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공룡의 그늘 밑에서 살아 남아라!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사냥하는 방법을 유용하게 쓰고 있다.이처럼 악어는 트라이아스기 말 대멸종 사건에서
큰
타격을 입었음에도 불구하고 나름의 살아갈 길을 찾았다. 비록 전성기인 트라이아스기의 화려함은 사라졌지만, 악어는 다른 동물들이 미처 차지하지 못한 여러 생태적 지위(niche) 속으로 비집고 들어갔다. ... ...
[가상인터뷰] 침팬지도 친구를 믿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3호
될 거라고 기대하고 있지요.저는 사람과 가장 비슷한 동물이기 때문에 과학자들이 더
큰
관심을 가지고 있어요. 저를 연구하면 인류를 좀 더 잘 이해할 수 있으니까요. 그래서 저는 지구 정복보다는 인류와 함께 어울려 살고 싶어요.만화 : ... ...
[과학뉴스] 오랑우탄 살인사건의 전말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것을 보고 콘도르가 시도니를 공격한 것이다. 둘의 싸움에 에코까지 가세해 시도니는
큰
상처를 입었고 결국 사망에 이르렀다. 마르제츠 연구원은 “암컷이 수컷과 연합해 싸우는 것도 매우 특수한 행동”이라며 “암컷이 수컷을 구슬려 자신을 돕도록 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 ...
[News & Issue] 소두증, 지카바이러스 단독범행일까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마리아 오리올리 연구원은 소두증이 증가한 다른 이유가 있다고 주장했다. 소두증이
큰
이슈가 되면서 출생결함조사가 강화됐고, 정상과 비정상을 명확히 판정할 기준이 없던 탓에 소두증 오진이 급격히 증가했다는 말이다.하지만 2월 중순부터 부인할 수 없는 ‘정황 증거’들이 쏟아졌다. ... ...
[Knowledge] 대의를 위한 희생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낫지만 집단을 위해 이타적으로 번식을 자제한다면, 알이 셋인 둥지에서 어미 새는 가장
큰
성공을 거둘 것이다.개체 선택설에 입각한 다른 대안적 설명은 윈-에드워즈의 눈에 들어오지 않았다. 그는 자신이 다윈 못지않은 새로운 혁명을 주도하고 있다고 굳게 믿었다. 찰스 다윈은 자연 선택이 ... ...
Part 2. 왓슨과 딥블루는 어떻게 챔피언을 무너뜨렸나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낮은 말은 점수가 높은 말과 교환하라는 체스의 기본 이론을 따르느라 그 뒤에 숨겨진
큰
그림을 보지 못한 것이다. 한 쪽 진영이 취약해진 틈을 타서 카스파로프의 폰들이 진출했고 45수 만에 딥블루가 항복했다.싱겁게 끝나는 경기에서 문제가 된 것은 마지막 수였다. 카스파로프는 이기긴 했지만 ... ...
[과학뉴스] 피지컬 리뷰 레터스 (Physical Review Letters, PRL)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1958년 미국물리학회에서 처음 발간했다. 2014년 기준 피인용지수는 7.512로 영향력이 매우
큰
편이다.피지컬 리뷰 레터스는 중력파와 질긴 인연이 있다. 1936년 아인슈타인이 “중력파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논문을 게재하려고 시도한 곳이 피지컬 리뷰 레터스의 전신이자 자매지인 ‘피지컬 ... ...
[과학뉴스] 답답하면 너도
큰
뇌를 가져보렴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15%밖에 성공하지 못했다. 벤슨-앰럼 교수는 논문에서 “곰처럼 몸집에 비해 뇌 크기가
큰
동물들이 많이 성공했다”며 “뇌 크기가 동물의 문제해결능력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지지하는 결과”라고 말했다 ... ...
[과학뉴스] 덩치 크면 가스형 행성? 속단은 금물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가스형 행성일 것으로 생각했다. 지난해 3월 미국 칼텍 연구팀은 “지구보다 1.6배 이상
큰
행성은 암석형이 아니다”라고 ‘천체물리학저널’에 발표하기도 했다. 이번 연구로 천문학계에서는 행성 형성 과정에 대한 이론을 수정해야 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 ...
Part 3. 55년의 도전 새 시대를 열었다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수 있었다. 나중에 어드밴스드 라이고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는 계기가 됐다. 이 사건은
큰
개자리에서 온 신호라 하여 ‘빅독’ 이벤트라 불렸다.정보 유출로 곤란을 겪은 왜행성 하우메아 발견2004년 칼텍의 마이클 브라운 교수팀은 카이퍼벨트대에서 새로운 왜행성을 찾았다. 한참 분석에 열을 ... ...
이전
408
409
410
411
412
413
414
415
416
다음
공지사항