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빛을 찾아나선 사람들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4부에서는 별빛의 탄생 과정과 천문
학자
, 천체물리
학자
, 우주
학자
들의 모험을 따라 우주의 비밀에 한발짝 다가서본다.저자는 ‘빛 이야기’ 를 쓴 이유를 우리가 빛을 이용해 벌이는, 또 빛이 우리를 위해 벌이는 온갖 놀랍고 흥미로운 것들에 관해 그저 편안히 앉아 이야기 ... ...
무적의 보안기술 양자암호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학자
들이 대거 참여하고 있다.이에 비해 우리나라는 아직 얼마되지 않는 물리
학자
들과 수
학자
들만이 관련 연구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정보통신사업 분야의 기업적인 투자는 전무한 형편이어서 현재의 정보통신강국이라는 명성을 이어갈 수 있을지 염려스럽다. 또한 우리나라 정보보안의 취약성을 ... ...
과학체험으로 시작하는 신나는 여름방학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과
학자
가 되고 싶어요.” “나노과학에 관심이 있어요.” “평소에 플라스마가 뭔지 알고 싶었어요.” “과학 실험할 때가 가장 즐거워요.”30명의 미래 과학 ... 땀을 뻘뻘 흘렸다. 그러나 호기심이 많은 학생들을 바라보는 이들의 눈빛에는 미래의 과
학자
들에 대한 기대감이 느껴졌다 ... ...
은하수 속에 숨은 펠리칸성운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분포해 있음을 발견했다.이 성운에 북아메리카성운이라고 이름 붙인 사람은 독일의 천문
학자
막스 울프다. 사진이 천문학에 도입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았던 1890년 12월 울프는 하이델베르크에서 처음으로 이 성운의 사진을 찍었다. 사진에서 성운의 모습은 북아메리카대륙과 흡사했다 ... ...
우주로 향한 로켓기의 여정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바닥에 작은 구멍이 무수히 뚫려있다 1883~1952 독일과 스위스에서 활약한 러시아 태생의 화
학자
러시아의 도르파트에서 태어났다주로 독일에서 교육을 받고 라이프치히 대학 등에서 화학을 연구하여 1907년 학위를 취득했다처음에는 케토엔올의 호변이성(互變異性) 등을 연구하다가, H F 마크와 함께 ... ...
영화 '투모로우' 속 빙하기 과연 올 것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고정돼 있지 않기 때문에 빙하기와 간빙기가 발생한다는 가설을 생각했다. 오늘날 과
학자
들은 밀란코비치의 빙하기 생성이론을 받아들이고 있다. 이에 따르면 빙하기를 일으키는 지구의 운동은 3가지다. 첫번째는 태양주위를 도는 지구의 궤도 변화다. 지구의 공전궤도는 타원형이었다가 원에 ... ...
진화의 고리, 미생물의 힘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물론 그것의 사회역사적 배경에 이르는 다양한 이야기가 실려있다.오랫동안 과
학자
들은 미생물 실험을 수행할만한 적절한 기술이 없었기 때문에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하지만 과학기술의 발달로 병원균 박테리아는 전체 미생물의 일부에 불과하며, 오히려 대부분의 미생물은 토양을 비옥하게 ... ...
최신강의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MIT 오픈 강의 ocw.mit.edu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국내·외 물리학관련 연구정보를 제공하는 곳이다. 국내의 석사 이상의 모든 물리
학자
를 검색할 수 있으며, 전공에 따른 검색도 가능하다. 즉 물리학의 특정 분야 전문가를 쉽게 찾을 수 있다. 또한 각종 학술지와 논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수준높은 강의나 학습자료를 필요로 하는 호기심과 ... ...
여름밤 은하수 속 독수리성운 M16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연구가치가 매우 높다. 그래서 수많은 천문
학자
들을 매료시켜 왔다. 어떤 천문
학자
들은 독수리성운을 여왕별 성운이라고 부른다. 이 성운에 이런 별칭이 붙은 이유는 성운 내부에 있는 암흑성운이 흡사 의자같이 생겼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이 의자를 여왕의 옥좌로 보고 있다.실제로 여름철 ... ...
카시니가 보내온 토성 위성 포이베의 모습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너무나도 선명해 수많은 크레이터가 촘촘히 박혀있는 표면이 적나라하게 드러났다. 천문
학자
들은 이를 통해 포이베의 미스터리가 풀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전의 포이베의 모습은 1981년 NASA의 보이저2호가 토성 근처를 스쳐지나가면서 2백20만km 떨어진 거리에서 찍은 것이다.7월 1일 카시니호가 ... ...
이전
396
397
398
399
400
401
402
403
4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