 확대 추적 반사경의 길이가 현상 포착 반사경과 센서부 사이의 길이보다 더 길어야 한다 ... ...
몸도 마음도 튼튼해지는~건강짱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치료가 중요해요.게다가 비만 아동은 과도한 체중이 무릎 성장판을 눌러 제대로 키가
크기
어려워요. 체중이 1㎏ 늘면 무릎에는 세 배나 많은 3㎏이 실리거든요. 내 몸이 더 정교해진다!겉모습뿐만 아니라 운동 능력도 역시 아동기를 어떻게 보내느냐에 따라 달라져요. 아동기에는 뇌신경끼리 정보를 ... ...
선수마다 다른 축구화의 비밀, 스터드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회전할 때 궤적이 더 커 회전축으로부터 회전하는 물체 표면까지의 거리가 원통형보다
크기
때문이다. 이는 마치 굵은 스터드를 신은 것처럼 회전력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스터드의 높이가 낮은 축구화는 오랫동안 신어도 발의 피로가 적다. 또한 발 가운데에 놓인 가로방향 막대 스터드는 ... ...
초고도근시의 희망 렌즈삽입술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눈 속 방수의 흐름을 방해하면 안압이 상승해 녹내장으로 발전하기도 한다. 때로는 렌즈
크기
가 안 맞는 경우도 있는데, 이때는 눈 속 렌즈를 제거하고 약물을 이용해 치료해야 한다. 요즘은 수술 1~2주 전에 미리 홍채에 방수 순환을 돕는 작은 절개 창을 내 수술 후 안압상승이 상승할 것에 대비한다 ... ...
4단 변신 로봇 포인원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곤충으로 변신해 다리 6개로 기어 다니기도 한다.심지어 오랑우탄처럼 줄을 탈 줄도 안다.
크기
는 작아도 얕잡아 보면 안 된다. 사람이 눈과 귀로 정보를 수집하고 뇌에서 판단해 팔다리를 움직이듯이 포인원도 소리 센서로 소리를 감지하고 복잡한 전자회로를 이용해 팔다리를 움직이도록 명령을 ... ...
이전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