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과대학
전문학부
대학원
과
학과
스페셜
"
학부
"(으)로 총 477건 검색되었습니다.
'랩온어디스크'로 질병 진단의 기초 세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4.05
모든 경험들이 자신에게 더 큰 도움이 될 것이라는 점을 몸소 체험했기 때문이다. 그는
학부
생을 1년에 두세 명씩 외국에 교환 연구원으로 보내는 UROP 프로그램을 꾸준히 진행 중이다. 학생들에게 스스로 자신감을 심어주기 위한 목적의 일환이다. 그는 "외국에 가기 전에 학생들이 자신감이 부족하고 ... ...
장내 미생물로 면역질환 치료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3.07
있다. - IBS 제공 '유산균 5형제'를 뛰어넘는 연구 2004년 광주과학기술원(GIST) 생명공
학부
교수로 부임한 그는 IL10의 생성을 촉진시킬 수 있는 균을 찾아야겠다는 생각으로, 먹을 수 있는 균 중 IL10을 많이 만들어 내는 균, 즉 프로바이오틱스를 찾기 시작했다. 그는 선별 기준을 마련해 장내 균총 중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털과 땀샘의 음양이론
2017.02.07
수도 있다는 것이다. 필자는 과학기자가 된 뒤 이 조언을 ‘확대 적용해’ 여러 분야의
학부
교재를 샀다. 시간 날 때 통독하려던 원래 의도가 실현되지는 않았지만 최신 연구 결과를 기사로 다룰 때 먼저 교재에서 관련 부분을 읽어보고 나서 접근하니 확실히 이해의 폭이 넓어진 것 같았다.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9) 화학의 두 문화를 통합한 존 로버츠
2017.01.03
바뀌었다. 로버츠가 물리유기화학이라는 분야의 개척자로 불리는 이유다. 로버츠는
학부
생을 위한 유기화학 교재를 비롯해 NMR 분광학, 분자궤도이론 등 다양한 분야와 수준의 교재를 집필했다. 로버츠 역시 글쓰기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사이언스’에 부고를 쓴 하버드대 조지 화이트사이즈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8) 샤프론 단백질 분야를 개척한 수전 린드퀴스트
2017.01.02
그녀가 화이트헤드연구소에 있는 15년 동안 100명이 넘는 박사후연구원, 대학원생,
학부
생이 지도를 받았다. 린드퀴스트는 특히 언어를 중요시해 실험을 잘하는 것만큼이나 논문을 잘 쓰는 것도 중요하게 여겼다. 즉 최대한 많은 사람들이 읽을 수 있도록 명쾌하면서도 쉽게 글을 써야 한다고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7) 과학자들의 키다리아저씨 조셉 버만
2017.01.01
연구소에서 반도체의 광학특성을 연구했고 뉴욕대를 거쳐 1974년부터 타계할 때까지 모교(
학부
)인 뉴욕시립대에서 봉직했다. 1960년대와 1970년대 버만은 수학의 군이론을 적용해 결정의 상전이와 빛산란 예측 등 이론고체물리학 분야에서 탁월한 논문들을 발표했다. 중견 과학자로 자리를 잡은 ... ...
끈이론의 대가, 삼라만상의 정보에 심취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2.21
" '끈이론 연구의 대가' IBS 순수이론물리 연구단 이수종 연구단장(서울대 물리천문
학부
교수)은 양자장, 중력 및 끈이론 연구그룹을 이끌며 연구 포부를 이렇게 밝혔다. 그는 지난 7월 1일 부터 순수이론물리 연구단 공동연구단장으로 연구팀을 이끌고 있다. 서울대 관악캠퍼스에서 이수종 단장을 ... ...
바이오부탄올 100년 만에 빛 보나
2016.10.10
했다. 오늘날 대사공학 연구에서 가장 앞서가는 곳 가운데 하나가 카이스트 생명화학공
학부
이상엽 교수팀으로 특히 바이오부탄올이 두드러진다. 이 교수팀과 GS칼텍스 연구팀이 공동으로 연구해 지난 2012년 학술지 ‘엠바이오’에 실은 논문은 발표된 지 4년이 채 안 된 현재 105회 인용됐을 정도로 ... ...
지각구조 이해할 새 도구 찾았다… ‘폭풍 지진파’ 첫 탐지
동아사이언스
l
2016.08.28
약 9조4600억 ㎞) 거리에 있다. 길렘 앵글라다에스큐드 영국 런던퀸즈마리대 물리천문
학부
교수팀은 스페인 안달루시아천체물리연구소와 미국 카네기워싱턴연구소 등과 공동으로 태양계에서 약 4광년 거리에 있는 별(항성) ‘프록시마 켄타우리’ 주위를 공전하는 행성 ‘프록시마 b’를 ... ...
[타운이 만난 사람들-명사편] 시장을 움직이는 혁신, 아이디어와 기술에서 나옵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6.07.22
(주)동아사이언스 제공 서울대학교 이근 교수는 경제추격론의 대가입니다. 2008년부터 경제추격연구소를 설립하고 후발경제가 선진경제를 어떻게 따라잡을 수 있는지 연구하고 있지요. 한편으로 그는 세계적으로 손꼽히는 슘페터 학파의 경제학의 대가이기도 합니다. 국제 슘페터 학회의 학회장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