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약"(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나 박쥔데, 시끄러워서 살 수가 있어야지.”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압축기가 있는 시끄러운 환경에서 소리를 더 오래(0.9밀리초) 냈고, 발사하는 주파수 폭은 약 0.6kHz 정도 줄어들었다. 번클리 박사는 “박쥐가 내는 주파수가 변하면 먹이를 찾는 능력에도 변화가 있었다는 뜻”이라며 “사람이 만든 소음이 박쥐의 삶에 영향을 미친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 ...
- [knowledge] 휘청~한 이순신대교 과연 안전할까?과학동아 l2014년 12호
- 피로파괴의 사례다.이번 흔들림은 2시간 가량 이어졌다. 계산해보면 그동안 다리는 약 2000번 흔들렸다. 진동 허용범위의 10분의 1이라도 이렇게 많이 흔들렸으면 문제가 생기진 않았을까. 권순덕 교수는 “해상대교는 200만 번 정도 강하게 흔들려도 안전에 문제가 생기지 않게 만든다”며 “2000번 ... ...
- [life & tech] 화장품 바르다 나노 중독 될까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먹이사슬의 가장 위에 있어서 이들 물고기 안에는 중금속이 많이 농축된다. 미국 식품 의약국(FDA)과 소비자 단체가 임신부의 참치 섭취를 두고 갑론을박을 벌이는 것도 이 때문이다.필자는 최근 나노입자가 중금속처럼 먹이사슬을 따라 여러 차례 전달될 수 있다는 사실을 시각 증거로 최초로 확인해 ... ...
- PART5. 핵융합의 난관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있다.야생마 같은 난류 길들이기현재 연구 중인 핵융합 장치들의 에너지 가둠시간은 약 0.2~0.3초 정도다. 다시 말해 우리는 핵융합 장치의 보온성을 지금보다 10~20배 개선해야 한다. 이러기 위해서는 고온인 플라스마를 안정적으로 유지해야 한다. 잠깐 딸기 잼이 채워져 있는 도넛을 상상해 보자. ... ...
- PART 2. 소행성 ‘보쌈’해 지구 구한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부딪쳐 마찰력으로 회전을 서서히 멈추게 한다. 소행성이 완전히 정지하는 데까지 약 42분이 걸린다. 가만히 기다리기만 하면 소행성 포획 끝! 이제 붙잡은 소행성을 안전한 곳으로 옮겨 놓으면 된다. 지구와 달 사이에는 라그랑주점이라는 곳이 있다. 지구와 달의 중력이 평형을 이뤄 어느 쪽으로도 ... ...
- [과학뉴스] 키스 10초에 미생물 8000만 개!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비피도박테리움의 분포를 계산했다. 분석 결과 10초 동안 키스를 하면 평균적으로 약 8000만 개의 미생물이 상대방에게 옮겨 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연구진은 커플을 대상으로 평소에 키스를 얼마나 자주 하는지 설문조사도 했는데, 하루에 9번 이상 키스하는 커플은 입 안에 살고 있는 미생물의 ... ...
- [과학뉴스] 넌 다행히 피는 안 보고 혈장만 봤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내가 백혈병이라도 걸린 것이 아닐까’하고 벌벌 떨기도 했습니다. 혈장은 혈액 중 약 55%를 차지할 정도로 비율이 큽니다. 구성성분의 대부분은 물입니다. 90%정도 되고요, 간에서 만들어지는 혈장단백질이 7~8%, 그밖에 지방, 무기염류 등이 소량 포함돼있습니다.즉 피를 보지 않고 혈장만 봤다는 것은 ... ...
- [과학뉴스] 컴퓨터 열로 난방한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난방비가 걱정되는 추운 겨울이 왔다. 전기난방기구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한 블랙아웃을 막기 위해, 몇 년 전부터 한국 정부는 학교와 공 ... 데 사용할 수 있다.클라우드앤드히트테크놀로지사는 초기 설치비용으로 1만2000유로(한화 약 1670만 원)를 내면 15년간 열을 사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 ...
- [hot science] 동물은 왜 수컷이 더 클까과학동아 l2014년 12호
- 교수팀이 2007년 포유류 1370종을 조사한 결과 포유류 전체로 보면 수컷이 암컷보다 약 18% 더 무거웠다. 수컷이 더 큰 경향은 조사한 종의 45%에서 나타났다.불성실한 수컷은 몸집만 키우고도대체 왜 수컷이 더 큰 걸까. 짝짓기 경쟁 가설에 따르면 성별에 따른 선택압력(선택압)이 강할수록 암수의 크기 ... ...
- [life & tech] 운석 연구하면 ‘□’를 알 수 있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또 나를 찾아 나설 텐데. 아, 내가 누구냐고? 에헴, 가장 유명한 운석 중 하나인 앨런힐스. 약 1만3000년 전 화성에서 지구 남극에 떨어졌는데, 1984년이 돼서야 앨런힐(Allan Hill)이라는 언덕 밑에서 발견됐어.처음에는 인간들이 나를 몰라보고, 소행성에서 온 운석으로 분류해놨지 뭐야! 다행히 1993년에 ... ...
이전3994004014024034044054064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