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안"(으)로 총 11,884건 검색되었습니다.
- 핵테러, 실험실에서 원천봉쇄한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다음 단계로 돌입했다. 핵연료 제조회사를 파악하는 데 주어진 시간은 앞으로 6일(일주일 안에는 임무1의 ‘24시간’도 포함된다).가지고 있는 증거는 핵물질뿐이다. 핵물질을 담고 있는 통에 적혀있던 제조회사, 제조일자는 이미 심하게 훼손돼 알아보기 힘든 상태다. 앞서 파악한 농축도와 핵물질의 ... ...
- [Life & Tech] 바이오 기업 ‘테라노스’ 논란과학동아 l2015년 12호
- 110㎛ol/L였고, 검사결과에 함께 표시되는 ‘정상 농도’는 50~115㎛ol/L다. 환자는 이를 보고 안전하다고 자가진단을 할 것이다. 하지만 숙련된 의사라면 환자의 이전 검사결과를 확인할 것이다. 만약 환자가 이전에도 80㎛ol/L 이상의 높은 수치를 기록한적이 있다면, 환자의 신장 기능이 50%이상 손상됐을 ... ...
- ‘마션’ 제작진도 몰랐던 차세대 우주복과학동아 l2015년 12호
- 허리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게 했다. 기존의 다른 우주복이 입고 벗기 위해 우주선 안에 들어갔다 나와야하는 것과 달리, Z-2는 탐사용 로버에 등쪽 연결 부위를 부착시켜 마치 벽을 통과하듯 우주인의 몸만 출입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NASA는 이 우주복을 지상에서 테스트하면서 디자인을 수정해 나갈 ... ...
- 포스가 깨어났다, 과학으로 영접하라!과학동아 l2015년 12호
- 게다가 빛과 빛이 서로 충돌한다는 설정은 중학교 수준의 과학 상식만 알아도 말이 안 되는 얘기다. 하지만 만약 레이저가 아니라면? 윤정식 국가핵융합연구소 플라즈마기술연구센터 부센터장은 “플라즈마를 이용할 경우 라이트세이버가 불가능하지만은 않다”고 말한다. 플라즈마는 원자가 ... ...
- [Life & Tech] MSG, 결코 해롭지 않아요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식품으로 먹은 글루탐산이 직접 뇌로 들어갈 수 없다고 반박합니다. 더구나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식품첨가물인 MSG의 양을 규제하지 않습니다. 일상생활에서 먹는 양으로는 몸에 해가 없다는 뜻입니다. 글루탐산은 다 똑같아예전에 단맛은 우리 몸의 에너지원인 탄수화물을 찾기 위해서 생겨난 ... ...
- 프랑스 보석 관리인 ‘ 다이아 몽땅’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하지만 썰렁홈즈라면 당연히 풀 수 있겠죠?”미션3 범인의 발자국을 찾아라!거대한 금고 안에 들어서자 다이아몬드 장식장은 말끔히 비어 있었다. 그리고 장식장 아래 금고 바닥에는 여기저기 발자국들이 찍혀 있었는데….“어쩌죠? 사고가 난 뒤 제가 급히 서두르는 바람에 제 발자국과 범인의 ... ...
- Part 2. 메가이터, 생태계를 바꾸고 진화를 일으키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개 이상의 수많은 돌연변이 벼 중에서 팔 수 있을 만한 걸 골라냅니다. 예컨대, 소화가 잘 안 되는 전분이 10% 이상 함유된 돌연변이 벼를 발견해 다이어트 쌀이라고 이름을 지어서 출시했어요.”인류에겐 혜택, 하지만 그림자도 있다다양한 형질의 동식물이 개발되는 건 인류에게는 혜택일 수 있다. ... ...
- 인간과 바이러스 ‘공존’가능할까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증식해도 건강에 문제가 없다면 관용이 높다고 보는 식이다.왜 미생물을 살려둘까?몸 안에 들어온 미생물을 왜 활개치도록 내버려 둘까. 그게 오히려 나을 때도 있기 때문이다. 앞서 본 SIV의 사례처럼 ‘빈대 잡으려다 초가삼간 태우는’ 일이 우리 면역계에는 종종 있다. 사스, 인플루엔자 A,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한국에서 열리는 세계 중학생 과학 올림픽! 제12회 국제중등과학올림피아드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않고 글로벌리더로 자라는 데 도움을 준다고 생각한다. 어린 시절 외국학생들과 10일 동안 함께 지낸 경험은 어른이 됐을 때의 경험과는 차원이 다른 효과가 있다. 실제로 대회 이후에도 꾸준히 연락하면서 5년 이상의 시간이 지난 뒤에도 친구로 지내는 학생들도 있다. IJSO에서의 경험이 자신의 ... ...
- 스마트폰 화면이 피부 위로?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앞으론 피부를 통해 스마트폰 화면을 볼 수 있을지도 몰라요. 최근 기초과학연구원 나노입자연구단 현택환 단장과 김대형 연구위원팀이 스티커처럼 ... 현 단장은 “이번에 개발한 디스플레이 필름을 대량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5년 안에 실용화 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답니다 ... ...
이전4064074084094104114124134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