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약품
약제
의약품
약물
의약
꽃밥
의약제
d라이브러리
"
약
"(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전 세계를 이어주는 거대 풍선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4호
데에도 성공했어요. 이전까지 이 지역은 높은 나무에 올라가야만 신호를 겨우 미
약
하게나마 받을 수 있었지요.구글은 2015년까지 이 풍선을 300~400개 정도 띄워 도시와 떨어져 있는 시골 등 전 세계 곳곳에 인터넷을 보급할 계획이라고 밝혔어요 ... ...
밀물 썰물로 전기가 찌릿찌릿 시화호 조력발전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4호
시화호에 있던 바닷물이 다시 서해로 빠져 나가. 이렇게 하루에 두 번 반복하면서
약
9시간 동안 전기를 만들 수 있다고 해.푸른 잔디와 나무가 있는 공원에서 친환경적으로 전기를 만드는 발전소까지…. 친구들도 시화호 조력발전소로 놀러 가서 숨은 매력을 찾아보길 바랄게~ ... ...
송이버섯 VS 양송이버섯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4호
소나무가 스스로 만들지 못하는 질소나 무기물 같은 영양을 주며 소나무와 공생해요.
약
10~20cm의 길고 하얀 자루 위에 동그란 갓이 달려 있고, 좋은 향과 함께 맛도 뛰어나 버섯 가운데서도 손꼽히는 비싼 식재료랍니다. 특히 송이의 자생지인 우리나라와 일본에서 즐겨 먹지요. 먹으면 큰일 나는 ... ...
달 연구 전문가 ‘지구가 더조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4호
7월 20일 오후 10시 56분 20초, 달착륙선인 이글호는 ‘고요의 바다’에 무사히 착륙했다.
약
6시간 후, 닐 암스트롱은 달 표면에 첫 발자국을 디뎠다.“썰렁홈즈, 자네도 발자국을 한번 찍어 봐야지?”미션4 다시 지구로~!1969년 7월 16일에 출발했던 세 우주인은 같은 달 25일에 다시 지구로 돌아왔다.달에 ... ...
화성으로 가는 지구의 비행접시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3호
약
37km 고도까지 초음속으로 올라가요. LDSD가
약
55km 고도에 도착하면 속도가 음속(1초당
약
340m)보다 빨라진답니다. 그리고 헬륨을 넣어 거대 풍선을 빵빵하게 만들지요. 이 거대 풍선은 지름이 140m나 돼요. LDSD 몸체는 거대 풍선과 떨어져 음속보다 4배가 빠른 속도로 우주를 비행할 거예요. 그 뒤 ...
달에 까만 토끼가 살고 있는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3호
운석을 분석했어요. 그 결과 달의 운석에는 지구에 있는 암석과는 전혀 다른 물질이
약
50%나 들어 있다는 것을 발견했지요. 연구팀은 이 물질이 테이아의 파편이라고 설명했어요.들으면 들을수록 매력적이구나! 당장 달을 정복하러 갈래!안타깝지만 닥터 그랜마. 달에 온다면 단 1분도 버티기 어려울 ... ...
무한도전 멤버도 몰랐던 카레이싱 사이언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3호
배우고 나니까 자신감이 가득 충전됐어요! 이번 경주에서 우리 무한도전 멤버들이 활
약
할 수 있도록 친구들 모두 열심히 응원해 주세요! 그럼 코리아스피드페스티벌 현장에서 다시 만나요! 무한~도전 ... ...
동해안 모래 실종사건, 범인을 잡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3호
위해 다른 지역의 모래를 가져와 메우고 있다지 뭐야. 우리와 상황이 비슷한 일본은
약
180년 뒤면 해수욕장이 완전히 사라질 수도 있다고 해. 히익~! 해수욕장이 사라지다니…, 상상만 해도 끔찍하다!사건 전말 평형이 깨진 순간 모래는 사라진다!원래 침식과 퇴적은 바닷가에서 일어나는 자연스러운 ... ...
동글동글 새콤달콤 블루베리의 3색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2호
떨어지기 시작해요. 블루베리 나무가 겨울잠을 자기 위해 하는 준비 과정이지요. 추위에
약
한 블루베리 나무는 5℃ 이하가 되면 잎을 떨어뜨려 자신의 몸을 최대한 작게 만들고, 싹을 틔우는 등의 따뜻한 날씨에 하던 일을 멈춰요. 이렇게 800시간 이상 겨울잠을 잘 자야 이듬해 여름에 다시 탐스러운 ... ...
월드컵 유니폼의 충격 고백 “전 플라스틱 조각이었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2호
모두 페트병 섬유랍니다. 한 사람이 몸 전체에 걸친 섬유에 들어간 페트병의 수량은
약
18개예요.사실 페트병 재활용 소재 유니폼은 2010 남아공 월드컵 때부터 쓰였어요. 우리나라에서 개발한 재생 섬유 ‘에코에버’가 그 주인공이죠. 페트병 섬유가 환영받는 이유는 친환경 재활용 소재라는 ... ...
이전
397
398
399
400
401
402
403
404
4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