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축
비축
갈무리
보관
세이브
보존
재고
뉴스
"
저장
"(으)로 총 2,711건 검색되었습니다.
월성4호기 사용후핵연료
저장
수 누설…"방사선량 아직은 안전한 수준"
동아사이언스
l
2024.06.23
누설 원인 등을 조사 중이다. 앞서 한수원은 22일 오전 4시 34분께 사용후핵연료
저장
조의 수위가 감소한 것을 발견해 누설 차단 조치를 했다. 한수원이 누설 추정량을 토대로 환경영향을 평가한 결과 유효선량은 연간 0.000000555mSv(밀리시버트)로 나타났다. 일반인의 선량한도는 연간 1mSv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매의 비행 능력을 향상시키는 공기주머니
동아사이언스
l
2024.06.22
조류의 폐 앞뒤에는 공기주머니인 '기낭'이 딸려 있다. 들숨과 날숨 때 기낭에 공기를
저장
함으로써 한 방향으로만 공기가 흐르게 된다. 섀크너 연구원은 붉은꼬리매 관련 프로젝트를 진행하던 중 이 새를 컴퓨터단층촬영(CT)으로 찍은 사진에서 비행에 쓰이는 가슴근육 사이에 돌출된 ... ...
이온 주입해 뉴로모픽 컴퓨팅 소자 신뢰도·성능 개선
동아사이언스
l
2024.06.21
활용되는 멤리스터는 전기가 흐르는 정도인 전도성의 변화를 통해 정보를 효율적으로
저장
하고 연산하는 차세대 메모리 소자다. 멤리스터는 소자의 특성이 불규칙하게 변화해 신뢰성이 낮은 것이 문제였다. 연구팀은 멤리스터 소자에 있는 산화물층 내에 '이종원자가 이온'을 적절히 주입하면 소자 ... ...
"석유 나올 것"…'젊은 땅' 포항·영일만에 눈독 들이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4.06.16
빈 공간을 의미하는 공극률과 통과 척도를 뜻하는 투수율이 높을수록 많은 양의 석유를
저장
할 수 있다. 공극률과 투수율이 낮으면 경제성이 낮을 수 있다. 또 근원암에서 아무리 많은 석유가 만들어져 저류암으로 이동해도 뚜껑 역할을 하는 덮개암이 부실하다면 물보다 가벼운 석유 특성상 ... ...
수면 부족으로 손상된 기억
저장
소, 회복 어려워
동아사이언스
l
2024.06.13
형성하는 뇌의 핵심 부위인 해마에서 발생한다. 뇌의 피질을 자극해 장기적으로 기억을
저장
하는 활동을 촉진한다. 앞선 연구에 따르면 이 신경세포의 활동 패턴이 방해를 받은 쥐들은 기억력이 저하되는 모습이 확인됐다. 이후 학계는 이 신경세포의 활동 패턴을 기억과 학습에 관여하는 ‘인지 ... ...
상온 양자컴 가능성 열었다…2차원 '스커미온' 생성·제어 첫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06.11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각 스커미온을 원하는 위치에 생성·소멸시킬 수 있다면 정보
저장
의 기본 단위(bit)로 쓸 수 있다. 스커미온은 외부 환경변화가 있어도 형태나 구조를 유지하려는 성질이 있고 수 나노미터(nm, 10억분의 1미터) 수준의 작은 크기로 구현할 수 있다. 또 매우 적은 전력으로도 ... ...
레이저로 열에너지 정밀 제어…고효율 AI반도체 공정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6.10
성능을 테스트한 결과 10만 번 이상 데이터 쓰기·지우기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정보
저장
상태도 10년 이상 유지 가능했다. 장재은 교수는 "열에너지를 최소화한 레이저 어닐링 기술은 강유전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상용화 가능성을 높이는 새로운 접근법"이라며 "기존 고온 공정의 한계를 ... ...
차세대 강유전체 메모리, 정보
저장
능력 극대화
동아사이언스
l
2024.06.10
연구팀이 개발한 소자는 한 번만 전압을 인가하면 원하는 데이터를 빠르게 입력하고
저장
할 수 있다. 이장식 교수는 "기존 메모리 소자의 한계를 돌파할 기술적 기반을 마련하고 하프니아 기반 강유전체 메모리의 새로운 연구 방향을 제시했다"며 "후속 연구를 통해 저전력·고속·대용량 메모리를 ... ...
영하 80도 버티는 섬유형 태양전지 제작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6.10
전자소자의 성능과 안정성을 함께 증가시킬 수 있다”라며 “향후 에너지 생산 및
저장
소재뿐만 아니라 센서 소재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기대된다”라고 말했다. ... ...
뇌에서 '수읽기' 일어나는 과정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08
만든 계산 모델의 예측과 비슷하게 나타났다. 마타르 교수는 "전전두엽 피질은 해마에
저장
된 정보를 활용해 '가능한 행동'을 머릿속으로 테스트하는 시뮬레이터 역할을 한다"며 "이러한 뇌 메커니즘을 더 깊이 이해하면 궁극적으로 의사 결정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장애의 치료를 개선할 수도 있다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