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값"(으)로 총 3,053건 검색되었습니다.
- [매스크래프트] #13. 보신각 종을 꼭 닮은 통계학의 핵인싸 정규분포!수학동아 l2021년 01호
- 관측한 22개의 자료로 세레스의 궤도를 추정하는 계산을 했어요. 이때 예측한 값과 실제 값의 차이, 즉 오차를 최소화하고자 노력했는데 그러려면 오차의 분포가 정규분포를 따라야 한다고 판단했어요. 가우스의 이 판단은 지금까지도 옳다고 여겨지며 자연과학뿐 아니라 사회학, 심리학에서도 ... ...
- [방구석 과학×음악 콘서트] 수학으로 악보를 그리다!수학동아 l2021년 01호
- 점은 무엇이었냐는 질문에 안 작곡가는 곡을 쓰기 위해 직접 개미수열의 20항까지의 값을 구한 것이라고 답했습니다. 16항부터 수의 개수가 100개가 넘어가면서 오류를 찾는 것이 쉽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20항은 무려 302개의 숫자로 구성돼 있다고 하네요.사전 녹화 현장에선 개미수열 14항의 숫자를 ... ...
- [훈쌤이랑 코딩수다] 인공지능으로 얼굴 속 황금비율 찾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변수에 저장해요. 이렇게 거리를 측정한 뒤에는 나눗셈으로 각 비율값을 구했어요. 비율값은 소수점 셋째 자리까지만 나타나도록 블록을 쌓았답니다(②). ● 미션 얼굴 속 비율을 구하는 다른 방법은 없을까?왼쪽 눈, 오른쪽 눈, 윗입술, 아랫입술, 코, 왼쪽 입꼬리, 오른쪽 입꼬리의 위치를 활용해 ... ...
- [특집] 결정장애야 물러가라! 추천 AI의 세계수학동아 l2021년 01호
- 정해진 가중치를 줘서 분석하는 방법이 있습니다.하지만 이 방법은 이미 정해진 값을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의견을 반영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사용자의 반응을 가중치에 적용해 성능을 계속해서 개선하고 있답니다 ... ...
- 단백질 구조 50년 수수께끼 풀었다, 구글 인공지능 알파폴드2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전체 입력값을 참고해 정확도를 보정하는 기술이다. 해당 구간에서 예측해야 할 값을 더 집중(어텐션)해서 본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그런데 신기하게도 이렇게 학습된 딥러닝 방법은 결과적으로 비슷한 서열이 많지 않은 경우에도 정확한 예측이 가능했다. 이것은 현존하는 데이터(단백질 구조와 ... ...
- [신 기후체제] 기후위기 극복 나선 ‘쿨한’ 기업들과학동아 l2021년 01호
- 경우 평균 탄소 배출량이 100g당 82.5gCO2e(배출되는 온실가스를 이산화탄소로 환산한 값) 정도였다.풀무원은 2022년까지 감축부문 인증을 받기 위해 올해부터 제품 당 탄소발자국 수치를 줄여갈 예정이다. 두부가 생산되는 과정은 콩을 가공하고 포장재를 준비하는 제조 전 단계, 제조 단계, 유통 단계, ... ...
- 훈훈한 훈쌤이랑 쫑알쫑알 코딩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9호
- ‘피보나치 수열’은 첫 번째와 두 번째 수가 1로 시작하고 이후엔 앞선 두 수를 더한 값이에요. 1, 1, 2, 3, 5, 8, 13, 21, 34, 55…로 이어지지요. 이번 시간엔 피보나치 수열을 그리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봐요 ... ...
- [기획] 3장. 더 정확한 1kg을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했어요. 플랑크 상수는 빛 알갱이인 광자 하나의 에너지를 그 광자의 진동수로 나눈 값이에요. 플랑크 상수의 단위는 kgm2/s인데, 킬로그램을 제외한 미터(m)와 초(s)는 이미 자연 현상을 기준으로 결정된 단위라 플랑크 상수를 정확하게 알면 킬로그램도 정할 수 있거든요.그래서 이제는 금속 원기 ... ...
- [헥!헥! 핵물리학자] 흡사 입자 탐정 수사극? ‘검출기’ 속 입자의 흔적을 추적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속도를 알아내는 방법은 간단해요. 속도는 입자가 이동한 거리를 이동 시간으로 나눈 값이거든요(속도=이동 거리÷이동 시간). 입자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얇은 검출기 두 개를 특정한 거리를 두고 차례로 설치하면 입자가 첫 번째 검출기를 지나고 나서 두 번째 검출기를 지날 때까지의 시간을 잴 수 ... ...
- [특집] 해커의 침입을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정보를 해석할 수 있어요. 만일 해커가 중간에 광자를 훔쳐보려고 하면 관측 시 하나의 값으로 결정되는 양자의 특성 때문에 해킹이나 복제를 할 수 없게 돼요. 동시에 정보를 주고받던 사람은 해커의 존재를 바로 알아챌 수 있지요.지난 6월 16일, 중국 과학기술대학교 판지안웨이 교수팀은 1120km ... ...
이전3637383940414243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