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링크
결합
접속
유대
접촉
관계
직렬
d라이브러리
"
연결
"(으)로 총 5,848건 검색되었습니다.
냄새의 신비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후각신경세포를 갖고 있다. 후각신경세포의 한쪽 끝은 코로 뻗어있고, 다른 한쪽은 뇌로
연결
된다. 코로 뻗어있는 후각신경세포의 끝에는 섬모라 불리는 후각털이 달려 있는데, 여기에 1천여개의 냄새 수용체가 들어 있어 냄새 자극과 결합할 경우 전기적 자극을 만든다. 즉 장미향 분자가 ... ...
최첨단 컴퓨터 기술의 경연장 컴덱스 2000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향기 합성기’도 선보였다. 웹이나 전자우편에서 원하는 향기를 선택하면 컴퓨터에
연결
된 디지털 향기 합성기가 만들어준다. 이 기술이 실용화되면 접속할 때 향기나는 인터넷사이트와 향기나는 전자우편을 주고받게 될 것이다.이번 컴덱스에 한국기업은 지난해보다 두배 이상 증가한 1백80여개 ... ...
초고속망 시대에 걸맞는 컴퓨터 보안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 개인 정보가 쉽게 드러날 수 있는 위험도 있다.항상 네트워크가
연결
돼 있는 온라인 세상을 향해가고 있는 지금,이제 여러분들의 개인정보와 데이터는 여러분 스스로 지킬 준비를 하지 않으면 안되는 상황이다.바이러스부터 크래커같은 전문가들도 세심한 사용자의 준비와 ... ...
세계의 사장교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교각 사이의 경간을 넓혀도 한 케이블에 걸리는 힘이 작을 뿐만 아니라 케이블과 다리를
연결
하는 부위를 간단하게 처리할 수 있어서 사장교를 일반화시키는 계기가 됐다.1970년대 들어서는 사장교의 장대화 추세가 뚜렷해졌다. 1969년 독일의 크니교는 최대 경간 3백19m의 기록을 세웠으나, 이듬해인 1 ... ...
껌 8분 이상 씹으면 스트레스 받는다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한 조건반사 실험에서 이런 사실이 확인됐다. 쥐를 전기적 자극이 가해지는 장치와
연결
된 지렛대가 놓여진 실험상자에 넣었다. 시간이 흐를수록 고형식으로 사육한 쥐의 경우 분말식으로 사육한 쥐보다 지렛대를 누르는 행위가 점점 줄어들었다.또 쥐의 미로 학습에서도 이같은 사실이 확인됐다. ... ...
첨단 토목공학이 건설한 한국 최장의 다리 서해대교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리히터 규모가 7.2였다.사장교 주탑과 상판 사이에는 충격전달장치(LUD, lock up device)가
연결
돼 다리의 안전성을 돕는다. 충격전달장치는 온도에 따른 상판의 신축에는 자유롭게 움직이는 장치이다. 그러나 지진과 같이 빠른 하중이 작용할 때는 자동으로 잠김작용을 해 양쪽의 주탑으로 힘을 분산시켜 ... ...
6. 밤을 밝히는 30층 규모의 등대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나일강 계곡이 예로부터 농산물이 풍부한 지역인데다가 아랍과 리비아, 그리고 아시아와
연결
돼 있기 때문이다. 그는 파로스섬에서 멀지 않은 마레오티드가 새로운 도시를 세울 적절한 장소라고 여겨 이 섬에 자신의 이름을 딴 알렉산드리아를 건설한다. 건축가 디노크라테스는 도시를 북남과 ... ...
30년 인텔의 아성에 도전하는 AMD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상처를 입고 말았다. 더구나 인텔로서는 올해 초 칩셋(CPU와 컴퓨터 주변장치들을
연결
시키는 칩) I820에 문제가 발생해 리콜을 함으로써 이미지 손상을 입은 후의 일이라 충격은 더욱 컸다.모방에서 시작한 뼈대있는 기업그러면 CPU 시장의 거인 ‘인텔 킬러’로 등장한 AMD는 어떤 회사일까.AMD는 ... ...
Ⅰ. 청량음료에도 수상업적 숨어있다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Cs)이 부착돼 있다. 세슘에 빛이 닿으면 전자가 튀어나가는데, 그 전자를 모아서 도선에
연결
시키면 빛의 강약에 대응한 전류가 흘러 자동문이 개폐된다. 즉 사람이 앞에 가면 빛이 차단되는 것을 확인하고 문을 열도록 지시하는 것이다. 바로 이 단순해 보이는 원리에 20세기 과학분야의 ... ...
Ⅲ. 새천년을 연 영예의 수상자들 : 뇌 신호전달 매커니즘 규명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사이의 미세한 결합 부위를 말한다. 뉴런들은 시냅스라는 구조를 통해 서로 복잡하게
연결
돼 회로와 같이 복잡한 신경망을 형성한다. 우리의 뇌가 작동하게 되는 이유는 신경망을 통해 신호가 전달돼 정보처리가 이뤄지기 때문이다. 신경망에서 전기적인 신호가 시냅스를 통해 앞의 뉴런에서 뒤의 ... ...
이전
408
409
410
411
412
413
414
415
4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