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뉴스
"
조절
"(으)로 총 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32채널 가진 3차원 음향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2.11
이번 기술은 30개의 소리 스피커와 2개의 진동 스피커를 이용해, 스피커 각각의 볼륨을
조절
함으로써 한층 현실감 있는 입체음향 기술을 만들 수 있게 했다. 영화에 나오는 주인공의 위치를 컴퓨터로 좌표로 만들고, 항상 주인공이 서 있는 장소에서 소리가 나오도록 한 것. 즉 먼 곳에서 나는 ... ...
암·뇌졸중 원인 단백질 구조 기능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2.11
치료제는 다른 DUSP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연구팀은 선행연구를 통해 DUSP의 기능을
조절
하는 화합물을 분석했다. 이들 중 10여 종의 화합물이 DUSP의 구조적 차이에 따라 각각 선택적으로 반응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를 통해 DUSP에 존재하는 효소활성 부위의 표면과 전하 배치 등 각각의 ... ...
[신나는 공부]한 학기 결과를 좌우할 신학기 목표설정
동아일보
l
2014.02.11
학교와 학원수업, 식사시간 등 일정이 확정된 ‘고정시간’과 시간 활용을 스스로
조절
할 수 있는 ‘가용시간’을 파악해 보는 것이 필요하다. 스스로 공부계획을 짜고(Plan), 실천하고(Do), 결과를 평가(See)해 볼 수 있는 가용시간을 더 효과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계획은 세우지만 실천이 안 되는 ... ...
그녀들을 최고로 만든 ‘물리 스킬’
과학동아
l
2014.02.10
만드는 최적의 타이밍을 잘 아는 선수인 것 같다”고 말했다. 마찰력을 마음대로
조절
한다 100분의 1초를 다투는 스피드스케이팅은 출발부터 달리는 듯한 자세로 발동작을 빠르게 한다. 체격 조건이 불리한 이상화는 다른 선수들이 발동작을 10번 할 때 12번 안팎을 해내는 것을 목표로 속도와 힘을 ... ...
1형 당뇨 완치하는 줄기세포치료제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2.07
‘소아당뇨병’이라고도 부르는 1형 당뇨는 췌장에서 인슐린이 분비되지 않아 혈당이
조절
되지 않는 선천성 질환이다. 보건복지부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 10만 명당 1.1명이 이 병을 앓고 있다. 문제는 근본적인 치료법이 없어 평생 인슐린 주사를 맞아야 한다는 것. 이 같은 상황에서 ... ...
우울증·뇌전증 잡을 뇌 속 비밀통로 밝혀지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2.07
다른 성상교세포로 퍼뜨려 뇌 속 칼륨이온 농도를
조절
한다”며 “칼륨이온 농도
조절
실패로 인한 뇌전증, 우울증, 불안장애 등 신경계 질환에 대한 새로운 치료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열 손가락 깨물어 안 아픈 손가락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2.05
것이다. 연구를 주도한 조다나 벨 박사는 “향후 연구를 통해 TRPA1 유전자의 변화를
조절
하는 법을 알게 되면 만성통증 환자 치료법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 말했다 ... ...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2월 수상자 포스텍 이종람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14.02.05
전류가 누설되는 한계가 있었다. 이 교수는 유리 위에 금속기판을 놓고 원자결합력을
조절
하는 간단한 방식으로 표면 거칠기를 100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에서 1nm까지 낮추는 데 성공했다. 차세대 전자소자의 경제성을 높인 이 기술은 대한민국 발명특허대전 대통령상(2011) 및 ... ...
알츠하이머 막으려면 딸기·오이 많이 먹어라
동아사이언스
l
2014.02.04
억제하는 분자가 발견됐다는 점에 주목했다. 또 피세틴이 신경 세포의 생성과 사멸을
조절
하는 스위치 단백질 ‘p35’가 다른 단백질(p25)로 분열되지 않게 한다는 사실도 발견했다. 마허 박사는 “피세틴이 지금까지 중요하게 여기지 않았던 표적에 작용해 알츠하이머병을 치료하는 것으로 ... ...
악몽과 개꿈의 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14.02.04
호흡 같은 신체반응이 따라올 수 있다. 결국 악몽은 전방대상피질이나 내측전전두피질의
조절
기능에 문제가 생겨 편도체가 과잉반응을 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는 것. 그럼에도 악몽 자체가 병은 아니라고 한다. 조사결과에도 있듯이 악몽이 긍정적인 반응을 불러일으키는 경우도 4.5%나 됐다. ... ...
이전
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