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d라이브러리
"
최초
"(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영재교육 뿌리내릴 것인가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관찰-설명 방식으로 진행된다.사설 영재교육기관 소개종단연구의 메카 김연구소1984년
최초
로 한국 영재아를 직접 교육한 정연태 교수와 연구했던 창립 연구원들이 모인 곳이다. 10여년간 영재아를 지도한 경험이 있는 김연구소의 가장 큰 특징은 영재아들이 어떤 특성을 지녔으며 이들이 어떻게 ... ...
생활 속의 방사선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무엇인가 - 원자구조를 알려준 첩자방사선만큼 노벨상을 많이 안겨준 것도 드물다.
최초
의 노벨물리학상은 1895년 X선을 발견한 독일의 물리학자 뢴트겐이 받았다. 같은 무렵 프랑스 물리학자 베크렐도 우라늄 화합물에서 X선과 유사한 베크렐선을 발견해 세번째로 노벨물리학상을 받았다. 이후 ... ...
최초
의 공룡 피부화석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박물관에서 전시되고 있는 공룡모형은 화석화된 뼈에 대한 정보밖에 주지 못했으나, 이제 공룡 의 피부도 알 수 있게 됐다. 지난 11월, 아르헨티나와 미국 자연사박물관의 과학자들은 수천개의 알이 그대로 남아있는 공룡 둥지를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이 알들은 아직 부화되지 않는 아기 공 룡의 화 ... ...
살아있는 화석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포함해 단 세곳(주로 남아프리카 남동쪽 해안)에서 다섯마리만이 잡혔을 뿐이다. 특히
최초
로 실러캔스가 잡힌 곳은 코모로 군도의 근해에서 가장 멀어, 우연히 그곳으로 갔던 물고기가 잡힌 것으로 보인다. 이 추정이 맞다면 실러캔스의 첫 발견은 엄청난 우연이자 행운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 ...
인류의 새 터전 우주식민지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클라크의 기념비적 장 편 '지구유년기 끝날 때'(1953)를 들 수 있다. 인류가 우주를 향해
최초
의 로켓을 발사하려는 즈음 갑자기 세계 각지의 대도시 상공에 거대한 외계 우주선들이 나타난다. 인류는 지구와 비교조차 할 수 없는 그들의 놀라운 과학기술에 제대로 저항할 엄두도 내지못한 채 굴복하고 ... ...
볼테르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볼테르의 저작 '뉴턴철학의 요소들'은 일반 지식인을 대상으로 뉴턴의 업적을 소개한
최초
의 책이었다. 그런데 여기에 결정적인 영향을 준 인물은 애인 샤틀레 부인이었다. 샤틀레 부인은 19세 때 샤틀레 후작과 결혼했는데, 세아이를 낳은 뒤 과학에 관심을 쏟았다.볼테르가 뉴턴과학에 심취한지 ... ...
멘델레예프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화학의 수준을 한단계 높인 과학자 멘델레프. 그가 위대한 화학자로 성장할 수 있었던
최초
의 계기는 '죽음을 불사'하고 아들의 교육에 열을 올린 어머니의 노력이었다.멘델레프는 러시아 시베리아에서 16형제의 막내로 태어났다. 그의 어머니는 여자가 고등교육을 받지 못하는 현실에 분개하고 ... ...
한국
최초
소행성 발견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이태형씨가 한국인
최초
로 소행성을 발견했다. '1998SG5'로 임시 이름이 붙은 이 소행성은 신천체 발견의 전례가 없는 우리나라에서 아마추어천문가의 쾌거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천문실험실' 필자인 아마추어천문가 김동훈씨는 "이번 소행성 발견으로 우리나라 아마추어 천문 관측 수준이 한단계 ... ...
젓갈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자리잡은 발효문화가 기원전 1천년경 한자가 개발되면서 중국문헌에 나타난다. 중국
최초
의 시집인 시경(時經)이나 기원전 3-5세기에 쓰여진 중국어사전 이아(爾雅)에 이미 발효문화에 관한 문자들이 등장한다. 육장의 장(醬)은 원래 쇠고기 같은 고기를 잘게 썰어 간장과 함께 조린 육장(肉醬)을 ... ...
1. 한국인은 노벨상에 도전할 수 있는가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는 바이러스가 어떻게 세포에 침입하는지에 대한 단서를
최초
로 발견함으로써 독감 바이러스나 에이즈 바이러스 등이 인체세포막에 어떻게 융합하는지를 규명해 냈다.그러나 국내 노벨상 추진 관계자들은 피터 김을 노벨상 후보감이라고 거론하는 일을 조심스러워 한다. ... ...
이전
399
400
401
402
403
404
405
406
4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