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가
필자
지은이
저술자
저술가
저작자
편찬자
스페셜
"
저자
"(으)로 총 576건 검색되었습니다.
네안데르탈인은 언제 사라졌을까
2014.09.22
책이 소개됐다. 반감기란 동위원소의 절반이 붕괴되는데 걸리는 시간이다. 이 책의
저자
인 새뮤얼 아브스만은 응용수학자로 우리가 신뢰하고 있는 지식 역시 시간이 지나면 상당수가 더 이상 쓸모가 없어지기 마련으로 그 패턴이 동위원소의 붕괴과정과 비슷해 이런 표현(원제는 The Half-life of Facts)을 ... ...
어느 줄기세포 학자의 비극적 죽음에 부쳐
2014.09.15
도와줬을 뿐 아니라 실험에도 관여해 올해 1월 ‘네이처’에 발표한 논문 두 편에 공동
저자
로 이름을 올리게 된 것이다. 알바레즈-부일라 교수는 부고에서 “요시키는 행복한 과학자였다”며 “그는 독특한 웃음을 띠며 부드럽게 말하곤 했다”고 회상했다. 올해 2월에도 사사이 박사의 실험실을 ... ...
아세요? 암모니아 합성에 인류 에너지의 2%가 들어간다는 사실을
2014.08.18
암모니아 생산 효율이 앞 4시간 평균의 85% 수준으로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저자
들은 논문 말미에서 “이 과정을 개선할 여지가 많다”며 미래를 낙관하고 있다. 100여 년 전 산업화에 성공한 하버-보슈 암모니아 합성법이 현장에서 은퇴하고 과학사의 한 페이지로 남게 될 것인지 ... ...
1976년 에볼라 역병은 어떻게 시작되었나
2014.08.04
에볼라에 대한 보도로 1996년 퓰리처상을 받았다. - 강석기 제공 과학저술가라는
저자
로리 가렛(Laurie Garret)이 어떤 사람인가 궁금해 검색해보니 1976년 자이르(현 콩고민주공화국)의 에볼라 발생과정을 용기있게 다룬 업적으로 1996년 퓰리처상까지 받았다. 즉 ‘The Coming Plague’의 노른자가 바로 ... ...
글루텐을 위한 변명
2014.07.07
쓰는 프랑스식 전통 제빵을 재현하려는 제빵사들이 몇 명 소개돼 있는데, 특히 어느 날
저자
가 파티에서 우연히 시골빵을 먹어보고 감동해 추적 끝에 알아낸 빵집 ‘타르틴(Tartine)’과 제빵사 채드 로버트슨의 이야기가 흥미롭다. 샌프란시스코 교외 한적한 곳에 위치한 빵집 타르틴에서는 오후 ... ...
단식의 과학
2014.06.16
7.3mmol/l에서 5.0으로 줄었다(권장 수치는 3.9~5.8). “이렇게 쉬운 다이어트는 없다”는
저자
들의 말(일주일에 단식 하는 이틀을 뺀 5일은 마음대로 먹을 수 있으므로)을 액면 그대로 믿기는 어렵지만, 1일1식 같은 방법보다는 꽤 그럴듯해 보인다. 필자는 BMI가 19가 채 안 돼 굳이 분류하자면 ... ...
암흑물질의 실체는 ‘불임 뉴트리노’?
2014.06.04
저널’에 실린 논문과 올해 2월 ‘피지컬 리뷰 레터스’에 실린 논문 두 편의
저자
들은 플랑크위성이 2009~2013년 관측한 데이터를 면밀히 분석한 결과 불임 뉴트리노가 암흑물질의 구성원이라는 가설을 내놓았다. 즉 차가운 암흑물질만을 생각하는 기존 이론이 예측하는 것보다 우주 은하 무리의 ... ...
젖가슴에 대한 과학적 고찰
2014.05.13
퍼뜨리는데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 필자 역시 당연히 이렇게 생각하고 있었는데,
저자
윌리엄스에 따르면 이는 남성우월주의자들의 헛소리일 뿐으로 오늘날 페미니스트 인류학자들 앞에서 젖가슴의 존재 이유가 남성이라고 말했다가는 ‘오스트랄로피테쿠스 골반 모형으로 머리를 얻어맞을 ... ...
생쥐를 너무 믿지 마세요
2014.05.06
유력한 학술지에서 동물실험 가이드라인을 만들기 시작했다. ‘네이처’의 경우 논문
저자
들이 확인할 동물실험 체크리스트를 제작해 배포했는데, 실험동물을 임의로 골랐나, 연구자는 맹검상태인가, 실험도중 동물을 탈락시킬 경우 합당한 사유가 있나 등이다. 독일 베를린자선의대 뇌졸중연구소 ... ...
제비가 인가(人家)에 집을 짓게 된 사연
2014.04.28
뻐꾸기를 쫓는 장면을 150차례나 목격했다고 한다(1970~2012년). 한편 탁란의 경우,
저자
는 덴마크에서 5000개가 넘는 제비집을 관찰했지만 한 번도 목격하지 못했다고 한다. 다른 연구자들의 보고를 보면, 이탈리아에서는 1.2%, 폴란드에서는 0.2%로 나타났다. 반면 숲에 둥지를 트는 중국의 경우 10 ... ...
이전
49
50
51
52
53
54
55
56
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