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 면"(으)로 총 2,602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동아클리닉] 여러 가지 문제 해결하기수학동아 l2016년 12호
- 긴 띠 모양의 종이를 접어 만든 다각형 또는 다면체 모양의 장난감입니다. 구부렸다 펼칠 때마다 가려져 보이지 않던 새로운 면이 나오는 신기한 다각형이지요. 구부러진다는 뜻을 가진 단어 ‘flexible’의 ‘flex’와 다각형의 뜻을 가진 단어 ‘polygon’의 ‘gon’이 합쳐진 말입니다. 정사각형, ... ...
- [수학동아클리닉] 대나무로 이해하는 입체도형수학동아 l2016년 12호
- ‘점’에서 시작해 면을 만들고 다면체를 완성한다. 이를 통해 사물의 면만 보는 게 ... 구조물을 쉽게 만들 수 있다.이러한 다면체 구성 작업은 막연하게 느꼈던 공간과 입체에 대한 새로운 경험이 될 수 있다. 아울러 대나무로 만든 구조물은 실내 장식 등으로 다양하게 쓸 ...
- [Tech & Fun] 디즈니 리서치과학동아 l2016년 12호
- 공개한 장난감 기술5)를 참조하면 좋겠네요.아기자기한 캐릭터 가득한 연구실디즈니 ... Collaborative Innovation Center, CLC) 건물의 한 층 전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건물은 삼 면이 모두 유리창으로 돼 있고, 창가를 따라서 연구실과 회의실이 스무 개 정 ...
- Part 3. 자꾸자꾸 굽어가는 세상수학동아 l2016년 11호
- 만들기 위해 새로운 기술을 만들어야 했다. 평면만 생각했던 유클리드 기하학에서 굽은 곡면을 생각한 수학자들이 겪었던 과정과 비슷하다.지난 6월 27일 이상영 울산과학기술원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교수팀은 이를 해결할 ‘종이 배터리’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일반 잉크젯 프린터로 종이 위에 ... ...
- [수학동아클리닉] 별이 숨어있는 도형, 스타돔 만들기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이것을 ‘n단계 지오데식 구면’이라 한다.정이십면체는 한 꼭짓점에서 5개의 정삼각형이 만나는 특징이 있다. 이 때문에 2단계 이상의 지오데식 돔에서는 오각형을 볼 수 있다. 그래서 지오데식 돔은 정오각형과 정삼각형으로 이뤄진 준정다면체인 ‘십이이십면체’로 만들 수도 있다.이런 2차 ...
- Part 2. 세상은 구부러졌다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점에서 의미가 크고, 2000년 이상 유일한 기하학으로 받아들여졌다.유클리드 기하학은 ‘평면’ 위에서만 점, 선, 면 등을 다룬다. ... 문제가 생겼다.기하학★ : 점, 선, 면, 도형, 공간 등을 다루는 수학의 한 분야다.공리★ : 증명 없이 그대로 받아들이는 명제다.새로운 기하학의 탄생다섯 ...
- [수학동아클리닉] 점, 선 ,면의 확장수학동아 l2016년 11호
- 떨어뜨리거나 떨어져 있는 것을 붙이지 않고, 한 도형을 자유롭게 변형했을 때 다른 한 도형이 되면 두 도형은 위상동형이라 한다.위의 두 도형은 서로 위상동형이다. 선의 경우 무한히 늘릴 수 있는 고무줄이라 생각하는 게 좋다.(4) 위상동형과 입체도형입체도형에서 위상동형은 어떤지 생각해 ... ...
- Part 4. 동물의 삶이 궁금해? 직접 살아 봐!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생각하게 만드는’ 색다르고 기발한 업적에 수상한다. 1991년에 처음 제정돼 26회째를 맞은 이그노벨상은 올해도 어김없이 황당하고 엽기적이면서도 가슴 한 켠을 찡하게 만드는 다양한 연구들을 선정했다. 시상식에는 실제 노벨상 수상자들이 참석해 직접 상을 준다. 상금은 10조 달러지만, 지금은 .. ...
- [Knowledge] 암세포 ‘원샷 원킬’ 작은 RNA가 뜬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성장 속도를 조절하는 것처럼 다양한 유전자 발현을 조율하면서 생명 현상을 지휘하는 것으로 ... 단백질로 발현되는 것을 방해한다는 측면에서 기능이 같다. 하지만 이들의 출처나 구체적으로 작용하는 방법은 서로 다르다.miRNA의 출처는 아직 다 밝혀지지 않았다. 하지만 DNA의 인트론 부위에 있는 ... ...
- 5가지 키워드로 본 한반도 지진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단층의 수평운동이 주로 일어났고, 동시에 지표면에 수직한 면과 10° 남짓한 각도를 갖는 역단층 운동도 함께 일어났다”고 설명했다.지하 심부의 단층들은 서로 복잡하게 얽혀있기 때문에 큰 규모의 단층 운동이 있은 뒤에는 반드시 2차적인 단층 활동이 수반된다. 큰 나뭇가지를 흔들면 붙어있는 ... ...
이전4041424344454647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