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예"(으)로 총 9,616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으로 생각하기] 일본 대지진 바로 알기수학동아 l2011년 04호
- 따라 정해져 있기 때문에 PS시만 알면 관측소에서 진원까지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암석을 통과하는 P파와 S파의 속도가 각각 초속 7km, 초속 4km이고, PS시가 60초라면 진원까지의 거리는 560km가 나온다.관측소 세 군데에서 진원까지의 거리를 파악하면 진앙의 위치를 구할 수 있다. ... ...
- 생태계 변화, 수학으로 미리 안다수학동아 l2011년 04호
- 공격하는 게 사냥 성공확률이 높아요.”수학으로 동물 행동을 비롯한 자연 현상을 예측하는 사례를 제시하며 연구의 장점을 설명하는 이상희 팀장. 그는 물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뒤 자연 현상을 통합적으로 보는 생태학의 매력에 빠져 다시 생물과 생태학을 공부했다. 이상희 팀장은 ... ...
- 왜 덧셈보다 곱셈을 먼저 할까?수학동아 l2011년 04호
- 쓰는 이유는 많은 수학자들이 이 방법이 편리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간단한 예로 덧셈을 먼저 하기로 했다면 흔히 쓰는다항식 3x²+5x+7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괄호가 필요하겠지요. 물론 매우 불편한 일이 될 테지요 ... ...
- 현장점검-구제역 지하수 3년 뒤 진짜 위기 온다과학동아 l2011년 04호
- “지하수가 흐르는 속도, 오염원의 밀도 등 몇 가지 정보만 알면 오염물질의 이동 경로를 예측할 수 있다”며 이를 통해 어느 지역에 차단막을 세울 지 대책을 결정할 수 있다고 말했다. [지하수를 ‘지하에 고여 있는 물’ 정도로 이해하면 안 된다. 땅 위를 흐르는 물보다 지하수가 훨씬 많기 ... ...
- 애벌레의 36계 줄행랑과학동아 l2011년 04호
- 축소 혹은 확대하고 있다. 열대 및 아열대 기후에 주로 분포하는 왕나비가 대표적인 예가 될 수 있다. 왕나비 애벌레와 기후 변화에 관한 필자의 ‘2010년 국립공원 치악산 조사 보고서’의 내용을 소개한다.왕나비는 네발나비과 왕나비아과에 속하는 나비로 날개를 펴면 길이가 100mm에 이르는 매우 큰 ... ...
- 생명의 기원, DNA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1년 04호
- RFLP(Restriction enzyme Fragment Length Polymorphisms, 제한효소 절편 길이 다양성)법이라고 한다.예를 들어 과 같이 범인과 용의자의 DNA를 같은 제한효소로 잘라 전기영동한 결과를 보자. 누가 유력한 범인일까? RFLP 결과 같은 DNA 조각을 보이는 용의자 4가 가장 유력하게 지목된다. 이 ...
- '거짓말 없는 세상' 에서 수 읽기수학동아 l2011년 04호
- 근삿값이 더 유용하게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주변에서 우리가 쉽게 만날 수 있는 또 다른 예로는 옷이나 신발의 사이즈가 있다. 보통 의류 가게에서는 사람의 체격에 꼭 맞는 정확한 사이즈의 옷이 아니라, 각 나이대별 체격에 따라 S, M, L, XL 등의 4단계나 5단계로 나눠져 있는 옷을 판매한다. 신발의 ... ...
- 수학교육 문제점, 생활수학으로 해결한다수학동아 l2011년 04호
- 수렴할 계획이다. 그리고 5월까지 수학교육을 개선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확정할 예정이다.수학교육연구센터도 5월까지 창의재단에 설치된다.한편 이번 발표에는 창의재단이 박경미 홍익대 수학과 교수팀과 함께 우리나라 초중고교 수학교육 발전방향에 대해 연구해 지난해 5월에 발표한 ... ...
- Part1. 원전 사고 5가지 핵심 쟁점과학동아 l2011년 04호
- 불구하고 원전 자체의 안전에 여전히 의구심을 표하는 사람도 많다. 이번 사고가 인류가 예측하기 어려운 대형 재해에 인간의 기술이 얼마나 취약한지를 여실히 보여 줬기 때문이다. 하지만 원전 기술 덕분에 인류가 누리고 있는 혜택 또한 많은 것 또한 사실이다. 신중한 논의와 접근이 필요하다. ... ...
- 기회의 세상 만드는 마태복음 효과과학동아 l2011년 04호
- 현상이다. 2002년 월드컵 당시 거리에 쏟아져 나왔던 붉은 악마의 거리 응원단이 좋은 예다. 그 누구도 광장으로 모이라고 시키지 않았지만 수십, 수백만 인파가 모였다.양의 되먹임 현상이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것을 ‘창발(emegence)’이라고 한다. 양의 되먹임은 의외로 수많은 물리 현상에서 ... ...
이전4054064074084094104114124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