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계 초대 얼짱은 초상화 덕분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한마디로 “초상화에서처럼 강렬한 눈빛은 어디에도 없었다”고 증언했습니다. 또 골상
학자
들은 깎아지른 듯한 이마는 유럽인보다는 아메리카 인디언에 가까운 형태라고 분석했습니다. 과학계 초대 얼짱은 이렇게 탄생한 것입니다 ... ...
피부색 따른 인종 구분은 넌센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적다. 반면에 유럽의 백인과 아프리카 흑인은 유전적으로 매우 가까운 사촌간이다.유전
학자
인 미국 스탠포드대 노아 로젠버그 박사는 전세계 52개 지역, 1천명 이상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인간 게놈에서 진화의 지표가 되는 3백75곳의 변이를 조사했다. 그 결과 인류는 유전적 유사성에 따라 5개 ... ...
부족한 백신, 누구에게 접종?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발생했는데 백신이 충분하지 않다. 이럴 경우 누구에게 백신을 접종시켜야 할까? 물리
학자
가 이에 대한 해법을 제시했다. 네트워크 이론으로 사람들의 구체적인 정보 없이 슈퍼전파자를 찾아내 백신을 접종한다는 것.질병 전파를 차단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많은 사람과 접촉하는 이에게 백신을 ... ...
02. [시간의 물리학] 시간여행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조정작업을 통해 만들어진다. 그런데 이 작업이 성공할 확률은 아주 낮아서 일부 과
학자
들은 그와 같은 미세 조정 작업이 불가능하다고 주장한다.결론적으로 말해서 타임머신을 만드는 것은 장애물들이 많으므로 겉보기에는 거의 불가능한 것처럼 생각된다. 하지만 손가락으로 뚫은 구멍을 통해 ... ...
04. [시간의 측정] 왜 시계는 정확해져야 하나?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전압을 가하면 일정한 진동수로 진동하는 ‘압전효과’라는 것이 있다. 이 효과는 물리
학자
이자 방사선을 발견한 퀴리 부인의 남편인 피에르 퀴리가 발견했다. 이 효과를 이용한 시계가 만들어지면서 그 이전의 가장 좋은 진자시계보다 훨씬 정확한 시계가 등장하게 됐다.수정시계가 발명됨으로써 2 ... ...
야생에서 배우는 인간을 위한 생존전략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저자 신디 엥겔 박사는 12년 동안 야생토끼와 재규어의 습성을 연구한 세계적인 동물행동
학자
다. 그녀는 이 책에서 야생동물들의 행동을 관찰하고 분석한 결과, 그들이 스스로 질병을 치료하고 건강을 관리한다는 사실을 알아냈음을 보여준다.예를 들어 침팬지는 털이 난 나뭇잎을 뭉쳐서 삼키는 ... ...
남극 극한 환경 무릅쓴 불굴의 도전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선장 일행도 기지를 찾아내 폴레섬에 남아있던 선원들 모두가 구조됐다.한편 영국 지질
학자
다글라스 모슨은 동남극 조지 5세 랜드를 조사했다. 그는 1912년 11월 동료 두명과 개 썰매 3대를 타고 탐험에 나섰다. 그러나 12월 14일 기지에서 5백km가 넘는 곳에서 동료를 태운 썰매 1대가 크레바스(빙하 속 ... ...
03. [시간의 역사] 옛날에는 시간약속을 어떻게 했나?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학문을 단순히 ‘인문학의 분야’로만 묶어둘 수 없는 이유, 과학에 뿌리를 둔 역사
학자
들이 있어야 하는 이유다. 달력의 참 의미 또한 지금 우리는 거의 의식하지 못하지만 실상 달력은 문명의 독자성 또는 주체성과도 깊은 연관이 있다. 오늘날에도 자신의 달력을 고집하는 나라들이 적지 않다. ... ...
갈릴레이, 목성 위성 발견해 명성 얻어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굴복할 수밖에 없었다. 당시 망원경은 정교하지 못했기 때문에 관측 사실은 전통 천문
학자
들에 의해 쉽게 무시돼 버렸다. 게다가 종교적 믿음이나 전해오는 문헌이 새로 관측된 사실에 비해 더 높은 권위를 갖고 있던 시대였으므로, 당시 종교적 체계의 근간을 이루던 전통전 우주관은 새로운 과학적 ... ...
신나는 콘서트, 즐거운 과학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계기로 ‘과학동아’의 ‘시네마 사이언스’ 코너를 맡아 4년 동안 연재한 글이 ‘물리
학자
는 영화에서 과학을 본다’가 됐다면, 늘상 품고 있던 “세상은 얼마나 복잡한가?”라는 질문의 해답을 찾아가는 과정을 엮은 책이 ‘과학 콘서트’였다. 그래서 ‘과학 콘서트’의 원래 제목은 ‘세상은 ... ...
이전
405
406
407
408
409
410
411
412
4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