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d라이브러리
"
최초
"(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20세기 하늘을 연 라이트형제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59초 동안 2백90m를 나는 첫 기록을 세웠다.플라이어호는 4기통 13마력의 가솔린엔진을 단
최초
의 동력비행기다. 풍동실험을 거쳐 활공하기 좋게 설계한 날개, 날개의 앞 부분을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승강키, 그리고 비행기가 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수직 테일핀을 단 방향키 등을 갖춤으로써 ... ...
인간복제 브레이크 걸 제도가 없다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교수 역시 "웬만한 실험 장비만 갖추면 어렵지 않게 성공할 수 있는 실험이어서 세계
최초
라는 말은 의미가 없다"고 말한다. 그는 "수많은 불임 환자의 고민을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복제기술에 관심을 가지게 됐다"고 설명하고 "한국에서 복제에 대한 충분한 공감대가 이뤄지지 않은 탓에 ... ...
마르코니의 무선혁명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영국의 전기공학자 플래밍(1849-1945)이 에디슨효과의 중요성을 간파해냈다. 그는 1904년
최초
로 2극진공관을 발명했다. 그리고 2년 뒤 미국의 포레스트(1873-1961)가 3극 진공관을 발명했다. 무선전신은 1950년대 말 트랜지스터가 발명될 때까지 진공관의 도움을 받아 크게 번성했다. 그리고 마르코니는 ... ...
20세기 물리학 혁명의 출발점 X선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목격했지만 주의깊게 보지 않았다. 당시 음극선 연구의 대가는 레나르트였다. 그는
최초
의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후보로 올랐지만 X선을 발견한 뢴트겐에게 6대 16으로 밀리고 말았다. X선 발견은 그만큼 의미가 컸던 것이다.X선에 남다른 호기심이 발동했던 사람은 프랑스 물리학자 베크렐(1852-1908 ... ...
나만의 비밀번호 생체인식시스템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손등의 피부로부터 정맥패턴을 추출해내는 것. 최근 우리나라의 비케이시스템사가 세계
최초
로 개발해 상용화에 성공함으로써 생체인식시스템 시장에서 새로운 경쟁 상품으로 등장했다.이것은 적외선 조명과 필터를 사용해 피부에 대한 혈관의 밝기 대비를 최대화 한 다음 입력된 디지털 ... ...
② 네티즌과 즐기는 신나는 게임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에뮬레이터는 SNES9X와 ZSNES 등 두가지다.⑤ 메가드라이브·PC엔진모토롤라 칩을 채용한
최초
의 16비트 게임기 메가드라이브와 16비트 수준의 8비트 게임기인 PC엔진 게임기용 게임은 실감나는 그래픽 동작과 사운드로 게이머로부터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이런 게임을 PC에서 즐길 수 있다는 것은 ... ...
케플러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때 손색이 없을 정도의 과학적 모양새를 갖췄다. 예를 들어 우주비행의 어려움에 대해 "
최초
의 운동이 가장 괴롭고 위험하다. 화약의 힘을 빌려 몸이 하늘로 던져 올려지기 때문"이라고 묘사했으며, 성층권에 들어서면 "혹독한 추위가 닥치고 호흡할 공기가 없어진다"고 말했다.한편 케플러는 달을 ... ...
유전자 조작 식품 먹어도 되나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농작물, 그리고 이로부터 가공된 각종 식품을 가리켜 '유전자 조작 식품'이라고 부른다.
최초
의 유전자 조작 식품은 1994년 미국 몬샌토사에서 개발한 일명 프레브 세이브(FLAVR SAVR) 토마토다. 저장 기간을 늘리기 위해 잘 무르지 않도록 만든 제품이다.원리는 간단하다(그림). 토마토의 유전자 중에서 ... ...
⑤ 우주 수면의 비밀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잠을 잤다고 했다. 이처럼 대부분 우주여행을 하는 사람들은 잠 때문에 고통을 당한다.
최초
로 우주에서 잠을 잔 사람은 러시아의 게르만 티토프였다. 그는 1961년 8월 6일 유리 가가린 에 이어 두번째로 지구궤도를 돌았다. 그의 비행시간은 25시간 18분. 그의 기록은 1년 후 러시아의 안드리안 ... ...
양자전기역학 요동하는 진공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생각하면 그 에너지가 무한히 크기 때문에 무한대가 발생한다.이 문제의 해결에 대한
최초
의 아이디어는 크레이머(Kramer)에 의해 제시됐다. 그는 전자기장에 의한 전자의 질량증가를 전자의 원래질량(bare mass)과 실험적으로 분리할 수 없다는 것을 지적했다. 따라서 두 질량의 합을 실험적으로 ... ...
이전
398
399
400
401
402
403
404
405
4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