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학부"(으)로 총 477건 검색되었습니다.
- 만물의 중매쟁이 촉매, 환경 지키는 구원투수로 나선다IBS l2016.03.31
- IBS 나노입자 연구단(단장 현택환 서울대 교수) 성영은 그룹리더(서울대 화학생물학부 교수) 연구진은 연료전지의 백금 사용량을 줄이면서 성능을 높이기 위해 합금 촉매에 주목했다. 백금과 전이금속을 원자 단위로 배열해 반응성을 높이는 동시에, 연료전지 구동 시 쉽게 녹아 입자끼리 서로 ... ...
- ‘태양의 후예’ 시청주의보? “일리 있지 말입니다”2016.03.27
- identification)’ 현상도 시청주의보의 원인이 된다. 나은영 서강대 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는 저서 ‘미디어 심리학’에서 “등장인물이 실제 시청자와 유사성을 지닐 때, 혹은 자기가 더 닮고 싶어 하는 인물에게 동일시 효과가 커진다”고 말했다. 자신이 하고 싶은데 하지 못한 일을 하는 ... ...
- 새로운 심혈관계 질환 치료물질 개발을 위해 뛴다IBS l2016.03.02
- 1년이라는 짧은 시간 만에 좋은 연구성과를 낼 수 있었다. 연구에 참여했던 3명의 학부생은 현재 모두 대학원에 진학해 연구에 열을 올리고 있다. 1년 만의 연구 성과, 화려한 수상의 비결은 탄탄한 기초 이 연구위원은 최근 국내외에서 상복이 터졌다. 지난해 IBS 우수 연구원상, 청암 사이언스 ... ...
- 인공지능 ‘알파고’가 이세돌 9단에게 이기려면… 과학동아 l2016.02.26
- 7%를 기록했다. 기존 인공지능 프로그램은 적중률이 40% 수준에 그쳤다. 김기응 KAIST 전산학부 교수는 “기존 바둑 프로그램은 딥러닝이 적용되지 않은 만큼 적중률에서 알파고가 우세할 수밖에 없다”며 “덕분에 알파고가 바둑 프로그램과의 대결에서 494승 1패를 기록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 ...
- ‘책임 회피’ ‘그럴만한 이유가 있었다’ 적반하장, 어떻게 행동하면 좋을까2016.02.16
- 한다. 비슷하게 학부생을 타겟으로 학부생이 잘못한 사건을 얘기 하면 이번엔 ‘학부생들이 대학원생들에 비해 차별받고 있다! 우리도 피해자다!’같은 이야기가 나온다고 한다. 집단 정체성에 의해 자신도 왠지 가해자가 된 것 같은 알 수 없는 죄책감 같은 게 생기게 될 텐데 그런 ‘불편한 ... ...
- 레이저가 보여주는 전자들의 흔적을 찾아IBS l2016.02.02
- 연구에 매진하라는 뜻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남창희 단장, GIST와의 인연 학부 때부터 빛, 레이저와 관련된 광학 실험에 관심을 가졌던 그는 2015년에 발표한 성과와 관련된 기초연구로 KAIST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흥미롭게도 윤 연구위원은 KAIST 시절부터 남창희 교수(현 IBS 초강력 ...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8)홀로 연구해 노벨상까지 탄 ‘리처드 헤크’2016.01.08
- 낸 화학자다. 미국 매사추세츠주 스프링필드에서 태어난 헤크는 UCLA 화학과에서 학부와 대학원을 다녔다. 스위스연방공대에서 박사후연구원을 했고 1956년 화학회사 헤라클레스사에 취직했다. 2년이 지난 어느 날 연구소장이 부르더니 바로 앞의 말을 했다. 당황한 헤크는 곧 정신을 차리고 ...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6)16세에 논문을 발표한 ‘에릭 데이비슨’2016.01.06
- 4.13 ~ 2015. 9. 1) 성게 발생생물학의 아버지 잠들다 에릭 데이비슨 - Bob Paz/칼텍 제공 가끔 학부생이 SCI 국제학술지에 논문을 실어 화제가 되곤 한다. 지난 9월 1일 타계한 생물학자 에릭 데이비슨(Eric Davidson)은 한술 더 떠 열여섯 살 때 단독저자로 논문을 발표하며 일찌감치 학계에 데뷔했다. ... ...
- 생각하게 하는 영화 '아일랜드(2005년 작)'IBS l2015.11.18
- 간다는 의미가 자신들의 죽음을 뜻하는 것인지도 모른 채. 김동규 연구위원은 학부 2학년 때 세부전공을 생명과학으로 결정한 지 얼마 되지 않았던 시기에 이 영화를 관람했다. 신선한 자극을 받은 그는 결론적으로 인간의 욕심에 대한 깨달음을 주는 영화라고 판단했다. 그는 "고객의 필요로 인해 ... ...
- [HISTORY] 우리나라 전기공학의 선구자, 한만춘KISTI l2015.11.14
- 걷기 시작했다. 1955년부터는 연세대학교 이공대학 전기공학과 교수로 근무하면서 초대 공학부장, 이공대학장, 산업대학원장 등을 역임했다. ■ 국내 최초 아날로그 컴퓨터 제작 한만춘 박사의 가장 큰 업적은 우리나라 전기공학의 기반을 쌓은 것이다. 그가 활동하던 당시 우리나라는 6.25 ... ...
이전3738394041424344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