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가
필자
지은이
저술자
저술가
저작자
편찬자
스페셜
"
저자
"(으)로 총 576건 검색되었습니다.
구글 딥마인드, 의사보다 빨리 신장질환 진단하는 AI 개발
과학동아
l
2019.09.04
필요할 정도로 심각한 급성 신장 손상 환자의 경우에는 성공률이 90.2%로 뛰었다. 교신
저자
인 조지프 레드샘 딥마인드 임상연구원은 “앞으로 AI가 환자의 부작용을 예측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며 “데이터에서 여성의 비율이 6.38%로 낮다는 한계 등을 개선하기 위해 추가 연구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진핵생물 진화의 열쇠 쥔 고세균, 배양에 성공하다
2019.08.27
다루는 건 드문 일이다. 그만큼 엄청난 연구결과라는 말이다. 필자는 귀가하자마자
저자
들의 논문을 다운로드받아 읽어봤다. 실험 내용도 대단했지만 그 결과가 함축하는 바도 심오했다. 필자가 느낀 감동을 독자들도 공감하길 기대하며 아스가드 고세균 배양 성공의 의미에 대해 설명한다. 허 ... ...
'조국 딸'논문 "단일염기다형성과 뇌질환 관련성 연구"…"기여도·이해수준 파악 관건"
동아사이언스
l
2019.08.22
허혈성 저산소뇌병증 앓는 신생아의 유전자 분석 전문가들 "기여도, 이해 수준 파악이 관건" 논문 내용 분석만 요청했는데도 전문가들 '설 ... 대한의학회도 오전 긴급 이사회를 소집했다. 관계자는 "논문 자체는 문제가 없었으나,
저자
등재가 제대로 됐는지 검증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로봇 바지 입고 힘 덜 들이고 달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18
웨어러블 로봇 ‘엑소슈트’를 개발하고 연구결과를 이번주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제1
저자
로 이번 연구에 참여한 김 박사과정생은 지난 2017년 이기욱 교수(당시 미국 하버드대 박사후연구원)와 함께 바지처럼 입고 달리는 로봇을 개발했다. 연구를 진척시킨 연구팀은 이번에 걷기와 달리기를 동시에 ... ...
[표지로 읽는 과학] 빛으로 나노미터급 미세소관 움직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11
빛의 패턴 및 강도에 따라 모터단백질의 움직임도 달라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제1
저자
로 연구에 참여한 타일러 로스 박사과정생은 “미세소관과 모터단백질처럼 세밀한 구조와 유체를 조절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며 “빛을 기반으로 한 조절 시스템을 통해 미세소관과 모터단백질을 움직일 수 ... ...
추억의 장소 가면 설레는 이유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31
강화했고, 이것이 오랜 시간이 지나서도 특정 장소를 선호하게 만드는 것이다. 논문 제1
저자
인 남 연구원은 “뇌에서 베타-엔돌핀 호르몬이 분비되거나 강력한 마약성 진통체인 모르핀을 투약하는 경우, 행복한 감정을 느낌과 동시에 장소에 대한 정보를 받아들여 특정 장소 선호 기억을 형성하게 ... ...
"누에 똥으로 중력장 증폭?" 정부 연구기관이 낸 이상한 논문 철회 '망신살'
동아사이언스
l
2019.07.29
역시 중첩중력에너지를 다루고 있다. 세 편의 논문에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저자
인 오상룡 명예교수는 자신의 블로그에 스스로를 "식품비물질에너지학 명예교수"라고 지칭하며 “차를 통해 각성의 경지에 갈 수 있다는 것을 이야기하기 위해 경북대 평생교육원분원 차도과정을 16년간 운영했다”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맨발 예찬
2019.07.19
같다. 그렇다면 신을 신어 발바닥의 굳은살이 얇아지면 촉각은 민감해질 것이다. 그러나
저자
들은 생존에 중요한 정보일 수도 있는 촉각을 희생해가면서까지 발바닥 굳은살이 두꺼워지게 인간이 진화했을 것으로 보지 않았다. 그리고 놀랍게도 아직 아무도 신 착용 여부가 발바닥 굳은살 두께나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철학의 아버지’라는 위대한 호칭
2019.07.12
그러다가 외국에서 열리는 국제학회에 참석하게 되었다. 내가 공부했던 교과서나 논문의
저자
등 세계적으로 이름 높은 과학자들의 기조강연을 들으면서 나는 큰 충격을 받았다. 그분들은 대체로 지금 우리가 갖고 있는 체계가 자연을 이해하는 데에 어떤 한계가 있는지부터 설명했다. 단순화시켜서 ... ...
차 안의 AI가 내게 말했다 “5분 뒤 시속 40km로 주행가능해요”
동아사이언스
l
2019.07.09
어떻게 변할지 예측한 모습을 색깔과 도형을 이용해 나타낸다”고 설명했다. 제1
저자
로 연구에 참여한 이충기 UNIST 컴퓨터공학과 박사과정생은 “특정 도로가 막히는 상황은 주변 도로에 영향을 끼친다는 점에 착안해 알고리즘을 짰다”며 “과거 데이터와 실제 벌어지는 상황을 함께 학습하면서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