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으로 본 얼짱과 몸짱 열풍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보고 있다는 사실은 미의 탐색기에 본능적인 기준이 있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그러나 과
학자
들은 어떤 기준인지 제대로 밝히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지난 1993년 미국 텍사스대 심리학과 데벤드라 싱 교수는 본능적으로 정해지는 하나의 기준을 찾아냈다. 싱 교수는 시대에 따라 아름답다고 말하는 ... ...
나노기술 미래의 시한폭탄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대한 영향 평가에 대한 예산도 이 수준으로 늘어나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반면 일부 과
학자
들은 상업화된 나노입자가 매우 미량이기 때문에 벌써부터 이에 대한 부작용을 염려할 필요가 없다고 주장한다. 또는 상업화도 안된 시점에서 유해성부터 논의하기는 힘들다고 말한다. 과연 방치해도 되는 ... ...
꽃피는 시기조절 유전자 한국인이 규명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너무나 낮아 가을에 파종한 밀이 살아남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당시 세계적인 생물
학자
인 리센코는 종자를 적절한 저온상태에서 일정시간 보관하는 춘화처리를 함으로써 봄에 밀을 심어 늦여름에 수확할 수 있게 했다. 그 결과 옛소련의 밀 수확량이 엄청나게 늘어날 수 있었다. 전문가들은 이번 ... ...
우주탐사선 혜성 물질 낚아챘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낙하산을 타고 미국 유타사막에 떨어질 예정이다.이 계획의 책임자인 미국 워싱턴대 천문
학자
도널드 브라운 교수는 “혜성 물질은 태양계 생성 초기 상태를 간직하고 있다”며 “이를 연구하면 지구와 같은 행성이 어떻게 형성됐는지, 지구에 생명체가 어떻게 시작됐는지에 대한 단서를 찾아낼 수 ... ...
파스퇴르연구소 한국 상륙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세포생물학팀장인 울프 네바스 박사가 내정됐다. 1백50여명의 한국과 프랑스 과
학자
들이 참여하는데, 단계적으로 규모를 확장해나갈 예정이다.과기부는 한국 파스퇴르연구소를 세계적인 연구소로 육성하기 위해 연구비와 우수인력을 전폭적으로 지원할 방침이다. 우선 KIST 내에서 출범하지만, 5년 ... ...
특명! 물을 찾아라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크레이터가 당초 예상과 달리 호수와는 거리가 먼 것으로 드러났다고 한다. 이에 대해 과
학자
들은 과거 오랫동안 왕성한 지질활동이 일어나 호수의 흔적을 지워버렸거나 묻어버렸을 수 있다고 말한다. 19일 현재 스피릿은 아직 물의 증거를 찾는데 성공하지 못한 셈이다.스피릿은 90일간 화성표면을 ... ...
물리학으로 풀어낸 물수제비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다시 아래로 떨어지면서 대기층을 튕겨가는 방식을 되풀이한다. 리버모어연구소의 과
학자
들은 비행기가 이런 식으로 18번의 물수제비를 뜨면 시카고에서 로마까지 72분에 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물수제비를 실제로 활용한 예도 있다. 2차대전이 한창이던 1943년, 영국군은 독일 루르지방의 ... ...
위대한 예술가는 타고난 신경생리
학자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20여년전 파리에서 있었던 일이다. 나이를 속이고 출품한 유치원생의 그림이 성인들의 작품을 제치고 그랑프리를 차지했다. 당연히 프랑스 화단은 ... 것이다. 게다가 이런 탐구가 가져올 유용성도 무척 커 보인다. “뛰어난 예술가는 뛰어난 과
학자
이기도 하다”는 말이 실감나는 순간이다 ... ...
과학계 초대 얼짱은 초상화 덕분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한마디로 “초상화에서처럼 강렬한 눈빛은 어디에도 없었다”고 증언했습니다. 또 골상
학자
들은 깎아지른 듯한 이마는 유럽인보다는 아메리카 인디언에 가까운 형태라고 분석했습니다. 과학계 초대 얼짱은 이렇게 탄생한 것입니다 ... ...
역사 속에서 걸어나온 과학기술자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조선시대 궁중비법은 한의
학자
들도 연구할텐데 과연 경쟁력이 있을까. “보통 한의
학자
들은 ‘동의보감’ 같은 의학서만 봅니다. 하지만 조선시대 왕실의 건강비법은 일상생활 곳곳에 스며있어요. 그러니 왕실의 각종 기록과 내의원 고문서 같은 것을 샅샅이 살펴봐야 하는데, 여기까지 관심을 ... ...
이전
403
404
405
406
407
408
409
410
4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