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가
필자
지은이
저술자
저술가
저작자
편찬자
스페셜
"
저자
"(으)로 총 576건 검색되었습니다.
1300년 전 당나라 사람들은 오로라 봤다!
2016.06.27
이보다 드문 백홍(白虹)은 태양의 활동이 예외적으로 강할 때 관측되는 현상일 것으로
저자
들은 추측했다. 연구자들은 논문 말미에 같은 지역이고 천문기록 문화를 공유한 한국과 일본의 문헌도 면밀히 검토해본다면 당나라 때 오로라 관측 기록과 일치하는 기록을 찾을 수도 있을 것이라고 ... ...
‘호빗’의 조상, 70만 년 전에 존재했다.
2016.06.20
배제된 건 아니다. 더 많은 발굴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이번 두 편의 논문에 공동
저자
로 이름이 오른 마이크 모우드 교수는 2013년 63세에 암으로 사망했다. 호빗 두개골을 지켜보는 포즈를 취한 모우드 교수. - 울런공대학 제공 ● 호빗의 연대추정 오류 밝혀져 이보다 앞서 ‘네이처’ 4월 2 ... ...
우리는 노케미족으로 살 수 있나?
2016.06.13
흡수하는 가축에서 얻는 육류는 물론 비닐에 싸여 있는 치즈도 피했다. 그 결과 3일 동안
저자
의 몸무게가 1.5킬로그램이나 줄었다! 과연 이런 생활을 30일, 300일 동안 지속할 수 있을까? 최근 가습기살균제 문제가 재조명되면서 일상생활에서 합성화합물이 포함된 제품을 쓰지 않으려는 사람들 ... ...
다윈의 나방 유전자 마침내 규명
2016.06.06
소설을 갖고 와 생물학자들을 폄훼한데 대해 스타인벡의 소설로 응수한 것이다(
저자
가 맛이 갔다고(sour)). ‘생명과학’과 ‘생태학’ 10판(각각 2012년과 2014년 9판이 나왔다)을 만들 때 이번 연구결과를 포함해 다윈의 나방 이야기를 소개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 필자소개 강석기. ... ...
양귀비꽃, 그 붉은 아름다움의 비밀
2016.05.30
개양귀비 꽃잎의 색소분포에 대해 말이 없다. 아쉬운 마음에 논문의 주
저자
이자 교신
저자
인 캐스퍼 반 데르 쿠이(Casper van der Kooi) 박사에게 문의를 했다. 필자 생각에 울타리콩처럼 양쪽 표피층에 분포할 것 같다고 언급하면서. 현재 스위스 로잔대에 있는 반 데르 쿠이 박사는 바로 답신을 ... ...
양자역학 문제, 게임으로 푼다
2016.05.10
결과 터널링 효과 등 양자역학의 현상도 설명할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 논문 말미에서
저자
들은 “사람이 참여한 게임화 결과를 바탕으로 인지과학자들과 협력해 양자역학 문제를 직관적으로 푸는 기계학습(machine learning) 알고리듬을 개발할 것”이라며 “새로운 게임의 이름은 ‘퀀텀마인즈 ... ...
남성이 여성보다 성적인 생각을 더 많이 할까?
2016.04.12
성차가 덜 했을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겠다. 여성들도 많이 OK를 했을 테니까.
저자
들은 여기에 “여성은 몸을 함부로 허락해서는 안된다”라는 고정관념까지 고려하면 캐쥬얼한 관계를 즐기는 데서 나타나는 남녀차는 실제로는 더 적지 않겠냐고 언급하기도 했다. 4. 여성은 잡식성(omnivorous)? ... ...
지카 바이러스와 소두증
2016.01.25
Q2. 언제 어디서 처음 발견했나? 지카바이러스에 대한 첫 논문은 1952년 발표됐다.
저자
들은 1947년 우간다 숲에 사는 붉은털원숭이의 역학조사에서 황열을 앓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 붉은털원숭이의 혈액 시료를 채취했는데, 나중에 분석을 해보니 황열바이러스와 꽤 비슷하지만 다른 바이러스가 ... ...
꽃처럼 아름다운 눈결정에 담긴 비밀
2016.01.18
보이는 복잡한 형태의 결정으로 자라는 걸까. ●습도 높을수록 복잡한 형태 나와
저자
들은 구름에서 눈결정이 자랄 때 주변 습도의 변화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즉 수증기, 공기 중의 물분자가 달라붙으면 결정 주변은 상대적으로 건조해지므로 습도의 기울기가 생긴다. 그 결과 바깥쪽에서 ... ...
암 발생의 ‘불운’ 가설 반박하는 논문 나와
2016.01.11
때 암 발생에서 임의의 돌연변이, 즉 불운이 원인일 경우는 10% 미만일 것이라는 게
저자
들의 결론이다. 암에 대처하는데 예방이 여전히 중요한 전략이라는 말이다. 귀가 몹시 얇은 필자는 지난해 논문을 보면서 무릎을 쳤지만 이번 논문을 읽으며 ‘이게 훨씬 더 설득력이 있네…’라며 고개를 ... ...
이전
45
46
47
48
49
50
51
52
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