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 면"(으)로 총 2,602건 검색되었습니다.
- [Focus News] 초강력 태양폭풍 지구 강타한 이유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지켜봐야 합니다.” 10월 11일 오후 3시 대전 한국천문연구원(천문연) 우주환경감시실. 김록순 우주과학본부 태양우주환경그룹 선임연구원이 화면을 보며 설명했다. 거대한 상황판 왼쪽에는 태양 관측 위성이 촬영한 태양의 실시간 영상이, 오른쪽에는 현재 지구자기장의 상태와 지구로 날아오는 ... ...
- 위상수학자가 도넛을 사랑하는 이유수학동아 l2017년 11호
- 방향으로 무한히 뻗어나가는 평면은 유한하지 않은 곡면의 대표적인 예이지요 ... 상상했던 것처럼요. 그러나 유한하면서도 끝이 없는 곡면이 있습니다. ‘경계가 없는 곡면’이라면 가능합니다. 지구처럼 구 모양인 곡면 위에서는 어떤 방향으 ...
- [SW 기업 탐방] 같이 타면 빠르고 안전한 학원 버스 셔틀타요수학동아 l2017년 11호
- 하던 일을 셔틀타요는 컴퓨터로 한다. 학생이 탑승시간을 바꿔달라고 하면, 셔틀타요가 만든 프로그램이 ... 맘에 드는 것을 학원이 선택하면 된다. 기술 개발은 공동창업자 중 한 명인 유창국 개발이사가 주도한다. 유 이사는 다음과 카카오가 회사를 합치기 전, 다음이 처음 생길 때부터 19년 동안 ...
- 나도 모르게 왕따 가해자?! 왕따가 생기는 이유수학동아 l2017년 10호
- 사람을 늘리는 것이니 어쩌면 너무나 당연한 결과라고 볼 수 있지요. 예를 들어 ... 가정했습니다. 그리고 경쟁이 끝나면 무리에 속한 사람들이 자원을 나눠 갖게 했지요. 사람들은 자기가 이득을 더 얻는 쪽으로 무리를 옮길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무조건 무리를 옮길 수 있는 건 아닙니다. 그 사람이 ... ...
- Part 1. 휘발성유기화합물 검출 경로 추적해보니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생리대 내부로 통과시키는 역할을 한다. 인조섬유, 면섬유, 폴리에틸렌 필름(표지용) 등을 ... 빼낸 것을 목재펄프라고 부른다. 면상펄프는 목재펄프의 한 종류로, 의료용 솜과 비슷한 모양으로 폭신폭신하게 만든 재료다. 윤혜정 서울대 산림과학부 교수는 “면상펄프는 종이를 만드는 펄프보 ...
- 한글의 美, 기하학 만나 추상미술로 피어나다수학동아 l2017년 10호
- 싶었던 ‘독도’를 주제로 정하면서 패턴 중 하나를 한글을 이용해 만들었다. ‘동쪽 끝 섬 ... 실을 설치하는 작업을 하면 한 손으로는 실을 팽팽하게 잡아당긴 채 수백수천 번 같은 공간을 오가야해요. 실수 없이 작품을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긴장하지만, 끊임없이 반복되는 행동을 통해 마음은 ... ...
- [Issue] 경주 지진 벌써 1년, 석가탑과 첨성대 큰 지진에 견딘 비결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석가탑의 정중앙에 생기도록 한 것이다. 또 아랫돌 위에 ... 뿌린 다음, 윗돌을 놓았다. 그러면 무기질재가 물과 만나 회반죽처럼 ... 있었다. 그런데 1000년 이상이 흐르면서 한 쪽 귀퉁이가 떨어져 나갔다. 전체적인 모양도 세월을 빗겨가지 못했다. 북쪽으로 약 1도 가량 기울어져 있었는데, 지난해 . ...
- [Issue] 돌보다 강한 콘크리트 아파트, 40년 만에 다시 짓는 이유는?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이겨 낼 수 있는 힘이 충분해야 한다. 이런 면에서 돌로 지은 건물은 강도는 ... 압축력에 강하지만 인장력에 약한 반면, 철근은 인장에 강하기 때문이다. 또 철근이 산성에 닿으면 부식되는데, 염기성을 띠는 콘크리트로 감싸 이를 보완할 수 있다.하지만 철근콘크리트 건물에도 한계가 있 ...
- [알쏭달쏭 논리 동화] 장화 신은 고양이가 슈뢰딩거를 만났을 때수학동아 l2017년 07호
- 원소가 붕괴할 확률은 1/2입니다. 한 세계 해석에 따르면 고양이는 1/2의 확률로 죽거나 살 수 ... 0부터 999999까지 숫자 가운데 하나가 한 면에 나타나는 전자 주사위를 생각해 봅시다. 주사위 면에 내 생일인 980728이 나올 확률은 100만 분의 1입니다.많은 세계 해석에 따르 ...
- [DJ CHO의 롤링수톤] 에스허르 하우스에 갇힌 가상 밴드수학동아 l2017년 07호
- 펜로즈의 삼각형은 막대 세 개를 교묘하게 연결한 도형으로, 삼각형의 한 면을 따라가다 보면 끊임없이 회전을 반복하는 것처럼 느낍니다.에스허르는 이를 이용해 무한히 오르는 계단을 만들었지요. 아무리 올라가도 끝없이 제자리만 맴도는 계단을 표현한 작품 ‘폭포’가 대표적입니다. ... ...
이전3637383940414243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