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가
필자
지은이
저술자
저술가
저작자
편찬자
스페셜
"
저자
"(으)로 총 576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수 비타민을 아시나요
2018.10.31
영양・대사센터가 소속으로 나와 있는데 그렇다면 아직 현역이란 말인가.
저자
는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생화학・분자생물학과 명예교수로 대학에서는 은퇴한 것으로 보인다. 다음으로 이 분이 1970년대 ‘에임스 검사(Ames test)’를 개발한 그 에임스라는 사실이다. 에임스 검사는 특정 박테리아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울트라디언 리듬을 알면 삶이 편해진다
2018.09.26
생리학과의 수면연구가 나다니엘 클라이트만 교수와 대학원생 유진 아세린스키가
저자
다. 이들은 잠이 안구가 빠르게 움직이는(Rapid Eye Movement) 렘수면과 거의 움직임이 없는 비렘(NREM)수면으로 나뉘고 대략 90분 주기를 보인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즉 하룻밤 자는 동안 울트라디언 리듬이 네다섯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기를 향한 무서운 열망... 어떻게 해결할까?
2018.07.24
비밀스러운 삶’에 나오는 소들의 다채로운 모습이 그런 예가 아닐까. 이 책 말미에서
저자
는 엄격한 동물복지시스템 도입이 시급함을 강조하고 있다. “소비자가 100% 풀만 먹고 자란 방목 유기농 동물복지 육우를 적극적으로 선택한다면, 동물을 기르는 방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코알라는 어떻게 유칼립투스 잎만 먹고 살까
2018.07.17
다만 이주할 개체를 선별할 때 감염 여부를 철저히 확인해 병이 퍼지는 걸 막아야 한다고
저자
들은 강조했다. 코알라를 멸종위기에서 구해내는데 이번 게놈 해독 연구가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pixabay 제공 뇌 대신 소화관을 선택 미국 작가 마이클 폴란은 2006년 펴낸 베스트셀러 ... ...
[강석기의 과학카페]“천재에게 좋은 인간성까지 바라지는 마세요”...아인슈타인을 위한 변명
2018.06.19
반복해 그리지 않는 한 불가능한 일이다. 영국 요크대 고고학과 페니 스피킨스 교수 등
저자
들은 논문에서 자폐 성향인 사람이 이 벽화를 그렸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자폐 성향인 사람이 보이는 고도의 인지능력 가운데 하나가 사진 같은 시각 기억력과 대상을 3차원으로 재구성할 수 있는 공간 ... ...
논문으로 살펴본 북한 과학의 현재
과학동아
l
2018.04.27
내용이 실렸다 - 사진 GIB 제공 ■ SCI급 논문 11년 간 북한은 260편의 논문을 발표했으며
저자
는 총 1344명이다. 논문이 인용된 횟수는 총 1587회이며, 논문 한 편당 평균 6.1회 인용됐다. 논문 수의 연평균 증가율은 19.4%다. ■ 연구 주제 물리학, 수학, 화학 분야 연구가 활발하며 면역학, 우주과학, 약학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뇌 건강 노력을 게을리 할 수 없는 이유
2018.04.10
과정 때문일 수도 있다”고 언급했다. 이들의 연구에 대해 ‘셀 줄기세포’ 논문의
저자
가운데 한 사람인 컬럼비아대 르네 헨 교수는 “성인 신경생성이 너무 미미해 어떤 중요한 기능을 한다고 보기 어렵다는 건 우려스러운 결과”라면서도 “이들의 실험에 오류가 있을 여지가 많다”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女 마라톤 최고 기록 김도연, 밥심으로 달렸다!
2018.04.03
1.6% 퇴보한 반면 기존 고탄수화물 저지방 식사를 준 그룹은 6.6%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저자
에 따르면 이는 너무나 당연한 결과로 인체 생리학에 대한 기본지식만 있어도 이해할 수 있다고 한다. 즉 근육이 힘을 내는데 포도당만큼 좋은 연료가 없다는 것을 인정한다면 굳이 탄수화물 대신 지방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배터리 핵심소재 리튬 vs 코발트, 누가 더 귀한 몸?
2018.03.20
에너지 단위다) MIT의 엘사 올리베티 교수를 비롯해 미국 재료과학자(공학자) 네 사람이
저자
다. 이들은 2025년까지 리튬이온배터리 수요와 배터리 원료 공급을 예측하는 시나리오를 돌려본 결과 병목(bottleneck)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큰 원료가 리튬이 아니라 코발트라고 주장했다. 리튬 수급도 여유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푸른' 종소리 '보는' 공감각의 비밀 풀렸다
2018.03.13
시냅스가 연결되면 공감각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수요일은 인디고블루’에서
저자
들은 공감각 소유자와 비소유자의 차이는 이런 뇌회로의 교차(cross talk)가 있느냐 없느냐의 여부가 아니라 정도의 문제라고 주장했다. 예를 들어 공감각을 느끼지 못하는 사람도 안대를 한 채 48시간을 ... ...
이전
39
40
41
42
43
44
45
46
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