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처음"(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 150km 강속구도 딱~, 이게 다 망막 덕분과학동아 l2014년 06호
- 핵심 부위인 망막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한국인 과학자가 주도한 연구에 의해 처음 밝혀졌다.한국계 미국인인 승현준(서배스천 승)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뇌인지과학과 교수(현 프린스턴대 교수)와 김진섭 박사 연구팀은 실험쥐의 ‘망막 커넥톰(연결지도)’을 구축해 그 결과를 최근 ... ...
- 서울숲에는 얼마나 많은 생물이 살고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경기 가평, 강원 대관령과 청태산 등에서 열렸고, 서울과 같은 대도시에서 개최되기는 처음이다. 행사는 14일 오후 2시부터 다음날 오후 2시까지 24시간 동안 진행된다. 각 분야 전문가들이 서울숲의 식물, 곤충, 버섯, 조류 등을 관찰하고 탐사하는 방법을 교육한다. 서울숲의 변천사 등 인문학적인 ... ...
- 도심형 무인기 드론이 뜬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지난 2월 8일 미국 꽃배달서비스회인 플라워딜리버리익스프레스는 디트로이트 지역에서 처음으로 드론을 이용해 무인 꽃배달 서비스를 시작했다. 하지만 미국항공안정청(FAA)의 제재로 곧 중단해야 했다. 국가항공시스템을 방해하고 시민의 주거지를 무단 침범한다는 이유였다. 하지만 3월 7일 ... ...
- 와인 잔에 든 맥주가 더 맛있다! 음료와 컵의 밀당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종이 냄새가 난 것이다. 이쯤에서 음료를 맛있게 먹기 위한 첫 번째 방법은 최대한 처음 온도를 유지해야 한다는 것이다. 벽이 두꺼운 머그나, 보온이 잘 되는 보온병이 좋다. 물론, 냄새 분자가 모두 날아가기 전에 마셔야 제 맛을 알 수 있다.보기 좋은 떡이 정말 맛도 좋다이탈리아의 요리사인 ... ...
- 매년 쥐 100마리 신체검사 하는 독일마우스병원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빠져 나간다.조금 더 가까이 다가가 우리 안을 들여다 봤다. 비행기를 12시간 타고 날아와 처음 만난 ‘독일 쥐’였다.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흰 실험용 생쥐를 떠올렸는데, 까만 쥐가 더 많았다. 우리 안에는 바닥에 깔린 톱밥 말고도 하얀 솜 뭉치와 빨간색 플라스틱 반구가 있었다. 쥐는 솜 뭉치를 ... ...
- 무에서 시작한 우주, 끝은 어디일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부분이 아직 연구 되지 않은 빈 공간으로 남아있다. 우주 탄생 이전은 어떨까. 기자가 처음 우주의 크기에 대해 배웠을 때 논리적으로 도저히 이해되지 않았던 부분이 우주 탄생 이전이었다. 아무 것도 없는 ‘무無’의 한 점에서 거대한 폭발이 일어나 지금의 광활한 우주가 되었다는 말이 머리에 ... ...
- 전설의 마술사 ‘소깅거 다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마술쇼를 시작하겠습니다!”썰렁홈즈가 다무러와 함께 마술쇼를 보러 왔다.마술쇼를 처음 본 다무러는 정말 신기하고 재미있었다.“그럼, 세계적인 마술사 소깅거 씨를 소개합니다~!”미션1 미로가 정사각형 상자로 변신!“먼저 두 분만 앞으로 나와 주시기 바랍니다.”마술사 소깅거는 썰렁홈즈와 ...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수학 산책 마이클 아티야의 수학 세계수학동아 l2014년 06호
- 때문에 당연히 20세기 과학의 가장 중요한 방정식 중 하나다.물론 아티야와 싱어가 처음 지표정리를 증명할 1963년 당시에는 디랙 방정식을 사용하지 않았다. 하지만 1970년대에 훨씬 섬세한 열 방정식을 이용한 증명을 찾아내는 과정에서 디랙 방정식의 중심적인 역할이 발견됐다. 이런 내용만으로도 ... ...
- 팔방미인 삼각비 삼총사, sin, cos, tan!수학동아 l2014년 06호
- ‘cosinus’에서 유래됐다. 코사인의 cos이란 기호는 1729년 스위스의 수학자 오일러가 처음 사용했다. 물론 오일러 역시 cos을 독창적으로 만든 것은 아니며, 건터와 마찬가지로 이전에 쓰이던 기호를 개량한 것이다. 우선, 1620년 건터가 라틴어 complementum(영어의 complement)와 sinus를 합친 ‘co.sinus’ ...
- '모른다는 것'이 천문학 연구의 매력 (타이탄 연구자 심채경 박사)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위성 전문가를 찾아 물어 물어 연락이 닿은 심채경 경희대 우주탐사학과 연구원은 처음에는 당황했다고 했다. 심 박사는 국내에서 보기 드물게 위성을 정통으로 공부한 전문가. 토성의 위성 타이탄의 대기를 분석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위성을 따로 연구하는 학자는 거의 없거든요. ... ...
이전39839940040140240340440540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