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액취 없애려다 유방암 걸린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방부제 ‘파라벤’이 유방암 조직에서 검출돼 논란이 일고 있다.영국 레딩대 분자생물
학자
필리파 다브레 박사팀은 20개의 유방암 조직 가운데 18개에서 이 물질이 확인됐다고 ‘응용독성학 저널’ 최신호에 발표했다. 이 물질의 평균 농도는 조직 1g당 20.6ng(나노그램, 1ng=${10}^{-9}$)이었다.파라벤은 ... ...
1. 공간_공간의 융합이 시작된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수많은 작은 컴퓨터들이 서로 협조하면서 목적을 달성하는 것을 뜻한다. 이처럼 나라나
학자
마다 미묘한 해석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유비쿼터스가 지금과 전혀 다른 새로운 공간과 미래를 열어줄 것이라는 데는 모두가 공통적인 입장이다.사람이 알지 못하는 사이에 벌어지는 사물과 사물간의 ... ...
사카무라 겐 교수 인터뷰 : "2004년 유비쿼터스가 세상 밖으로 나온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이 말을 쓰기 이전부터 유비쿼터스는 존재했다. 어쩌면 더 완벽한 미래를 상상하는 모든
학자
들이 유비쿼터스 아닌 유비쿼터스를 머릿속에 그리고 있을지 모를 일이다.그 가운데 사카무라 겐이라는 입지전적인 인물이 있다. 사카무라 겐 도쿄대 교수는 현재 일본에선 유비쿼터스 연구 분야의 대부로 ... ...
유인화성탐사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형성될 것으로 보이는데 개당 1백80달러에 이르는 고부가가치 상품이다1827년 영국의 식물
학자
브라운은 꽃가루를 물 위에 띄우고 현미경으로 그 움직임을 관찰, 꽃가루들이 무질서하고 활발한 운동을 하는 것을 발견했다 이를 브라운 운동이라 하는데, 발견 당시에는 그 원리를 몰랐다가 1905년 ... ...
세계 최고 볍씨 발굴 이융조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모두 포크레인으로 떠올린 막대한 양의 토탄층을 체질해서 볍씨를 찾아냈어요.다른 고고
학자
의 경우 유적지에서 볍씨를 찾아냅니다. 그러나 저는 토탄층에서 볍씨를 찾아냈기 때문에 체질이 중요했어요. 아마도 이런 발굴방법은 세계적으로 유일할 겁니다. 다른 발굴에서도 체질은 ... ...
흡입한 나노입자가 뇌까지 침투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실험이 진행된 7일간 나노입자의 농도는 꾸준히 증가했다.영국 에딘버그대 독물
학자
인 켄 도날드슨 박사는 “흡입한 나노입자가 뇌에서 발견될 수 있다는 생각을 해본 적이 없다”며 “이번 연구결과는 이를 보여주는 최초의 사례”라고 말했다.연구자들은 냄새물질과 결합한 탄소나노튜브가 ... ...
남북한 공동 식물지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큰 도움이 되리라고 예상할 수 있다. 국경 없이 자유롭게 자라는 식물처럼 과
학자
들이 남북한을 오가며 5-6년 후 한반도 식물지 완성이라는 결실을 맺는다면 뜻깊은 남북협력 연구사례로 기록될 전망이다 ... ...
겨울 밤 남쪽 밤하늘을 장식하는 보석 두개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그리스 영웅들이 탔던 배 아르고호에서 유래됐다.아르고자리는 18세기 프랑스의 천문
학자
라카이유에 의해 4개의 별자리로 분리됐다. 용골자리, 고물자리, 돛자리, 나침반자리가 그것이다. 고물자리는 아르고호의 끝부분으로 이뤄진 별자리다.별들이 모래처럼 깔려있는 M46 관측도구의 도움 없이 ... ...
블랙홀 탄생의 순간, 우주가 놀란 감마선폭발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이런 일이 일어날지도 모를 일”이라고 말했다.이런 주장에 대해 미국 버클리대 고생물
학자
제레 립스 교수는 “감마선폭발은 오르도비스기 대멸종을 설명하는 여러 가설 중 하나일 뿐”이라며 “가설은 검증을 받아야 인정되는 것 아니냐”며 신중한 반응을 보였다 ... ...
광우병 그 정체를 밝힌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실험동물이 죽은 것인지는 알 수 없다.프리온 질병 연구에 지금 이 시간에도 수많은 과
학자
가 도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이 병에 대한 수수께끼는 모두 해결되지 못했다. 이 질병의 병원체가 바이러스와 프리온 단백질이라는 상반된 학설로 가주섹과 프루시너가 각각 노벨상까지 ... ...
이전
404
405
406
407
408
409
410
411
4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