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03. 두 대륙이 충돌해 한반도 형성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진화사에 관해 좀더 정밀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앞으로 국민들의 더 많은 관심, 젊은 과
학자
들의 패기와 도전이 필요하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한반도 자연사 10대 사건 01. 맨틀에서 탄생한 한반도 02. 바다에서 육지로 떠오른 강원도 03. 두 대륙이 충돌해 한반도 형성 04. 땅속 불구덩이가 ... ...
살아있는 물리학의 신화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병적인 완벽주의로 사람들과 친하게 지내지 못했다. 하지만 두사람은 최고의 천재 물리
학자
라는 공통점을 갖고 있었다.‘스트레인지 뷰티’는 겔만의 인간적인 상처와 아픔을 가감 없이 전해줌으로써 ‘위대한 천재의 영웅적 전기’에서 탈피하고 있다. 한사람의 불완전한 인격체를 진솔하게 ... ...
여왕의 명령은 알에 있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해둬 일개미가 낳은 알보다 우월한 대우를 받게 한다는 것.독일 뷔르츠부르그대의 곤충
학자
인 유르겐 리비히 박사는 일개미들이 화학표지를 감지해 여왕개미가 낳은 알과 일개미들이 낳은 알을 구별한다고 추정했다. 연구진은 이 가설을 입증하기 위해 여왕개미와 일개미가 낳은 알의 표면에 ... ...
천문
학자
들, '10번째 행성'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분비되는 액체로 질의 산성을 중화시킨다 이 액체가 분비되는 장소와그 역할을 해명한
학자
의 이름을 따 쿠퍼선액이라 부른다 여성의 질은 세균 감염을 막기 위해 산성을 띠고 있다맨눈으로 관찰하면 한 개의 별로 보이지만 천체망원경 같은 광학기로 보면 두 개 이상으로 보이는 별을 이중성이라 ... ...
06. 일본 떨어져 나가 동해 열리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그나마 동해와 울릉분지의 이름을 국제적으로 쓸 수 있는 것도 그동안 국내 지질
학자
들의 헌신적인 연구와 노력 덕분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한반도 자연사 10대 사건 01. 맨틀에서 탄생한 한반도 02. 바다에서 육지로 떠오른 강원도 03. 두 대륙이 충돌해 한반도 형성 04. 땅속 불구덩이가 ... ...
초콜릿 사랑한 물리
학자
의 연구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차지하는 공간이 68-71%에 이른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 연구에 참여한 프린스턴대 물리
학자
폴 채킨 박사는 10년 이상 어항 같은 그릇에 M&M 초콜릿을 비치해두고 간식으로 즐겨 먹었다고 한다.연구팀은 실험에서 한발 더 나아가 복잡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해봤다. 그러자 길쭉한 타원체의 경우는 ... ...
아름다운 머리카락 속의 검은 눈 'M64'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보통 은하에서는 안쪽이나 바깥쪽의 회전 방향이 동일하다. 천문
학자
들은 검은 눈 은하의 이런 현상을 10억년 전에 주변의 작은 은하를 잡아먹은 결과로 설명했다. 물론 지금은 작은 은하가 완전히 파괴됐고 회전 방향의 차이로만 흔적을 남겼다.은하 바깥쪽의 파란 별들과 ... ...
사고방식에도 국경이 있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오해 동양인과 서양인은 왜 다른 방식으로 생각하게 됐을까. 니스벳 교수를 비롯한 많은
학자
들은 오랜 시간에 걸쳐 있는 인과 고리를 추적했다.인류가 농업을 하기에 유리한 생태 환경에서는 자연스럽게 농업이 발달한다. 농업사회에서는 많은 사람들의 협동과 타협이 중요하기 때문에 엄격한 ... ...
조류에서 인간으로 온 독감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독감을 일으키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크게 A와 B, C 세종류로 나눌 수 있다.인플루엔자 B와 C는 인간에게서 발견된다. 반면 인플루엔자 A는 유전자 변이 ... 모든 지질학적 과정들에도 똑같이 작용했다고 보는 견해로서, 19세기 스코틀랜드 지질
학자
라이엘의 '지질학 원리'에서 본격적으로 ... ...
살아 숨쉬는 갯벌에서 느끼는 감동과 전율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조금은 짐작할 수 있겠다. 그래서 백용해 소장은 갯벌사진작가인 동시에 게 행동생태
학자
로 불린다.살아 숨쉬는 생명의 모습을 담은 사진과 스스로 개발한 독특한 연구방법을 바탕으로, 갯벌을 무대로 살아가는 생물과 사람들의 삶을 고루 엮어 쓴 ‘갯벌 이야기’는 그의 특징을 가장 잘 보여주는 ... ...
이전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