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특명! 물을 찾아라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크레이터가 당초 예상과 달리 호수와는 거리가 먼 것으로 드러났다고 한다. 이에 대해 과
학자
들은 과거 오랫동안 왕성한 지질활동이 일어나 호수의 흔적을 지워버렸거나 묻어버렸을 수 있다고 말한다. 19일 현재 스피릿은 아직 물의 증거를 찾는데 성공하지 못한 셈이다.스피릿은 90일간 화성표면을 ... ...
1. 공간_공간의 융합이 시작된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수많은 작은 컴퓨터들이 서로 협조하면서 목적을 달성하는 것을 뜻한다. 이처럼 나라나
학자
마다 미묘한 해석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유비쿼터스가 지금과 전혀 다른 새로운 공간과 미래를 열어줄 것이라는 데는 모두가 공통적인 입장이다.사람이 알지 못하는 사이에 벌어지는 사물과 사물간의 ... ...
역사 속에서 걸어나온 과학기술자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조선시대 궁중비법은 한의
학자
들도 연구할텐데 과연 경쟁력이 있을까. “보통 한의
학자
들은 ‘동의보감’ 같은 의학서만 봅니다. 하지만 조선시대 왕실의 건강비법은 일상생활 곳곳에 스며있어요. 그러니 왕실의 각종 기록과 내의원 고문서 같은 것을 샅샅이 살펴봐야 하는데, 여기까지 관심을 ... ...
물리학으로 풀어낸 물수제비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다시 아래로 떨어지면서 대기층을 튕겨가는 방식을 되풀이한다. 리버모어연구소의 과
학자
들은 비행기가 이런 식으로 18번의 물수제비를 뜨면 시카고에서 로마까지 72분에 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물수제비를 실제로 활용한 예도 있다. 2차대전이 한창이던 1943년, 영국군은 독일 루르지방의 ... ...
광우병 그 정체를 밝힌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실험동물이 죽은 것인지는 알 수 없다.프리온 질병 연구에 지금 이 시간에도 수많은 과
학자
가 도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이 병에 대한 수수께끼는 모두 해결되지 못했다. 이 질병의 병원체가 바이러스와 프리온 단백질이라는 상반된 학설로 가주섹과 프루시너가 각각 노벨상까지 ... ...
사카무라 겐 교수 인터뷰 : "2004년 유비쿼터스가 세상 밖으로 나온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이 말을 쓰기 이전부터 유비쿼터스는 존재했다. 어쩌면 더 완벽한 미래를 상상하는 모든
학자
들이 유비쿼터스 아닌 유비쿼터스를 머릿속에 그리고 있을지 모를 일이다.그 가운데 사카무라 겐이라는 입지전적인 인물이 있다. 사카무라 겐 도쿄대 교수는 현재 일본에선 유비쿼터스 연구 분야의 대부로 ... ...
누가 다윈의 진정한 후예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등장하면서 다윈의 자연선택 이론은 암흑기를 맞았다. 그 후 1920-30년대 집단유전
학자
들이 종 간의 작은 차이가 시간이 흐르면서 엄청난 차이가 된다는 것을 수학적 모델링으로 증명했다. 이런 움직임이 다시 자연선택 이론이 정설로 받아들여지게 된 결정적 계기가 됐다.이보디보(evo-devo)진화와 ... ...
우주탐사선 혜성 물질 낚아챘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낙하산을 타고 미국 유타사막에 떨어질 예정이다.이 계획의 책임자인 미국 워싱턴대 천문
학자
도널드 브라운 교수는 “혜성 물질은 태양계 생성 초기 상태를 간직하고 있다”며 “이를 연구하면 지구와 같은 행성이 어떻게 형성됐는지, 지구에 생명체가 어떻게 시작됐는지에 대한 단서를 찾아낼 수 ... ...
겨울 밤 남쪽 밤하늘을 장식하는 보석 두개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그리스 영웅들이 탔던 배 아르고호에서 유래됐다.아르고자리는 18세기 프랑스의 천문
학자
라카이유에 의해 4개의 별자리로 분리됐다. 용골자리, 고물자리, 돛자리, 나침반자리가 그것이다. 고물자리는 아르고호의 끝부분으로 이뤄진 별자리다.별들이 모래처럼 깔려있는 M46 관측도구의 도움 없이 ... ...
블랙홀 탄생의 순간, 우주가 놀란 감마선폭발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이런 일이 일어날지도 모를 일”이라고 말했다.이런 주장에 대해 미국 버클리대 고생물
학자
제레 립스 교수는 “감마선폭발은 오르도비스기 대멸종을 설명하는 여러 가설 중 하나일 뿐”이라며 “가설은 검증을 받아야 인정되는 것 아니냐”며 신중한 반응을 보였다 ... ...
이전
404
405
406
407
408
409
410
411
4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