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간"(으)로 총 14,01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착륙 실패는 낙하산 때문?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정보를 지구에 있는 과학자들이 받는 데 9분 45초가 걸리지요. 그러나 착륙선이 착륙하는 시간은 단 6분!초 단위로 낙하산이 펴지고, 엔진이 작동되기 때문에 지구에 있는 과학자들이 착륙 과정을 조정할 수가 없어요. 결국 착륙선은 미리 설정해 놓은 알고리즘에 따라 스스로 작동되어야 해요.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천연기념물센터를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영구 동토층을 직접 발굴하기 시작했어요. 발이 푹푹 빠지는 진흙탕 속에서 하루 13시간씩, 꼬박 3년 동안 작업하며 매머드와 검치호랑이 등 진귀한 신생대 포유류 화석들을 직접 찾아냈답니다. 이 가운데는 세계적으로 희귀한 매머드 피부와 털 화석도 포함돼 있지요. 이렇게 찾은 화석들을 조국의 ... ...
- [특별 인터뷰] 조재호·김문식 작가의 웹툰교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수업을 만들게 됐답니다.지난 10월 22일에 열린 수업에서는 ‘투시도’에 대해 배우는 시간이 마련됐어요. 투시도는 그림에 원근감을 나타내 주는 기초적인 선이에요. 작가님은 칠판에 예시 그림을 그리셨고, 학생들은 각자 컴퓨터에 연결된 패드와 전자드로잉 펜을 이용해 작가님의 그림을 따라 ... ...
- Part 1. 착륙 1분 전 사라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표준시간대로, ‘세계협정시’라고 한다. 동경 135°를 표준시로 하는 우리나라보다 9시간이 느리다. (한국 시각 = UTC+9).1. 3월 14일 9시 31분 엑소마스 2016 탐사선을 실은 ‘프로톤-M’ 로켓이 카자흐스탄의 바이코누르 우주기지에서 발사됨.2. 10월 16일 14시 42분 착륙선 ‘스키아파렐리’가 궤도선 ... ...
- Part 1. 지금도 발견되고 있는 신종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이름을 대어 보세요. 사자, 늑대, 개, 고양이, 박쥐…. 하루 종일 동물 이름만 말해도 시간이 부족할 정도로 많은 동물을 기억하는 친구들이 있을 거예요. 그렇다면 과학자들은 얼마나 많은 동물을 알고 있을까요?현재 우리가 존재를 알고, 분류해서 이름을 붙여 준 생물은 약 200만 종이에요. 동물뿐만 ... ...
- Part 5. 머글 세계의 뉴트 스캐맨더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신비로운 동물들이 많다는 사실을 알게 돼서 기뻐. 아쉽지만 이젠 마법 세계로 돌아갈 시간이야. 언젠가 꼭 신종 탐험지에서 다시 만나길 바랄게. 안녕~!ps. 참, 혹시 신종 근처에서 네모난 갈색 가방이 보이면 그 부근에 내가 있다고 생각해 줘!▼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머글편] 신비한 동물 ... ...
- [현장취재] 놀면서 배우는 행복한 로봇 축제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여기저기에서 기뻐하는 친구들의 함성소리가 들려왔어요. 4개월 동안 함께 보낸 시간들이 결실을 이루는 순간이었어요. 참가한 300여 명의 친구들과 함께 마지막 단체사진을 찍을 때는 한마음으로 마무리 할 수 있었답니다.“우리가 미래 IT세상의 하인슈타인! 내년에 또 만나요 ... ...
- [도전! 코드마스터] 컴퓨터가 내 몸 속 비밀을 쏙쏙!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생물 종의 게놈 해독을 서두르고 있답니다. 문제는 복잡한 생물일수록 게놈 해독에 오랜 시간과 노력이 든다는 점이에요. 사람의 경우 게놈은 약 30억 쌍 정도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져 있어요. 한 쌍에 1초씩 보더라도 다 살피는 데 약 95년이 걸리는 어마어마한 숫자랍니다.다행히 이 가운데 단백질을 ... ...
- [도전! 코드마스터] 내 컴퓨터로 복잡한 뇌 구조를 밝힐 수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사람들이 쏟은 시간을 모두 합치면 600년이 넘는다는 사실에 주목했어요. 그리고는 이런 시간을 뇌 연구에 쓸 수 있다면 좋겠다는 마음에서 뇌 지도를 그리는 아이와이어를 시작했답니다.아이와이어는 온라인 사이트(eyewire.org)를 통해 전세계의 누구나 참가할 수 있어요. 참가자들은 마치 퍼즐 게임을 ... ...
- [과학뉴스] 2016년 노벨상의 주인공은 아주 작은 세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현지시간으로 지난 10월 3일부터 5일까지 2016년 노벨과학상 수상자가 차례로 발표됐어요. 올해 노벨과학상은 세 분야 모두 맨눈으로 볼 수 없을 정도로 아주 작은 ‘미시세계’에서 벌어지는 현상을 밝혀낸 과학자들이 수상자로 선정됐답니다. 우선 노벨 생리의학상은 세포의 ‘자가포식’ 현상을 ... ...
이전4024034044054064074084094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