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가
필자
지은이
저술자
저술가
저작자
편찬자
스페셜
"
저자
"(으)로 총 576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는 부족하기에 서로의 용기가 된다
2017.11.14
있었다. 한 여성이 이를 안타깝게 여겨서 아이의 새로운 지지자 겸 가족이 되어주었다.
저자
는 이 여성에게 이 아이는 힘든 일을 많이 겪었으니 많은 걸 기대하지 말라는 이야기를 했다. 혹시 가능한 실망을 방지하기 위한 이야기였을 것이다. 여기서 여성의 답은 이랬다. “우리 삶은 다 한번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초 족도리풀, 알고 보니 독초?
2017.11.07
대해서는 아직 규제가 없는 것 같다. 최근 ‘사이언스 중개의학’에 발표한 논문에서
저자
들은 대만에서 2003년 쥐방울덩굴속 약초의 유통이 금지된 뒤에도 AA관련 간암이 만연한 주된 이유가 역시 AA를 함유한 쥐방울덩굴과 족도리속 약초가 제한 없이 널리 쓰였기 때문이라고 추정했다. 족도리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노세보 효과의 뇌과학
2017.10.17
인터넷에는 위약을 판매하는 사이트도 있다(구글에서 ‘universal placebos’를 검색해보라).
저자
는 이처럼 대놓고 가짜라는 걸 알린 경우를 ‘정직한 위약’이라고 불렀다. 지난해 12월 학술지 ‘통증(Pain)’에는 만성요통환자를 대상으로 한 정직한 위약 임상 결과를 담은 논문이 실렸다. 포르투갈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17 노벨상 발표를 지켜보며 떠오른 두 명의 로널드
2017.10.10
동년배인 코놉카와 친하게 지냈다. 코놉카는 홀과 로스바쉬의 1984년 논문에 공동
저자
로 이름을 올렸다.) 그가 칼텍 교수로 있을 때 냉소적인 유머와 박학다식함이 버무려진 강의로 학생들에게 인기가 많았다고 덧붙였다. 어릴 때부터 전자장치를 만드는 걸 좋아했던 로널드 드레버는 1987년 출범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진드기, 성가신 게 아니라 두려운 존재!
2017.09.19
기원이 40여 년 전으로 추정됨에도 환자가 보고된 게 불과 10여 년 전인 이유에 대해서
저자
들은 세 가지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먼저 이전에도 환자가 있었지만 이를 신종 전염병으로 인식하지 못했을 수가 있다. 다음으로 생활환경의 변화로 진드기와 사람(농부)의 접촉이 잦아져 10여 년 전부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섹스와 젠더의 과학
2017.08.29
천재성은 소수 남성에게 주어진 것이라는 ‘고정된 사고방식’이 지배하고 있다는 게
저자
들의 진단이다. 따라서 사회문화적으로 천재성을 너무 부각하지 않는 게(과학 분야의 예를 들면 경우 아인슈타인의 신격화) 재능 있는 여학생들이 이런 선입견의 희생양이 되지 않게 하는 길이라고 덧붙였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애벌레가 있다고?
2017.08.15
이 확인된다면 진짜 플라스틱을 먹는 애벌레란 말이다. 한편 서신에 이어 원 논문
저자
들의 답신도 올라와 있는데 물론 이런 주장에 동의하지 않는다는 얘기다. 피크를 보면 뚜렷하지는 않지만 에틸렌글리콜의 특징적인 세 피크가 다 보인다는 것. 그리고 애벌레가 먹는 밀랍의 탄화수소 구조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내미생물을 활용해 건강하게 살 방법은?
2017.08.08
이 효소가 없는 다른 균주일 경우 혈액 내 디곡신 농도가 유지됐다. 리뷰 논문 말미에서
저자
들은 “장내미생물과 유전자를 범주화하는 방식으로 한계가 있다”며 “종이 아니라 균주의 차원에서 생체이물 대사에 관여하는 효소를 찾고 그 반응의 분자 메커니즘을 이해해야 한다”고 결론 내렸다. ... ...
당신은 행복하게 돈 쓰는 방법을 아시나요?
2017.07.15
저자
는 오랜 동물 덕후로 동물 덕질을 위해 자신의 모든 재산과 커리어를 건 셈이었다.
저자
왈 살 당시엔 생각 못했지만 사놓고 보니 마치 자신의 삶이 그동안 이 순간을 위해 살아왔던 듯, 크고 사실 무모한 결정임에도 자신의 결정이 아주 자연스럽게 느껴졌다고 한다. ‘사람이 덕질하다 보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에너지, 당분간은 천연가스에 기대야 할까...
2017.07.11
정체는 지구 경제가 연간 3% 수준으로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상태에서 일어난 것이다.
저자
들은 이런 변화를 이끈 나라들로 미국과 중국, 유럽연합(EU)을 들고 있다. 미국의 경우 지난해 국내총생산이 1.6% 늘어났음에도 이산화탄소 발생량은 3%나 줄었다. 중국 역시 지난해 경제가 6.7%나 성장했음에도 ... ...
이전
41
42
43
44
45
46
47
48
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