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집
모집
채취
집합
d라이브러리
"
채집
"(으)로 총 571건 검색되었습니다.
3 새들의 사투리 방방곡곡 가지각색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사철 푸르고 키가 작은 상록수림 주변에 산다.이 두 아종의 소리를 야외에서 조류소리
채집
용 고성능 녹음기로 녹음한 다음, 음성분석기인 소노그램으로 분석했다. 그 결과 각 지방별 새소리의 주파수가 완전히 다른 것으로 분석됐다. 즉 같은 종류의 새라도 사는 지역에 따라 조금씩 다른 소리를 ... ...
박테리아가 만든 황제의 상징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자주(Tyrian purple)라고도 불렸습니다.로마의 박물학자 플리니는 이 염색법을 “소라고둥을
채집
한 다음 농도가 진한 소금물에 여러날 담가둔다. 천이나 실을 이 용액에 한번에 수시간씩 여러번 담그기를 반복한 다음 햇볕에 쪼이면 자주색으로 염색된다”고 묘사했습니다. 20세기 초 파울 프리뢴더란 ... ...
압력솥 온도 견디는 미생물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미국 메사추세츠대 미생물학과 러브레이 교수팀은 태평양 심해 열수분출구 주변에서
채집
한 미생물이 압력솥 내부의 온도인 1백21℃에서도 살아갈 수 있다고 과학전문지 ‘사이언스’ 8월15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이 미생물에게 ‘변종 121’이라는 이름을 붙였다.1백-3백℃의 뜨거운 물을 ... ...
산호 2030년까지 60% 파괴 예상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박사팀은 수천년에 걸친 산호에 대한 기록물들을 모았다. 이에 따르면 인간이 수렵과
채집
을 했던 때부터 산호는 파괴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그 원인은 과도한 어획과 육지로부터 흘러들어온 오염물질이었다. 연구팀은 “인간 활동에 의해 파괴되는 것을 막지 못하면 산호는 수십년 안에 모두 ... ...
자연의 노래
채집
하는 사냥꾼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일이 얼핏 놀러다니는 것처럼 보일 수도 있지만 사실 고생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소리
채집
에 나서면 낯선 외지에서 보통 수개월을 보내야 하기 때문에 건강을 해치기 일쑤다. 올의 경우도 4년 전에 심각한 병에 4개월 이상 앓기도 했다. 네팔에서는 호랑이와 마주쳤는데 안내자의 기지로 무사했던 ... ...
형제자매 해치는 동물들의 기막힌 사연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잡아먹는다고 알려져 있다.지난 2000년 필자의 연구실에서는 도롱뇽의 알을 야생에서
채집
해 부화시켰다. 도롱뇽의 알주머니 안에는 약 1백개의 알이 들어있는데, 한 알주머니에서 나온 새끼들은 모두 같은 형제다. 새로 태어난 도롱뇽 새끼들에게 먹이를 부족하게 줬더니 자신과 다른 알주머니에서 ... ...
뉴기니와 아즈텍의 엽기적 식인 풍습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수요를 충족하기에도 턱없이 부족했다고 한다. 그래서 그들은 수렵이나 어로, 그리고
채집
등을 통해서 단백질 수요를 채워나가려고 했지만, 여전히 부족할 수밖에 없었던 상당한 양은 인간의 육신에 의존했다는 것이다.영양학적 차원에서 행해진 식인 풍습은 어쩌면 극한적 상황에 처해서 생존을 ... ...
3 배출된 이산화탄소 격리수용 시킨다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대해 자세히 살펴보자. 해양 저장의 구상은 발전소나 공장의 배출가스에서 이산화탄소를
채집
해 전용선으로 바다로 옮긴 다음 파이프를 통해 깊은 바다밑으로 이송하는 개념이다. 다양한 종류의 배출원으로부터 나온 이산화탄소는 일반적으로 흡수법, 흡착법, 막분리, 또는 하이브리드형의 ... ...
5mm 톡토기에서 진화를 추적하는 생물학자 이병훈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가르치지도 연구논문을 쓰지도 못했을 것이라고 한다.이후 1972년 9월에서야 그는 몇년 간
채집
한 톡토기 표본을 갖고 프랑스로 향했다.“프랑스에서 생활은 어땠습니까? 불어에 대한 부담은 없으셨나요?”“기회는 준비된 자에게 온다는 말이 저에겐 딱 들어맞았어요. 대학다닐 때는 재미로 불어를 ... ...
① 메타게놈이 가져온 DNA 연구 혁명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나머지 대다수의 많은 미생물은 실험실에서 배양되지 않는다는 가설을 발표했다.
채집
한 표본을 형광으로 염색해보면, 실제로 무수히 많은 미생물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으며 그 수를 직접 세어볼 수도 있다. 그러나 같은 표본에서 미생물만 분리하면 그 안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1% 정도만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