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인
노예
종류
고용인
벨
기종
요령
d라이브러리
"
종
"(으)로 총 4,249건 검색되었습니다.
비타민은 양날의 칼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비타민이 제대로 분해된다.▶인간의 육체는 비타민의 균형을 요구한다. 비타민의 1
종
을 과대섭취하면 다른 비타민의 효과가 감쇄된다. 예컨대 비타민A는 반드시 비타민E와 함께 섭취해야한다.▶칼시움을 지나치게 섭취하면 체내에서 마그네슘의 결핍을 가져오게 된다. 그러면 에너지의 부족으로 ... ...
인류는 어떻게 변할것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역사는 멸
종
의 역사라고 할만큼 많은 생물이 사라져 갔다. 미국의 진화학자 '심프슨'은 "
종
의 99%는 절멸했다. 인류가 생존하느냐 멸망하느냐는 1:99의 도박이다"라고 단언했다. 과연 인류 진화의 미래는 이처럼 어두울까 ... ...
약효 떨어뜨리거나 부작용 많아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곤란하다.따라서 의사나 약사의 충고를 듣거나 물어보는 수밖에 없지만 그들 역시 수천
종
에 달하는 의약품과 식사에 대한 연관관계를 다 알고 있지는 못한 형편이다. 그렇다고 그대로 방치해 둘 수도 없는 문제인데도 우리 주변은 그런 문제에 대하여 무척 대범하고 소홀하다.일본의 경우 ... ...
북한산의 4계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가지에 능선이 있다.정향나무의 탐스러운 꽃북한산의 능선을 따라서는 금마타리의 특산
종
이 자라고 정상 부근에 올라서면 바위틈에서 정향나무의 탐스러운 꽃이 향기를 뿜고 있다. 진달래와 철쭉꽃이 고개를 숙인 다음이어서 그런지 한층 더 아름답게 보인다.정향(丁香)이란 1개의 꽃을 옆에서 ... ...
단일
종
연구에서 인간 참여까지 생태학의 진화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되었다.1920년대에 들어오면 '먹이 연쇄' '수의 피라밋'같은 기본 기본 개념을 적용하는
종
합생태학이 대두되었다. '엘리'등 미국 과학자들은 1949년 생태학이 보다 엄격한 과학적 접근 방법을 채택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물리학에서의 원자 세포학에서의 세포에 해당하는 기본 연구단위가 결여되어 ... ...
소리없는 재앙 20세기말까지 1백만
종
이 사라진다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야생
종
의 감소, 재배
종
의 단순화는 유전적인 개량을 점차 어렵게 하고 있다. 지구의 역사는 멸
종
의 역사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운석과 혜성 등은 수 많은 생물
종
을 지구상 ... 전에 멸
종
되는 생물도 상당수에 달할 것이다. 특히 남미와 동남아의 열대우림은 멸
종
의 온상이 될지도 모른다 . ...
우선 사용목적을 고려한뒤…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2대인가? 이와 같이 IBM PC의 가격이 달라질 수 있는 조건은 수도 없이 많다. 따라서 다른 기
종
사이의 값을 지교할 때는 IBM PC의 기본사항과 부착된 옵션을 체크해야 하며 확장을 대비하여 옵션을 여러가지 붙였을 때의 가격비교도 해보아야 한다.IBM PC의 가격은 서울의 청계천 세운상가의 중소 컴퓨터 ... ...
범용형 CMOS 논리소자 70
종
개발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디지틀 TV의 부품으로 이들 소자를 쓰면 화면의 해상도를 높일수 있다.금성반도체는 이 70
종
의 소자만으로 연 40억원의 수입대체 효과를 기대하는 한편, 올해 미국 일본 유럽 등에 30억원의 수출을 계획하고 있다 ... ...
지상최대의 건축물 만리장성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줄기에서 멀리 떨어져 있다고 하면 그것은 강줄기의 변화를 의미한다. 이런 데이타를
종
합적으로 갖추어 앞으로의 황하치수대책에 활용하려는 것이다.어떤 지진학자는 장성이 축조된 곳은 지층의 단열대(斷裂帶·지각이 균열된 지대)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며 과거의 지진에 의한 단열흔(斷裂痕)이나 ... ...
종
합진단 기로에 선 선택-개발이냐 보존이냐?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가장 마지막에 등장한 인간은 훨씬 전부터 지구의 주인이었던 다른 생물들을 멸
종
시키고 있다. 인류사회에 의해 점점 무거워지는 짐을 생물권이 앞으로 얼마나 더 견딜 수 있을까 하는 문제에 대한 견해는 다양하다. 어떤이는 인간은 가속화하는 생물권과 문명의 붕괴과정을 조절할 능력이 없으며, ... ...
이전
407
408
409
410
411
412
413
414
4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