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시권 통신망
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d라이브러리
"
맨
"(으)로 총 968건 검색되었습니다.
2. 모양 속에 안전 있다
수학동아
l
200910
사각형 모양으로 뚜껑을 만들면 뚜껑의 방향에 따라 쉽게 구멍으로 빠지고만다.
맨
홀 뚜껑 하나의 무게가 63~252kg인 걸 생각하면 위험할 뿐 아니라 땅 속의 관도 크게 부숴지기 쉽다.원이 아니더라도 정삼각형이나 정오각형과 같이 변의 수가 홀수인 도형을 이용하면 폭이 똑같은 도형을 만들 수 있다 ... ...
사과를 가장 효율적으로 쌓는 법
과학동아
l
200910
보기 좋게 쌓여 있는 사과나 배를 볼 수 있다. 열과 행을 맞춰 서 있는 군인들처럼
맨
밑에 사과를 일렬로 깔아놓은 뒤 그 위로 사과 사이의 움푹 들어간 곳에 두 번째 층을 쌓고 또 그 위로 움푹 들어간 곳에 세 번째 층을 쌓는 방식이다.사실 상인들은 수천 년 전부터 둥근 과일을 이런 식으로 ... ...
생활 곳곳에 자리잡은 χ
수학동아
l
200909
이기도록 돕는 스파이를 찾아 내는 거였지. 누구도 알지 못하게 행동한다고 해서 이름이 X
맨
이었어. 이처럼 x는 모든 분야에서 알 수 없는 것을 가리키는 대명사로 자리잡게 됐어.수학시간에 머리를 아프게 하던 x가 생활 속에 이렇게 많이 쓰이고 있는 줄은 몰랐지. 앞으로 내가 또 어디서 너희들의 ... ...
유전자와 문화 사이의 균형추
과학동아
l
200909
‘우리가 선택한다’는 점에서 독특하다. 그리고 바로 이 점이 전체 진화 계통도의
맨
끝자락에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우리 인간이 그나마 조금 더 도드라져 보일 수 있는 근거가 된다. 또 인간의 행동과 인간 사회의 분석이 좀 더 흥미롭고 다이내믹해지는 이유가 된다 ... ...
깨처럼 고소한 물고기
과학동아
l
200909
커다란 반점이 있는데, 물 위에서도 뚜렷이 보일 만큼 검은빛이 선명하다. 등지느러미
맨
뒤쪽에 가느다란 지느러미줄기가 실처럼 길게 늘어져 있다는 점도 다른 물고기와 뚜렷이 구별되는 특징이다.조선 후기의 실학자 서유구는 ‘난호어목지’에서 전어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 ...
“아라온 호, 극지 심해서 자원 확보한다”
과학동아
l
200908
저주파를 이용한다면 다중빔 측심기는 고주파를 이용한다. 고주파는 저주파와 달리
맨
처음 만나는 장애물에서 대부분 튕겨 나간다. 따라서 다중빔 측심기를 쓰면 수심과 해저 지형의 겉모습을 샅샅이 알아낼 수 있다.다중빔 측심기는 아라온 호의 선체 좌우에 달린다. 수면 근처에서 해저를 향해 ... ...
잃어버린 세계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0907
않게 해독할 수 있을 것이다. 아래 암호문을 생각해 보자.1 4 + 4 7 1 3 1 + 8 1 1 + 2 3 1그렇다.
맨
앞 숫자는 한글 자음의 순서, 그 뒤 숫자는 한글 모음의 순서, 덧셈기호 다음의 숫자는 받침으로 쓰인 자음이나 복모음의 일부에 해당한다. 이를 해독해 보면 다음과 같다.겨 +ㄹ 사 다 +ㅣ 가 + ㄴ 다 -> 결사대 .. ...
[입학사정관제] 입학사정관제 1차 전형 통과 비법
과학동아
l
200907
세월 쌓인 빙하 속에서 과거 지구환경변화를 알 수 있기 때문에 (이는) 중요한 실험이다.
맨
밑은 100년 전 얼음이라니!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빙하 위를 타고 내려오는 물도 마셔보고 얼음도 씹어 맛을 봤다. 모두 육각수다. 빙하 체험을 하면서 정말로 내가 북극에 왔구나 하는 생각이 새삼 들었다 ... ...
꽃가루 화석에서 피어난 한반도 과거
과학동아
l
200907
1960~1970년대 산업 발전 과정에 무수한 이탄을 화력 에너지원으로 소비했고 결국 퇴적층의
맨
위층이 없어졌다. 그래서 꽃가루 화석으로 과거 2000년 동안의 기후와 식생을 복원하는 데 한계가 있다. 최근에는 유적 발굴지(서울 청계천, 경기 이산포와 파주, 충북 진천)와 호수 퇴적물(충북 의림지, 강원 ... ...
낮이 가장 긴 달은 하지가 있는 6월인데 왜 날씨가 가장 더운 달은 8월인가요?
과학동아
l
200906
더 많으며 유리창처럼 투명한 물체는 빛이 투과되는 양이 더 많습니다. 종이 표면에는
맨
눈으로 보기에는 매끄러워 보이지만 사실은 무수히 많은 구멍이 나 있어 울퉁불퉁합니다. 빛이 종이에 닿으면 울퉁불퉁한 표면에서 빛들이 다양한 방향으로 반사됩니다. 결국 종이는 불투명한 흰색으로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