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자리
지위
곳
소재
거주지
처지
d라이브러리
"
위치
"(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밤하늘에 핀 장미한송이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크다. 이 성단에서 가장 밝은 별은 5.8등급의 노란색 별로서 나란한 두줄의 끝 부분에
위치
해 있다. 다른 별들은 푸른색의 별들로 그 모습이 상당히 인상적이다. 성단을 이루는 별들의 수는 대략 20여개를 헤아릴 수 있다.성단의 주변은 엷은 커튼이 드리워진 것처럼 다소 답답한 느낌을 얻는다. 이것이 ... ...
철새 핵심서식처 관통하는 5.1km 다리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왕복 6차선, 길이 5.1km인 이 다리는 낙동강 하구 동쪽에
위치
한 기존 시가지와 서쪽에
위치
한 신흥공업단지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부산시는 “신항만으로 인해 앞으로 물류이동량이 더 증가하기 때문에 명지대교 건설은 더욱 중요하다”고 주장한다.을숙도 철새보호지역을 관통하는 ... ...
우주를 누빌 10kg급 초소형위성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장착해 실제 우주공간에서 활용할 수 있는지를 시험할 계획이다. 또한 우주용
위치
확인시스템(GPS) 수신기가 장착돼 이 위성을 추적하게 된다.필자의 연구실은 위성의 자체 제작을 위해 전기전자장비 제작·조립시설, 위성 진단용 컴퓨터 시스템, 다양한 기능시험·측정 장비를 확보했다. 소형위성은 ... ...
갈릴레이, 목성 위성 발견해 명성 얻어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운반되는 것처럼 움직이고 있다는 것이다. 게다가 이들 세 항성이 목성을 중심으로 서로
위치
변화를 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고, 이 항성들이 3개가 아니라 4개라는 사실도 확인했다. 1월 15일, 마침내 갈릴레이는 이 별들이 항성이 아니라 목성을 돌고 있는 위성이라는 결론에 도달했다.목성의 위성 ... ...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시간을 알았을까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사람들이 휴대하고 다니기도 했다. 해시계는 해가 움직이면서 변하는 그림자의
위치
를 보고 시간을 측정한다. 따라서 한양에 있는 해시계와 강릉에 있는 해시계의 눈금은 동시에 읽으면 정확히 일치하지 않았을 것이다. 한양과 강릉 하늘에 떠있는 해의 고도가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이 외에도 ... ...
06. [시간의 심리] 연인과의 시간은 왜 빨리 가나?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한다.그러나 간격 타이머는 리듬을 인식하거나 외야수가 뜬 공을 잡으려고 포착
위치
를 예측해 달려갈 때 작동한다. 즉 초단위의 짧은 기간의 시간 경과를 측정하는데 유용할 뿐이다. 간격이 길어질수록 정확성은 급격히 떨어진다. 따라서 간격 타이머로 우리가 일상적으로 경험하는 시간의식 ... ...
푸른빛의 환상! 플레아데스성단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기록은 시기와 장소를 알려주는 중요한 증거 역할을 하며 현대에 와서도 달의 정밀한
위치
측정 등을 위해 사용되므로 매우 중요한 관측 기록으로서의 가치가 여전히 남아있다 ... ...
4 개는 인간의 생각을 가장 잘 읽는 동물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주인의 명령을 기다리는 자세로 바꾼다. 이는 마치 사냥할 때 신분이 낮은 늑대가 자신의
위치
를 지정해줄 것을 기다리면서 우두머리 늑대를 응시하는 것과 비슷하다.집에서 기르는 개들의 경우 위계질서에서 사람을 높은 서열에 두며, 한집안 식구라도 등급을 정해놓고 대한다. 집안의 가장과 ... ...
미래 휴대폰을 상상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백화점에 접속해 그날 저녁 아내와 함께 마실 와인과 케익, 장미꽃도 주문했다. 아내의
위치
를 확인한 뒤 도착 예정시간에 맞춰 보일러 작동. 집에 도착한 동글씨 앞에서 아내는 화사하게 웃는다.이것 역시 수백년 뒤에 벌어질 공상속의 얘기가 결코 아니다. 현재도 휴대폰을 통해 집안의 가전제품을 ... ...
쥐라기 공원에 운석이 떨어지지 않았다면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시작됐다고 해도 크게 틀리지 않습니다. 그런데 박테리아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같은
위치
를 점하고 있습니다.즉 박테리아는 태초부터 존재했고 지금도 존재하고 있으며 영원히 존재할 것입니다. 생명의 진화 역사에서 복잡성의 평균값은 증가했을 수 있지만 이처럼 몹시 기울어진 분포에서는 그 ... ...
이전
408
409
410
411
412
413
414
415
4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