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뉴스
"
조절
"(으)로 총 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헬스&뷰티]“관절에만 영향?… 생명까지 위협할 수 있는 질환”
동아일보
l
2014.04.23
이 교수는 언급했다. 이 교수는 “환자에게 3년 정도 생물학적 주사제로 치료해보고 잘
조절
되면 약을 줄이다가 끊어도 괜찮은 경우도 있다”면서 “약제 중단 후 약 30∼40%에선 재발이 되는데 이 경우엔 약을 사용하면 다시 듣는 경우가 대부분이다”라고 말했다. 다행히 류머티스 약들은 ... ...
신통방통, 홍삼이 신종플루도 막아
과학동아
l
2014.04.22
활성을
조절
할 수 있는 물질로 알려졌다"며 "홍삼추출물이 면역세포의 활성을
조절
해 바이러스에 감염되더라도 염증을 일으키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결과는 '영양소(Nutrients)'지 1월 27일자에 실렸다 ... ...
와이퍼 없는 자동차 유리 ‘실용화’ 성큼
과학동아
l
2014.04.20
높을수록 흡착물층 역시 두꺼워져 최대 200nm까지 늘어났다. 친수성의 강도를 인위적으로
조절
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의미로 산업에서 다양한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비가 많이 오는 날은 자동차 유리창의 친수성을 더 강하게 키우는 장치 등을 개발할 수 있다는 뜻이다. 제원호 교수는 ... ...
한우 혈통, 스마트폰으로 찍으면 안다
과학동아
l
2014.04.14
또 한우 보증씨수소 정액의 판매량과 재고량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어 수급
조절
이 용이해진다는 장점도 있다. 박수봉 국립축산과학원 가축개량평가과장은 “관계 기관과 협의해 이 시스템을 현장에 보급함으로써 한우 혈통 관리와 기록 관리를 편리하고 정확하게 해 나갈 것”이라고 ... ...
아이가 1분간 쿵쿵 뛰면 층간소음… 욕실서 물 내리는 소리는 괜찮아
동아일보
l
2014.04.11
급배수 소음은 주택을 지을 때 원인이 발생하기 때문에 입주자의 의지에 따라 소음
조절
이 불가능하다는 게 이유다. 직접충격 소음의 경우 1분 평균소음이 주간 43dB, 야간 38dB을 넘을 때 층간소음으로 판정된다. 최고소음은 주간 57dB, 야간 52dB을 초과하면 층간소음이다. 공기전달 소음의 경우 5분 ... ...
대통령 암살, EMP탄이 뭐길래
과학동아
l
2014.04.11
폭탄 앞에는 안테나가 달려 있어 목표 지점을 정확하게 겨냥할 수 있고 피해 범위도
조절
할 수 있다. 이 무기는 1999년 개봉한 영화 ‘매트릭스’에서 인간 전함을 공격하는 기계 군단 ‘센티넬’을 한순간에 무력화시키는 도구로 소개되면서 유명해졌다. 미국은 비핵 EMP탄을 2003년 이라크전에 ... ...
노화 막고 암도 잡고? 전천후 단백질 등장
과학동아
l
2014.04.09
있는 생쥐에게 투여하자 암세포의 증식이 억제된 것을 확인했다. 권 교수는 "NAD를
조절
하는 약물은 암세포 성장에 관여하는 과정만 골라 억제할 수 있어 부작용이 적다"며 "향후 신개념 항암제 개발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
경주 토종개 '동경이' 꼬리뼈 어디 갔니~?
과학동아
l
2014.04.08
RSK)' 유전자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드러났고, 2번에 포함된 마커들은 유전자 발현
조절
기능을 갖고 있는 '엘라브 계열 2(CELF2)' 유전자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이 두 개의 유전자가 특이 단백질을 만들어내 동경이의 꼬리뼈 퇴화를 유도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김태헌 ... ...
차세대 메모리 소자 '얇게 더 얇게'
과학동아
l
2014.04.08
바뀌는 메모리 소자의 특성을 확인한 것이다. 구동 속도도 매우 빨랐으며 박막의 층수를
조절
하면 메모리 성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 교수는 “나노미터 수준에서 두께에 따라 원하는 메모리 성능을 낼 수 있다는 점에서 나노전자 소자의 메모리칩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 ...
캥거루 로봇, 점프가 ‘살아있네’
과학동아
l
2014.04.08
때문. 발목 뒤에 위치한 이 힘줄은 몸에서 가장 강한 힘줄 중 하나로, 발바닥 근육을
조절
해 힘을 만들어 몸을 앞으로 밀어주는 역할을 한다. 훼스코 연구팀은 야생캥거루의 아킬레스건을 구현했다. 탄성이 있는 고무와 스프링을 발 뒤쪽에 고정했다. 그리고 종아리에 공기를 압축·팽창시킬 수 ... ...
이전
407
408
409
410
411
412
413
414
4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