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가
필자
지은이
저술자
저술가
저작자
편찬자
스페셜
"
저자
"(으)로 총 576건 검색되었습니다.
채식의 배신? 가공식품의 배신!
KISTI
l
2013.05.06
노출될 수 있기 때문에 충분한 수면을 취해야 한다. [반론 3] 채식으로 생리가 끊어졌다?
저자
는 채식을 하고 3개월 후에 생리가 끊어져서 힘들었다는 고백을 했다. 하지만 이 역시 채식을 잘못했기 때문에 생긴 일이다. 극도의 저칼로리 다이어트나 단식처럼 우리가 섭취하는 칼로리가 급격히 ... ...
세상은 여성 과학기술인을 기다린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05.03
더 높은 점수를 받았다. 2008년에는 학술논문을 익명으로 처리해 심사를 진행하자 여성
저자
의 통과율이 33퍼센트 증가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기도 했다. 이에 서구에서는 여성의 가능성을 제대로 평가하자는 움직임이 오래 전부터 시작됐다. 버지니아 밸리언(Virginia Valian) 미국 MIT교수는 1999년 '왜 ... ...
나노입자 기반의 신개념 슈퍼렌즈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전환을 통해 값싸고 응용성이 높은 초고해상도 이미징 기술을 개발한 것이다. 공동 제1
저자
인 KAIST 박정훈 학생과 박충현 박사는 “산란을 이용해 빛을 제어하여 초고해상도 초점을 형성한 것으로 나노광학 산업계에 종사하는 연구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이미징 ... ...
노트북에 코를 갖다 댄 사연
동아사이언스
l
2013.04.26
투린은 속이 꽤 상했을 것이다. 그런데 온라인저널 ‘플로스원’ 1월호에 투린이 교신
저자
로 돼 있는 논문이 하나 실렸다. 기체크로마토그래피로 좀 더 완벽하게 분자를 분리한 뒤 아세토페논 실험을 했더니 정말 차이가 없었다는 내용이다. 투린 스스로 자신의 결과를 뒤집은 셈이다. 물론 그가 ... ...
광합성의 양자생물학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것. 참고로 엔겔 교수는 2007년 플레밍 교수팀의 박사후연구원으로 당시 논문의 제1
저자
였다. 실제 광합성계보다 훨씬 간단한 분자에서 양자 결맞음이 일어난다는 게 확인됨에 따라 앞으로 인공광합성 연구는 ‘양자도약(quantum jump)’를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매큐언의 소소설 속 비운의 물리학자 ... ...
암흑물질, 아기 우주 나이 알려주나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만들어 스스로를 괴롭히다가 문득 137억 년으로 번역하는 게 맞다는 걸 깨달았다.
저자
가 그렇게 쓴 건 어떤 의도 때문이 아니라 단순히 숫자 단위의 표기방식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생각이 들어서다. 영어권은 천 단위로 숫자를 세기 때문에 137억 년을 글로 나타내려면 ‘thirteen billion seven hundred million ... ...
러시아 유성체 폭발 위력이 히로시마 원폭의 30배?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않고 약 5% 정도가 수많은 운석으로 쪼개져 지구에 쏟아져 내렸을 것으로 추정된다.
저자
는 책에서 퉁구스카 사건은 혜성이 충돌한 결과라고 추측했는데 혜성은 얼음과 눈, 먼지가 뭉쳐진 덩어리로 폭발할 경우 흔적이 남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아무튼 필자는 이 책에서 퉁구스카 사건에 대한 ... ...
E=mc² 아인슈타인만의 것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이 업적으로 오스트리아과학아카데미가 주는 ‘하이팅거상’까지 받았다. 이번에
저자
로 이름을 올리지는 않았지만 바운 교수와 함께 하젠욀 연구를 한 미국 프린스턴대 토스 로스만 교수는 “증명할 수는 없지만 아인슈타인은 확실히 알고 있었을 것이고 이것을 개선하려고 했을 것”이라고 ... ...
DNA 정보 저장 왜 3진수로 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코드라는 3진수 체계를 이용해 DNA서열로 변환한 옆의 실례를 참조) 이런 원리를 바탕으로
저자
들은 정보를 염기 100개 단위로 잘라 저장했고 각각에 색인(물론 DNA염기서열로)까지 붙여 한 단위로 만들었다. 즉 긴 DNA가닥 하나에 정보를 모두 담는 게 아니라 고려 팔만대장경처럼 조각조각 나눠 정보를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③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시각을 비판했다. 또 자신에게도 매우 엄격해 자신의 기여도가 크지 않으면 논문에 공동
저자
로 이름을 넣지 않았다고 한다. 19. 로버트 소칼 (1926. 1.13 ~ 2012. 4. 9) 통계를 알면 생물학이 보인다 ‘수량분류학(numerical taxonomy)’이라는 분야를 탄생시킨 로버트 소칼(Robert Sokal)은 1926년 오스트리아 빈에서 ... ...
이전
53
54
55
56
57
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