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시작
최초
서두
초기
머리말
개시
d라이브러리
"
처음
"(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왜 세 살 기억 여든까지 못할까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셈이다. 그러자 새끼 쥐의 뇌로 조작된 쥐들은 목적지까지 헤엄치는 길을 잊고, 다시
처음
부터 헤매는 경향을 보였다. 새로 만들어진 뉴런이 기존의 기억을 파괴했기 때문이다.이번에는 반대 과정을 실험했다. 새끼 쥐가 특정한 상자에 들어갈 때마다 전기자극을 줬더니, 쥐들은 점차 이를 기억하고 ... ...
다람쥐원숭이 수컷은 왜 빨간 색을 보지 못할까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못하는 적록색약인 사람은 교통신호를 보는 데 어려움을 겪게 되지요.하지만 인류가
처음
부터 3원색을 구분할 수 있었던 건 아닙니다. 오랜 진화의 역사 속에서 획득한 능력이지요. 포유류 중에서도 우리 인간을 비롯한 영장류만 3원색을 구분하는 능력을 갖고 있습니다.보릿고개 넘기는 데 중요한 ... ...
미술 작품이 된 수학 공식
수학동아
l
2014년 06호
“수학을 활용해 예술의 영역을 점차 넓혀 나가고 싶다”고 밝혔다.우리나라에서
처음
개최되는 그의 개인전은 서울 삼청동 갤러리현대 신관에서 6월 15일까지 진행된다. 한국에서 첫 선을 보이는 작품 4점을 포함해 총 30여 점의 작품이 전시된다 ... ...
2009년 노벨 생리의학상 캐럴 그레이더 박사 "무한반복 실험 즐겼더니 노벨상 받았죠"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오른쪽)와 스승인 엘리자베스 블랙번 교수(왼쪽). 여성 사제가 노벨상을 같이 수상한 건
처음
이다.]“연구는 요리처럼 하는 것”텔로머라아제를 발견한 비결에 대해 묻자 그레이더 교수는 “요리처럼 실험을 맛보면서 마음에 들 때까지 계속한 것”이라고 답했다. 먹어보고 싱거우면 양념을 더 하듯 ... ...
[Life & Tech] 암세포만 때려잡는 마법 방망이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이도 바체레트 박사는 “생물학적인 치료과정이 컴퓨터 프로그래밍과 똑같은 건
처음
”이라며 “로봇의 수가 많을수록 더 복잡한 미션을 수행할 수 있어 조직마다 다른 처방을 해야 할 때 유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의 목표는 5년 후에 임상시험을 시작하는 것이다.혹 떼려다 혹 붙이는 격은 ... ...
[과학출판사를 만나다 1] 사이언스북스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과학서적에서는 매년 판매량 부동의 1위를 차지하고 있는 세계적인 베스트셀러다. 1983년
처음
나온 이래 500만 부 넘게 팔렸고, 미국에서는 TV 시리즈로 만들어지기까지 했다(최근 ‘코스모스2’가 내셔널지오그래픽에서 방영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현재 양장본과 칼 세이건 10주기 특별판, 두 ... ...
태초에 빅뱅이 없었다
과학동아
l
2014년 05호
물리법칙의 일반적 성질인 ‘국소성’을 깬 것도 문제다. 레인보우 그래비티 이론을
처음
제안한 리 스몰린 교수는 미국 과학잡지 ‘사이언티픽 아메리칸’과의 인터뷰에서 “내가 제안했던 레인보우 그래비티 이론은 국소성의 틀 안에서 발전시켰다”라며 “국소성을 고려해 다시 계산하면 아마 ... ...
지금은 소프트로봇 시대 - 로봇이 림보도 하네!
과학동아
l
2014년 05호
실리콘으로 납작한 삼발이를 만들었다. 각 다리 안에는 기체가 흐를 통로를 새겨 넣었다.
처음
에는 압축 공기를 불어넣어 통로를 팽창시켜서 튀어 오르게 만들 생각이었다. 그러나 실험 결과, 너무 느렸다. 공중으로 튀어 오르는 데까지 1초 이상 걸렸던 것이다. 다른 방법을 고심하던 연구팀은 ... ...
운석은 진주에만 떨어졌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05호
현상을 실시간으로 기록하는 전문적인 영상관측장비나 유성레이더가 없다. 그래서
처음
에는 천문학자조차 유성이 정말 하나였는지 아니면 여러 개가 동시에 떨어진 것인지 알 수 없었다. 그러나 촬영된 위치와 방향을 명확히 알 수 있는 일부 블랙박스 영상에 대해 3차원 분석을 하자마자, 유성 ... ...
쓰레기매립지 악취, 자동차 연료로 둔갑!
과학동아
l
2014년 05호
정제가 어려웠다. 국내 연구진이 이를 정제해 자동차 연료로 쓸 수 있는 기술을 국내
처음
으로 개발했다.김정훈 한국화학연구원 박사팀은 기체분리막과 흡착기술을 이용한 막분리 혼성 공정을 개발했다. 매립지 가스의 불순물만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전체 가스에서 메탄을 88% ... ...
이전
400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