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최초의 새는 날개가 넷?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덴마크 코펜하겐대 동물
학자
인 퍼 크리스찬센 교수와 코펜하겐 지리연구소 고생물
학자
인 닐 본드 박사 연구팀은 표본 분석 방식을 이용해 이 사실을 확인했다.조사 결과 연구팀은 시조새의 등과 다리 주위, 목아래에 깃털 자국들이 형성돼 있음을 확인했다. 게다가 놀랍게도 이 깃털들이 오늘날 ... ...
시동걸린 과학계 '히딩크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그의 ‘외도’ 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있다. 노벨상 수상 이후 폭넓은 대외활동 때문에
학자
로서 연구에 너무 소홀한 게 아니냐는 것이다. 비판적 입장은 비슷하지만 이와는 좀더 다른 각도에서 우려하는 시각이 있다. 주로 연구팀만을 이끌어온 러플린 교수가 과연 작은 학과도 아닌 거대한 학교 ... ...
04. 드라마 속 사랑 과학으로 다시 보기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배란기의 여성은 잠재적 경쟁자인 다른 여성들을 어떻게 평가할까.캐나다 요크대 심리
학자
인 마리안느 피셔 박사 연구팀은 57명의 여학생에게 다른 여성의 얼굴 사진을 보여주고 매력도를 평가하라고 지시했다. 그 결과 가임능력이 가장 높은 기간, 즉 에스트로겐 수치가 높은 시기의 여학생일수록 ... ...
서울대 물리학부 국양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뜯어본 것. 이 정도의 호기심은 과
학자
로서 당연한 것이라며 호기심 예찬론을 편다. “과
학자
로서 가장 중요한 덕목은 호기심이라고 생각해요”라며 “호기심이 생기면 주저하지 말고 풀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언뜻 보면 사소한 것 같은 호기심이 과학의 한계를 뛰어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해낼 수 ... ...
오르락 내리락 변덕쟁이 수면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지금보다 평균 3℃정도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는 기상
학자
와의 인터뷰도 이어졌다.기상
학자
: 지구의 온도가 단 1℃만 높아져도 에너지 균형이 파괴되기 때문에 예년과 달리 폭설이나 폭우, 이상고온 현상 등이 나타나게 됩니다.게다가 봄과 가을이 점점 짧아지고 한반도가 태풍의 위험 범위 안에 ... ...
불과 얼음의 운무, 벌레성운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존재함을 시사한다.이번 관측을 이끈 영국 맨체스터대 과학기술연구소의 천문
학자
알버트 지즐스트라 박사는 “흥미롭게도 이곳에는 작은 먼지 알갱이를 핵으로 해서 광물과 얼음이 얼어붙어 우박처럼 존재한다”며 “이런 복잡한 조성을 보이는 천체는 매우 드물다”고 말했다 ... ...
세계 최대 여객기 에어버스 A380 생산 시작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경우 7,000 전후의 백혈구 수가 10여만에서 수십만에 달하게 된다 1850~1930 독일의 물리
학자
실레지아의 그라이비츠에서 출생했고 베를린 대학 부속 천문대에 근무한 후 자기 연구실에서 연구를 계속했다기체의 전기현상, 특히 저압 가스방전(진공방전)을 연구하여 음극선 연구의 선구자가 되었다 뼈의 ... ...
01. 사랑은 뇌가 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따라서 디오니소스적 사랑과 아폴론적 사랑의 차이에 관해서는 인문
학자
뿐 아니라 뇌과
학자
들도 당분간 결론을 유보하는 편이 좋을 것 같다.볼레로러시아의 여배우이자 무용가인 이다 루빈스타인의 의뢰로 1928년 라벨이 작곡한 관현악곡. 원래 볼레로는 연애의 흥분을 연상시키는 몸짓으로 한쌍의 ... ...
나는 사랑의 몇단계에 와있을까?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조절하며 도파민의 분비를 촉진시켜 성욕을 느끼게 한다. 캐나다 콘코르디아대 심리
학자
짐 파우스 박사는 남성에서도 에스트로겐이 중요하다고 추측했다. 쥐와 새 수컷의 뇌 시상하부에서 테스토스테론이 에스트로겐으로 바뀌어 성적 활동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산화질소성적 흥분시 ... ...
협력의 산물인가 경쟁의 산물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지배적이었다.쇼클리는 뛰어난 창의성을 발휘해 이미 1945년 봄에 일리노이대 전기공
학자
닉 홀로니악의 아이디어를 따서 최초의 반도체 증폭기를 직접 디자인했다. 그런데 구상과 달리 증폭기는 예상대로 작동하지 않았다. 그해 8월 연구팀이 구성되자 쇼클리는 자신의 안을 바딘과 브래튼에게 ... ...
이전
398
399
400
401
402
403
404
405
4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