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작"(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 [도전! 코드마스터] 빠른 길 찾기의 비결은 ‘최단 경로 알고리즘’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알고리즘은 각 지점과 그 지점들을 잇는 경로를 점과 선으로 간단하게 표시하는 데서 시작해요. 그리고 길의 길이, 이동 시간, 이동하는 데 드는 비용 등 관련된 모든 항목을 수치로 만들지요. 이 수치를 ‘가중치’라고 해요. 가중치가 가장 적은 길이 바로 가장 빠른 길이랍니다.가장 많이 쓰이는 ... ...
- [쇼킹 사이언스] 바다 속에서 별이 반짝반짝~! 야광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이온이 들어가게 되지요. 그 결과 수소 이온 농도가 높아지면서 야광물질이 빛을 내기 시작한답니다.이때 신틸론 안에서 수소 이온 농도에 반응해 빛을 내는 물질은 ‘루시페린’과 ‘루시퍼라제’라는 두 가지 단백질이랍니다.과학자들은 이렇게 일부 플랑크톤이 빛을 내는 건 자신을 방어하기 ... ...
- Part 2. 개는 1만 3000년 된 친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음식물 쓰레기를 먹기 시작하면서 늑대들이 사람 근처에 머무는 시간이 점점 길어지기 시작했어요. 그 과정에서 늑대는 성격이 온순해졌고 사람과 친해지게 됐지요. 과학자들은 이런 과정을 거쳐 몸집이 작아지고 귀여운 인상을 갖게 된 늑대가 오늘날의 개가 됐다고 설명하고 있어요.실제로 개는 ... ...
- [과학뉴스] 초소형 가오리 로봇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합성시켰어요. 그 결과, 원래는 빛에 반응하지 않았던 세포들이 빛에 반응하며 움직이기 시작했어요. 빛을 받으면 근육세포들이 수축하게 된 거예요.이 가오리 로봇에는 약 20만 개의 심장근육세포가 들어 있어요. 그래서 이 로봇에 빛을 비추면 근육세포들이 순서대로 수축하며 지느러미가 파도 ... ...
- [퍼즐탐정 썰렁홈즈] 얼음 도둑 ‘ 아이스 몽땅’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커다란 문으로 굳게 닫혀 있었다. 그때 어디선가‘아이스 몽땅’의 목소리가 들리기 시작했다.“어두운 얼음동굴 안에서 얼음을 찾으려면 우선 시력이 좋아야 해. 어디 시력 검사한번 해 볼까?”얼음동굴의 문을 열고 들어가자 그곳에는 커다란 얼음기계가 놓여 있었다. 이 기계를 이용해 팥빙수 ... ...
- Intro. 소행성을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 난 ‘아이스 에이지’의 시작이자 끝인 다람쥐 ‘스크랫’이야. 애니메이션 속에서는 전혀 말을 하지 않지만, 오늘은 어과동 친구들을 위해 특별히 진행을 맡았단다. 사실 이번 이야기는 내가 저지른 짓이 원인이거든. 난 그냥 도토리를 찾으러 갔을 뿐인데, 어쩌다 보니 소행성 조각들이 지구로 ... ...
- [어린이과학동아기자단] 바른 자세로 척추 건강을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열렸어요. 척추 운동법까지 배울 수 있었던 현장을 소개합니다! 본격적인 강연을 시작하기 전, 기자단 친구들은 걸을 때 발에 압력이 어떻게 가해지는지, 가만히 서 있을 때 몸의 균형을 얼마나 잘 잡는지 검사를 받았어요. 측정장비 위를 지나가면 압력센서가 발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해 색으로 ... ...
- [퍼즐탐정 썰렁홈즈] 우산 재벌 ‘ 억수르 비마즐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후두둑!”썰렁홈즈가 출근하던 중 갑자기 비가 내리기 시작했다. 우산을 사기 위해 우산장수에게 다가가 보니 그는 우산을 팔아 재벌이 된 ‘억수르 비마즐라’가 아닌가!“우산이 필요해? 그런데 말야 비 오는 날엔 우산 값이 평소 10배야! 비싸? 그렇다면 내가 내는 문제를 맞히라구. 그럼 우산을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범인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어두워지기 시작했어요. 그런데 그때였어요.“으하하하!”시원이가 배를 잡고 웃기 시작했어요.“으하하! 선배, 걱정하지 마세요. 아무도 선배를 노리지 않아요.”[▼확대]융합 개념 파헤치기페트병 에어컨, 진짜 가능할까?지난 달, 방글라데시의 광고 회사 ‘그레이 다카’는 전기 없이도 기온을 ... ...
- Part 1 첫 번째 작전. 지구를 지킬 방위대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대기로 들어온답니다.지구위협천체에 대한 본격적인 대비는 1970년대부터 NASA를 중심으로 시작됐어요. 그 결과 1998년부터 지금까지 크기 1km 이상의 소행성 858개를 찾아냈지요. 이들은 지구방위합동본부의 최우선 감시 대상에 속한답니다.올해 생긴 지구방위합동본부의 새로운 임무는 지상에 ... ...
이전4044054064074084094104114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