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뉴스
"
조절
"(으)로 총 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마약처럼 금단증상 생기는 ‘자외선 중독’
과학동아
l
2014.06.20
쪼였다. 자외선의 양은 ㎡당 50mJ(밀리줄)로 피부는 검게 타지만 화상은 입지 않을 정도로
조절
했다. 실험 결과 한동안 자외선에 노출된 쥐의 피부에서는 프로오피오멜라노코르틴(POMC)이라는 물질이 합성됐다. POMC는 피부 세포에 멜라닌이 생성되도록 촉진하는 역할을 주로 하지만 일부는 ... ...
[World Cup Brazil 2014: 대~한민국!] 2·3차전 경기장 기후, 승패에 어떤 영향 미치나
과학동아
l
2014.06.19
영향을 줄 가능성이 높다. 서상훈 연세대 체육교육학과 교수는 “인체는 체온
조절
을 통해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습도가 높으면 땀 증발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열 방출에 어려움이 생긴다”면서 “체온 상승은 스트레스 증가로 이어져 경기력에 악영향을 끼친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 ...
휘어지는 e신문 개발 성큼
과학동아
l
2014.06.18
결합체를 만들어냈다. 연구팀이 만든 결합체는 양자점과 유기반도체 사이의 거리를
조절
하는 방법으로 그 특성을 조율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멀리 연결돼있으면 발광색을 변경할 수 있고, 가까이 붙어있으면 전하전달이 원활해져 태양전지로도 응용이 가능하다. 주 교수는 “3~5년 안에 ... ...
색깔 변하는 유리창, 초간단 제작 기술 개발
과학동아
l
2014.06.10
물질을 이용하는 소자를 말한다. 건물 유리나 자동차 룸미러의 광투과도, 반사도 등을
조절
하는 용도로 사용되는데, 최근에는 적외선 차단효과까지 알려지면서 쓰임새가 더 늘어나고 있다. 문제는 소자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제작 시 변색을 돕는 전해질을 첨가해야 한다는 점. 이 경우 비용이 ... ...
세포 ‘안테나’ 고장 냈더니 발가락이 7개
과학동아
l
2014.06.10
수가 많아지는 이상이 확인됐다. 고 교수는 “희귀 질환의 원인을 밝힌 만큼 ICK를
조절
하는 약물을 발굴한다면 섬모 기능 이상으로 발생하는 질병 치료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5월 22일자에 실렸다. ... ...
나노회로도 이 ‘펜’ 하나면 쓱쓱
과학동아
l
2014.06.09
뜻하는데, 나노탐침에 가하는 전압의 세기를 달리하자 그래핀의 화학적 상태를 정밀하게
조절
할 수 있었다. 이번에 개발한 방법은 정확도가 나노미터 수준으로 기존 화학적 방식보다 세밀하고, 그래핀 표면을 산화·수소화하는 정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박 교수는 “이 기술을 응용해 ... ...
25m 거리서 프리킥 날릴땐 15도 위 초속 30m로 강하게
과학동아
l
2014.06.09
m 떨어진 지점까지 날려 보내는 실험을 40회씩 진행했다. 공을 찰 때마다 초속 15∼30m로 힘
조절
도 했다. 보통 선수들끼리 패스할 때 초속 15∼25m 정도이며, 골을 넣기 위해 힘껏 찰 땐 초속 25m 이상 나온다. 실험 결과 브라주카는 25m 지점까지 날아가는 동안 공기저항을 거의 일정하게 받았다. ... ...
대마초로 류머티스관절염 치료한다?
과학동아
l
2014.06.08
않는다. 대신 DNA를 감고 있는 단백질인 히스톤에 메틸기와 아세틸기를 붙여 DNA의 발현을
조절
한다. 그 결과 면역세포 중 특정 항원에 반응하는 T세포의 활성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했다. 나가르카티 박사는 “THC가 이런 경로로 면역반응을 억제한다는 사실은 처음 밝혀진 것”이라면서 ... ...
엑스맨은 돌연변이가 아니다!
과학동아
l
2014.06.08
할 문제는 엑스맨의 능력이 돌연변이로는 나타날 수 없다는 점이다. 날씨를 맘대로
조절
하고 금속을 원하는 대로 움직이며 상대방의 생각을 조정하는 능력 등은 돌연변이가 아닌 초능력의 범주이기 때문이다. 백 보 양보해서 생물학적으로 인정할 수 있는 능력이라곤 울버린의 무한한 재생 능력 ... ...
첨단공정 최대의 적 ‘수분’ 막는 방법 찾아냈다
과학동아
l
2014.06.05
결과 플라스틱 필름 표면의 미세구조에 변화가 생겨 수분이나 산소의 투과도를 자유롭게
조절
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연구진은 이 기술을 차세대 휘어지는(Flexible) OLED 디스플레이 기판의 골칫거리였던 수분투과도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기술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또 ... ...
이전
404
405
406
407
408
409
410
411
4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