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위
분위기
사정
주위 상황
세팅
인터페이스
대기권
d라이브러리
"
환경
"(으)로 총 8,88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4. 미래 100억 지구의 적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한다.하지만 이미 생산 가능한 땅은 다 농지로 쓰고 있다. 조너선 폴리 미국 미네소타대
환경
연구소 교수는 2011년 10월 ‘네이처’ 논문을 통해 “빙하지역을 제외한 지구 전체 면적의 12%가 농지, 26%는 목초지로 이용되고 있다”고 밝혔다.증가 추세도 이어져 1985년부터 2005년까지 20년 동안 3%가 ... ...
근육로봇의 탄생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하지만 조 교수가 개발한 벼룩로봇은 에너지를 내는 데 큰 힘이 필요 없다.“생물은
환경
에 잘 적응하도록 진화했다고 하잖아요. 생물을 모방하면 로봇의 움직임을 더 효과적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저는 로봇공학자지만 생물학 논문을 많이 읽죠.”[조규진 서울대 항공공학부 교수팀이 개발한 ... ...
행복 만드는 빛을 쏘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생활에 도움을 주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날숨을 분석해 질병을 진단하고, 대기 중
환경
유해물질을 감시하는 연구가 한창이다. 또 적조를 먼 거리에서 측정해 조기에 발견하는 기술과 태양전지의 효율을 개선하는 방법도 개발 중이다.기술뿐 아니라 생활에 필요한 물품도 개발한다. 사소한 ... ...
신나게 꿈꾸고, 치열하게 도전하라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다양한 직업을 직접 접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그러다 보니 많은 학생은 주변
환경
의 영향을 많이 받아 자신의 흥미나 적성과는 동떨어진 분야를 꿈꾸기도 한다. 어떤 경우에는 K군처럼 꿈을 꿀 기회를 아예 잃어버리기도 한다. 이런 경우 책을 읽거나 다큐멘터리, 영화 등을 보고 간접경험을 ... ...
고등학교 동아리의 한계를 뛰어넘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마음가짐’이 가장 중요하다고 했다.“이런 활동을 하려면 거창한 기계나 작업
환경
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지만 그렇지 않다. 일본 인력 비행기 대회에 참여했을 때 본 오사카의 한 대학 자동차 동아리는 커터칼이 가장 중요한 활동 도구였다. 번듯한 동아리실도 없이 컨테이너 안에서 커터칼과 ... ...
1만 년 전 매머드가 살아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4호
고대 동물이 살아 움직이는 것을 직접 볼 수 있다고 말했어요. 또 멸종 당시 지구의
환경
과 동물을 연구하는데도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어요 ... ...
하늘에서 만드는 대동여지도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4호
산이 있고, 앞에는 물이 있어야 한다는 뜻인데, 이 말을 생각해 보면 조상들이 자연
환경
에 대해 얼마나 과학적으로 생각했는지 알 수 있답니다. 적을 알고 지형을 알면 백전백승지형은 단순히 집을 짓는데만 이용하는 것이 아니에요. 군사 전략에도 아주 중요하게 쓰였지요. 이순신 장군은 울돌목( . ... ...
겨울나기 노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3호
다양한 알레르기 질환은 치료를 하다가 그만 두면 더 심해지는 경향이 있다. 알레르기는
환경
요인 뿐만 아니라 유전요인도 있기 때문에 완전히 치료하기는 쉽지 않다. 증세가 약해졌다고 치료를 중단하면 합병증이 발생할 수도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제 5장 올 겨울엔 더 신나게 뛰어놀 것이다 ... ...
제주도, ‘세계 7대 자연경관’으로 날개 달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3호
하거든요. 그리고 저는 자연을 사랑하고 보호하려는 사람만 살게 할 거예요. 제주
환경
지킴이로 변신하신다면 살 곳을 소개해 드릴 수도 있어요. 그렇지 않다면 발도 붙일 생각 마세요 ... ...
공룡도 철새처럼 이동하며 살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2호
겨울철새가 우리나라를 찾고 있어요. 그런데 거대한 공룡도 철새처럼 계절이나
환경
에 따라서 이동하며 살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어요.공룡이 거주지를 이동하며 살았는지는 고생물학자들에게 오랜 관심사이자 풀리지 않는 수수께기였답니다. 미국 콜로라도 대학교 지질학과의 헨리 프리케 교수 ... ...
이전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